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도시화와 친족 관계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도시화 이후에 전개되는 친족 관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또한, 재난 상황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28633
2019
-
332
KCI등재
학술저널
89-121(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도시화와 친족 관계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도시화 이후에 전개되는 친족 관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또한, 재난 상황에서 ...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도시화와 친족 관계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도시화 이후에 전개되는 친족 관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또한, 재난 상황에서 친족이 어떠한 역할과 관계 맺음을 수행하는가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로 안산 단원고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250명을 포함한 304명이 희생되었다. 안산은 세월호 참사 피해자의 대부분이 거주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외부인이 유입되는 도시라는 점에서, 재난 후 도시에서 나타나는 친족 간의 관계 양상과 친밀감을 다루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 논문은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친족관계의 양상과 참사 이후의 변화가 어떠한가를 살피기 위해 4.16기억저장소에서 발간한 4.16 구술증언록 『그날을 말하다』 48권을 자료로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 사용된 48권의 구술증언록은 세월호 참사 피해자 유가족의 직접적인 경험을 육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주된 자료로서 적합하였으며, 좀 더 풍부한 이해를 위해 필자가 그간 안산에서 수행해온 현장연구의 결과를 필요에 따라 참조하였다. 구술증언록 자료는 친족 관계와 관련된 주요한 다섯 가지 항목에 따라 코딩된 후, 맥락을 고려하여 해석적 관점에서 분석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친족 관계의 양상은 대체로 명절이나 의례와 관련해서는 친가친이 처가친보다 더 의무감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으나, 일상적인 교류나 친밀감에서는 처가친이 더 활발한 모습을 띠었다. 이는 참사 이후에도 비슷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예컨대 진도체육관을 방문하는 것과 같은 대소사 참석에는 친가친이 더 넓은 범위로 참여한 반면, 장기간 체육관에 머물며 유가족 부모를 돕거나 안산에 남아있는 아이를 돌봐주는 것과 같은 일상적 돌봄의 행위는 처가친(특히, 아내의 오빠나 남동생)에 의해서 주로 이루어졌다. 또한, 도시 간 이주의 상황에서는 친가뿐 아니라 처가의 친족 자원(특히, 아내의 언니)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세월호 참사 이후 약 1년이 지나면서, 유가족의 친족 관계는 급속하게 긴장 관계를 생성하거나 심지어 단절되는 경향이 발견되는데, 이는 유가족의 태도나 상황 때문이라기보다도 한국 사회의 정치적 환경에 의해 영향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유가족이 친족과 멀어지게 된 계기는 크게 세 가지 요인-명절이나 행사에서 느껴지는 아이의 부재, 진상규명 투쟁에 대한 친족들의 반대, 그리고 배·보상안 공표 이후 주변의 시기와 낙인-이 관여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세월호 참사 이후 대응 과정에서 국가의 무책임하고 미숙한 태도가 참사 피해자에게 불필요한 정치적 투쟁에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친족 관계가 소원해지도록 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kinship and its change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mong the bereaved families through field research and oral data analysis. Based on the accumulated understanding of the contexts through long-term fie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kinship and its change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mong the bereaved families through field research and oral data analysis. Based on the accumulated understanding of the contexts through long-term field research in Ansan city, the researcher coded and analyzed a total of 48 volumes of the 4.16 Oral Testimonies, Tell the Day, published by the 4.16 Memory Arch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holidays and rituals, paternal relatives are more obliged to participate than maternal relatives, who are more active in everyday exchanges and intimacy. This pattern of kin relations appears in a similar way after the disaster, for example, attending a major event such as visiting a Jindo gymnasium, where the paternal relatives visited in a wider range, while maternal relatives performed daily activities, such as staying in the gym for long periods of time to help the surviving parents or caring for the children remaining in Ansan. The act of caring was mainly carried out by maternal relatives (especially, the wife s younger brother). In addition, in the situation of inter-city migration, it was found that resources of maternal relatives (particularly the wife s sister) were actively used. Secondly, about a year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relatives of the bereaved families were found to be rapidly in tension or even disconnected, not just because of the attitudes or circumstances of the bereaved families. There were three major factors that led to the separation of the bereaved from relatives: the feeling of absence of their child at holidays or family events, relatives opposition to the families’ struggle against the state for finding facts, and the social condemnation and stigma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compensation plan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As such, the country s irresponsible and immature attitude in the response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led the victims to participate in unnecessary political struggles,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kin relations over time.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wo implications. First of all, in the event of a disaster, relatives still play a significant role as the most important support group for victims. Second, post-disaster government responses can have a profound effect on the victim s future life and social relations by affecting kinship.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기, "한국의 가족 및 친족 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30 (30): 157-178, 2007
2 최샛별, "한국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 연구 감정조절이론(ACT)의 수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7 (37): 1-30, 2003
3 조정문, "한국사회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에 관한 연구" 13 (13): 87-114, 1997
4 한경혜, "한국가족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7 (27): 177-204, 2004
5 이광규, "한국 친족의 사회인류학" 집문당 1997
6 김선영, "한국 가족의 현주소" 학지사 245-277, 2002
7 성미애,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 가족의 양계화 현상에 대한 진단적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59-72, 2006
