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대상으로 과학자들간의 접촉과 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용공간 계획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연구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27401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5-65(2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대상으로 과학자들간의 접촉과 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용공간 계획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연구환...
본 연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대상으로 과학자들간의 접촉과 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용공간 계획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연구환경의 특성과 이에 따른 공용공간 계획방법을 도출하고 이를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에 적용함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환경에서 좋은 공용공간의 조건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구 활동시 소통환경을 제공하고, 세계적인 연구자들 간의 공감 공간으로서 창의적 연구활동이 자연스럽게 발현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구현하기 위해 공용공간의 계획방법을 설정하였다. 새롭게 설정된 공용공간 계획방법은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 번째 공용공간은 연구동에서 단지 중심으로 확장됨에 따라 위계화 되어야 한다. 두 번째 커뮤니티 프로그램은 성격, 기호, 규모에 맞게 공용공간과 복합화 되어야 한다. 세 번째 연구시설 저층부 공간은 실내외 공용공간과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연계되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지전체가 커뮤니티 코리도에 의해 연계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ffer guidelines for common use space that provides a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in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IBS) in Daejeon, Korea. The criteria for common use space that is highly efficient and creative i...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ffer guidelines for common use space that provides a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in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IBS) in Daejeon, Korea. The criteria for common use space that is highly efficient and creative in research environment are as follows: it attracts leading scientists, functions as a place for mee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disciplines, and allows cre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gathering of many cultures. This study offers 4 new approaches in designing common use space. First, common use space should consider its expansion according to the scale of site from architectural plan to site plan. Second, community programs should be designed in the consideration of their goal, number of users, and common use space. Third, the ground floor area of buildings should be connected to both the community program and common use space. Lastly, all common use spaces and community programs in the site should be connected to the Community Corridor to allow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entire site. By applying the new possibilities in designing common use space for a creative environment to the IBS, this study also provides a model for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제무, "창조도시 상상프로젝트" 루덴스 2010
2 김도년, "유비쿼터스(Ubiquitous) 공간구현을 중심으로 한 가로환경조성에 관한 연구-상암 Digital Media Street계획을 사례로" 한국도시설계학회 5 (5): 81-103, 2004
3 Florida, Richard L, "신창조계급:Creative Class, 우리 시대 무엇이 미래를 지배하는가" 전자신문사 2011
4 신동호, "세계적 혁신지역을 간다" 도서출판 한율 2006
5 Manuel Castells, "세계의 테크노폴" 한울 2006
6 마쓰나가 야스미쓰, "도시계획의 신조류" 한울아카데미 2006
7 李錫煥, "도시 가로의 장소성 연구 : 대학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8 Peter Hall, "내일의 도시" 한울아카데미 2009
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초과학연구원 건축 개념 및 방향설정" 2009
1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초과학연구원 건립을 위한 기본계획수립연구" 2012
1 원제무, "창조도시 상상프로젝트" 루덴스 2010
2 김도년, "유비쿼터스(Ubiquitous) 공간구현을 중심으로 한 가로환경조성에 관한 연구-상암 Digital Media Street계획을 사례로" 한국도시설계학회 5 (5): 81-103, 2004
3 Florida, Richard L, "신창조계급:Creative Class, 우리 시대 무엇이 미래를 지배하는가" 전자신문사 2011
4 신동호, "세계적 혁신지역을 간다" 도서출판 한율 2006
5 Manuel Castells, "세계의 테크노폴" 한울 2006
6 마쓰나가 야스미쓰, "도시계획의 신조류" 한울아카데미 2006
7 李錫煥, "도시 가로의 장소성 연구 : 대학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8 Peter Hall, "내일의 도시" 한울아카데미 2009
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초과학연구원 건축 개념 및 방향설정" 2009
1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초과학연구원 건립을 위한 기본계획수립연구" 2012
11 교육과학기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 2011
12 국토연구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공간조성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2010
13 신승수, "공공을 그리다" 시공문화사 104-105, 2012
14 현대건축관련용어편찬위원회, "건축용어사전" 성안당 2011
15 Brown, Dixon, "Urban design for an urban century : placemaking for people" John Wiley&Sons, Inc 2009
16 Whyte, William, "The Social Life of Small Urban Space" The Conservation Foundation 1980
17 Keuning Institute, "Shared Space : Room for Everyone" 2005
18 Stephen carr, "Public space(Environment and Behavior s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9 Carmona Matthew, "Public Places Urban Spaces" Elsevier Ltd 2007
20 Daniel Watch, "Building type basics for research laboratories" John Wiley & Sons 15-, 2008
21 Jason Owen-smith, "A Tale of Two Buildings : Socio-spatial Significance in Innovation"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 2012
창작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수준과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가로활성화사업에서 거주자의 참여집단별 만족도 및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91 | 1.333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