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토리텔링 기반 동작교육활동과 운동 기반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A Comparison of the Effects between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torytelling an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Exercise on Young Children’s Motor, Cognitive, Emotional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71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torytelling an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exercise on young children's motor, cognitive, emotional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thirty-two young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and their average age was 75.53(SD=2.70)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torytelling,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exercise for 4 weeks. ‘MPTYC’, ‘K-WIPPSI-Ⅳ’, ‘BPI’ and a ‘conflict resolution ability test’ were used to collect data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children's cognitive, emotional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is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motor ability. This study shows implications abou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torytelling an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exercise on young children's motor, cognitive, emotional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The su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torytelling an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exercise on young children's motor, cognitive, emotional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thirty-two young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and their average age was 75.53(SD=2.70)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torytelling,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exercise for 4 weeks. ‘MPTYC’, ‘K-WIPPSI-Ⅳ’, ‘BPI’ and a ‘conflict resolution ability test’ were used to collect data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children's cognitive, emotional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is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motor ability. This study shows implications abou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과 운동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총 32명(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이었으며 평균월령은 75.53개월(SD=2.70)이었다. 실험집단에는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운동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을 4주간 처치하였다. ‘MPTYC’, ‘K-WIPPSI-Ⅳ’, ‘BPI’, ‘갈등해결능력’ 검사도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인지능력, 정서능력 그리고 갈등해결능력이 유의미하게 증진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유아의 운동능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하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 동작활동을 위한 교육적 실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과 운동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과 운동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총 32명(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이었으며 평균월령은 75.53개월(SD=2.70)이었다. 실험집단에는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운동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을 4주간 처치하였다. ‘MPTYC’, ‘K-WIPPSI-Ⅳ’, ‘BPI’, ‘갈등해결능력’ 검사도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인지능력, 정서능력 그리고 갈등해결능력이 유의미하게 증진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유아의 운동능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하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 동작활동을 위한 교육적 실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은경, "협력적 동작표현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21 (21): 5-25, 2001

      2 박혜원,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실시지침서"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16

      3 배상석, "팀스포츠 활동에서 갈등의 전개 과정에 대한 교육적 의미" 한국체육교육학회 22 (22): 113-125, 2018

      4 정세호, "통합적 동작활동이 종일제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3 (23): 153-166, 2002

      5 신금호, "창의적 동작표현활동 중심 환경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6) : 25-43, 2011

      6 이원정, "줄넘기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47 (47): 97-118, 2008

      7 심재연, "정서기반 유아 음률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8 김규수, "전래동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타인정서인식과 자기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357-374, 2004

      9 장완수,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365-382, 2012

      10 손원호, "유아의 신체발달에 적합한 대도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3 : 51-60, 2002

      1 홍은경, "협력적 동작표현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21 (21): 5-25, 2001

      2 박혜원,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실시지침서"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16

      3 배상석, "팀스포츠 활동에서 갈등의 전개 과정에 대한 교육적 의미" 한국체육교육학회 22 (22): 113-125, 2018

      4 정세호, "통합적 동작활동이 종일제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3 (23): 153-166, 2002

      5 신금호, "창의적 동작표현활동 중심 환경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6) : 25-43, 2011

      6 이원정, "줄넘기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47 (47): 97-118, 2008

      7 심재연, "정서기반 유아 음률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8 김규수, "전래동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타인정서인식과 자기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357-374, 2004

      9 장완수,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365-382, 2012

      10 손원호, "유아의 신체발달에 적합한 대도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3 : 51-60, 2002

      11 이현균, "유아의 대근육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체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12 지성애, "유아운동능력척도 타당화 연구-만 5세아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355-376, 2007

      13 이혜정, "유아용 갈등 인식 및 해결 검사도구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17-138, 2012

      14 박찬옥, "유아사회교육" 정민사 2010

      15 임성혜, "유아를 위한 통합적대상통제운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16 전선혜, "유아들의 체육활동이 대근운동능력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825-837, 2015

      17 김은심, "유아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20

      18 이광욱, "유아기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체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32) : 455-465, 2008

      19 이정화, "유아 주도적 협동게임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37-257, 2008

      20 김선형, "유아 교사의 유아동작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217-237, 2018

      21 고영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유아동작교육 인식과 동작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147-167, 2016

      22 이정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77-103, 2017

      23 이정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갈등해결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371-396, 2016

      24 백승례,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한 유아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무용연구학회 35 (35): 207-236, 2017

      25 오소라, "소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4 (34): 53-70, 2013

      26 이만수, "생활주제와 통합한 유아 동작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7 김성숙, "상상적 이미지 중심의 내러티브 교육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상상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8) : 83-106, 2011

      28 주봉관, "명화감상을 활용한 방과후 체육 특성화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347-367, 2018

      29 이수진,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81-101, 2013

      30 오세경, "도형을 활용한 공간요소 중심 유아 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31 이정애, "도구를 활용한 신체게임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81-600, 2020

      32 윤진희, "도구를 활용한 대근육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7 (7): 1-21, 2020

      33 지성애, "대상통제운동에 기반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자아존중감,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199-228, 2017

      34 조형숙, "누리과정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유아수학교육" 공동체 2016

      35 윤소연,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도 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95-221, 2014

      36 Gallahue, D. L., "Understanding motor development: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dults" Mcgraw-hill 2012

      37 Harris, P. L., "The work of the imagination" Blackwell Publishers Ltd 2000

      38 Dow, C. B., "The power of creative dance" 31 : 30-35, 2010

      39 Eyre, E. L., "The effects of combined movement and storytelling intervention on motor skills in south Asian and white children aged 5-6 years living in the United Kingdom" 17 (17): 3391-3407, 2020

      40 Robert, D. L., "The effects of a preschool movement program on motor skill acquisition, movement concept formation, and movement practice behavior" West Virginia University 1999

      41 Goudas, M., "The effects of a cooperat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on students’ social skills" 21 (21): 356-364, 2009

      42 Cone, T. P., "Teaching children dance" Human Kinetics 2012

      43 Tunteler, E., "Spontaneous analogical transfer in 4-year-olds : A microgenetic study" 83 (83): 149-166, 2002

      44 Dorrat, L., "Music, storytelling and dance in early childhood" 22 (22): 19-22, 2016

      45 Glonek, K. L., "Listening to narratives : An experimental examination of storytelling in the classroom" 28 (28): 32-46, 2014

      46 Swift, T., "Learning through movement and active play in the early years: A practical resource for professionals and teachers"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17

      47 Hsu, S. T., "Introduction to dance of the imagination for children education" 5 (5): 42-49, 2008

      48 Thom, L., "From simple line to expressive movement : The use of creative movement to enhance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the preschool curriculum" 32 (32): 100-112, 2010

      49 Pica, R., "Experiences in movement & music birth to age eight"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10

      50 Baumgarten, S.,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uilding a solid movement foundation" Stipes Publishing LLC 2006

      51 Donnelly, F. C.,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all children" Human Kinetics 2016

      52 Mayesky, M.,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lishers 2002

      53 Piaget, J.,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2 (2): 176-186, 1964

      54 Measelle, J. R., "Assessing young children's views of their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lives : An evaluation of the self-perception scales of the Berkeley puppet interview" 69 (69): 1556-1576, 1998

      55 Duncan, M., "A combined movement and story-telling intervention enhances motor competence and language ability in pre-schoolers to a greater extent than movement or story-telling alone" 25 (25): 221-235, 2019

      56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