8 최재석, "제주도의 친족조직" 일지사 1979
9 SBS, "세월호 희생자, 과하게 받았다? 사실은…"
10 JTBC, "세월호 피해자만 과도한 배상 받는다?"
1 정재기, "한국의 가족 및 친족 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30 (30): 157-178, 2007
2 최샛별, "한국의 가족 관련 사회정체성 연구 감정조절이론(ACT)의 수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7 (37): 1-30, 2003
3 조정문, "한국사회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에 관한 연구" 13 (13): 87-114, 1997
4 한경혜, "한국가족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7 (27): 177-204, 2004
5 이광규, "한국 친족의 사회인류학" 집문당 1997
6 김선영, "한국 가족의 현주소" 학지사 245-277, 2002
7 성미애,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 가족의 양계화 현상에 대한 진단적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59-72, 2006
8 최재석, "제주도의 친족조직" 일지사 1979
9 SBS, "세월호 희생자, 과하게 받았다? 사실은…"
10 JTBC, "세월호 피해자만 과도한 배상 받는다?"
11 프레시안, "세월호 500일, ‘돈받으라’ 문자 보낸 정부"
12 중앙일보, "사라지는 대학가 귀향버스… 명절에 고향 안 가요. 아니, 못 가요"
13 이현정, "말하기의 정치와 듣기의 윤리: ‘4.16구술증언사업’의 진행 과정과 그 함의" 한국구술사학회 10 (10): 11-38, 2019
14 이효재, "도시인의 친족관계" 한국연구원 1971
15 정건화, "근대 안산의 형성과 발전" 한울아카데미 2005
16 16기억저장소, "그날을 말하다, 총 48권" 한울아카데미 2019
17 한겨레, "고교생 56% 10억 생긴다면 죄짓고 감옥 가도 괜찮아"
18 김주희, "결혼초기 여성의 친족관계: 외동딸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학회 21 (21): 95-118, 2009
19 김순옥, "결혼초기 부부의 친족행동 대상 및 정도에 대한 연구" 5 : 195-214, 2002
20 옥선화, "가족/친족 구조의 해체와재구성 I: 서울시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36 (36): 157-182, 1998
21 汪行福, "灾难与历史: 走向否定的历史哲学" (2) : 3-10, 2014
22 한겨레, "‘명절 갈등’ 이혼 사유 될까… 시대 흐름따라 판결도 변화"
23 Young, Michael, "The Role of the Extended Family in Disaster" 7 (7): 383-391, 1954
24 Drabek, Thomas E., "The Impact of Disaster on Kin Relationships" 37 (37): 481-494, 1975
25 Weber, Max, "The City" Collier Books 1962
26 Picou, J. Steven, "Social Impacts of Hurricane Katrina on Displaced K-12 Stud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oastal Alabama Counties" 27 (27): 767-780, 2007
27 Radcliffe-Brown, A. R, "On Joking Relationships" 13 (13): 195-210, 1940
28 Drabek, Thomas E., "Families in Disaster : Reactions and Relatives" 30 (30): 443-451, 1968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연령범주별 비교분석 연구
남성육아휴직의무제를 통한 아빠노동자 탄생에 관한 사례연구
세대관계망이 부부간 가사분담과 여가활동 공유에 미치는 영향 : 출생집단별 차이 및 발달단계별 변화
성폭력 피해자가 경험한 성폭력 피해에 대한 가족의 반응 :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의 적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 | 1.41 | 1.78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