본 연구는 단기종단 연구설계에 따라 취학전 시기 아동의 어머니와의 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취학전 시기의 관계 특성이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56575
2004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33-358(26쪽)
6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단기종단 연구설계에 따라 취학전 시기 아동의 어머니와의 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취학전 시기의 관계 특성이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
본 연구는 단기종단 연구설계에 따라 취학전 시기 아동의 어머니와의 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취학전 시기의 관계 특성이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아동이 유아교육기관에 다닌 가을학기와 이듬해 초등 1학년 봄학기에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 교사(유아교사 및 초등교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취학전 시기 아동은 어머니 및 교사와 비교적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교사, 또래와의 관계에 있어서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다. 어머니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 아동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형성한 반면, 어머니와 갈등이 높을수록 교사와 갈등이 높으며 친밀한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차는 취학전 시기보다 초등학교 취학 후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에는 취학전과 초등학교 시기의 학교적응이 일관성있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취학전 시기 아동의 관계 특성 중 유아교육기관 교사와의 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취학전 시기에 교사와 유아간의 긍정적 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ndergarten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mother, teacher, and peer respectively to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ubjects were 64 Kindergarten children,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ndergarten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mother, teacher, and peer respectively to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ubjects were 64 Kindergarten children, their mothers and teachers. Data for the present study were collected during the fall(children's kindergarten year) and spring(children's school year). Peer relationships were assessed by peer group acceptance(sociometric interview) and friendship. Mothers were asked to rate their mother-child relationship.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rating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o report about children's adjustment in kindergarten. School adjustment in first-grade was rat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children tended to hav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and teach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hildren's sex in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s and adjustment in Kindergarten. The quality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ppeared to affect the quality of relationship a child formed with teacher and peer in Kindergarten. The school adjustment from Kindergarten to first-grade tended to be stable in girls.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linked with school adjustment in first-grade. A close relationship with kindergarten teacher accounted for school adjustment in first-grade. This study reveale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Kindergarten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업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2002
2 "학령기 행동문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서의 또래관계" 21 (21): 91-106, 2001
3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20 (20): 225-242, 1999
4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적응간의 관계" 2002
5 "초등학교 아동의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의 관계" 1998
6 "정서지능과 자아개념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2002
7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20 : 179-193, 1999
8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9 (9): 163-180, 2002
9 "유아의 애착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2001
10 "유아의 또래수용도 정서지능 적응행동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26 (26): 239-257, 2001
1 "학업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2002
2 "학령기 행동문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서의 또래관계" 21 (21): 91-106, 2001
3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20 (20): 225-242, 1999
4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적응간의 관계" 2002
5 "초등학교 아동의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의 관계" 1998
6 "정서지능과 자아개념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2002
7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20 : 179-193, 1999
8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9 (9): 163-180, 2002
9 "유아의 애착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2001
10 "유아의 또래수용도 정서지능 적응행동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26 (26): 239-257, 2001
11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12 (12): 659-668, 2003
1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11 (11): 167-189, 2004
13 "어머니와 자녀와의 관계가 유치원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2001
1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2001
15 "아동의 친한 친구와의 관계와 자아지각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22 (22): 99-114, 2001
16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20 (20): 77-95, 1999
17 "아동의 또래지위 및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의 관계" 2 (2): 1-18, 2001
18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능력간의 관계" 2003
19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22 (22): 123-134, 2002
20 "social cognition and children's subsequent relations with peers at kindergarte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 383-402, 1991
21 "Transition to school" 106-119, 1994
22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35 (35): 61-79, 1997
23 "The roots of school readiness i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K Kauffman Foundation(Ed.) Set for success : Building a strong foundation for school readiness based on th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wing Marion Kauffman Foundation. 27-40, 2002
24 Pianta, R. C.,, "The first two years of school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deflections in children's classroom adjustment" 7 : 295-312, 1995
25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o school New Directions in Child Development" 61-80, 1992
26 "Prebirth to preshool family factors in children's adaption to kindergarten" 1994
27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Kindergarten teacher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5-31, 1994
28 "Mother-child relationships as sources of support or stress A comparison of competent" 1732-1754, 1993
29 Pianta, R. C.,, "Mother-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social outcome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12 : 263-280, 1997
30 "Linkages between friendship and adjustment during early school trans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2-345, 1996
31 "High-risk children in the schools Creating sustaining relationships." Routledge 1996
32 "Hard to manage preschool boys and family context at two-tear follow-up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47-166, 1994
33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67 : 1103-1118, 1996
34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Assessment, linkages between relationship systems, and associations with school adjustment" 2001
35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s: Linkages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illi (illi): 1999
36 "Children's adjustment to first grade: Contributions of children's temperament" 2000
37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Differential Associations with Aspect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253-263, 1994
38 "Adjustment to first grade" 2003
39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and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542-557, 1992
40 "A descriptive study of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with preschools University of virgin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4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 및 미술활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
동화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언어 및 사고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4-1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Association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26 | 2.26 | 2.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6 | 2.22 | 2.445 | 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