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74463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아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 2022.2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1.3 판사항(5)

      • 발행국(도시)

        부산

      • 기타서명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형태사항

        vi, 102 p. : 도표 ; 27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달효
        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77-94

      • UCI식별코드

        I804:21008-200000592017

      • 소장기관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is study pru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th,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questionnaires o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istributed to 300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Busan,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 27.0. The study results analyzed in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depenfing on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ocratic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s, authoritarian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s and the school whether can get the admission point for the promotion, and faire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s and the school whether the admission point for the promotion.
      Second, in relation to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background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ignificantly caried depending on the school whether the admission point for the promo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when democratic leadership was highly perceived, there was a closer correlation whit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th,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democratic leadership significantly affected jog satisfaction, organizatioan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school a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ed depending on background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at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means that for improving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quality of elementary education, proper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must be studied and developed and constant studies for enhancing capability of principal is requir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is study pru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do element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is study pru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th,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questionnaires o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istributed to 300 public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Busan,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 27.0. The study results analyzed in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depenfing on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ocratic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s, authoritarian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s and the school whether can get the admission point for the promotion, and faire 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s and the school whether the admission point for the promotion.
      Second, in relation to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pending on background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ignificantly caried depending on the school whether the admission point for the promo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when democratic leadership was highly perceived, there was a closer correlation whit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th,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democratic leadership significantly affected jog satisfaction, organizatioan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school a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ed depending on background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at the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means that for improving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quality of elementary education, proper types of principal leadership must be studied and developed and constant studies for enhancing capability of principal is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이 학교조직효과성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장리더십 유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 초등학교 11개교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설문지링크를 통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재직 학교 교장리더십 유형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민주형 리더십은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독재형 리더십은 교직경력과 승진가산점 인정학교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방임형 리더십은 교직경력과 승진가산점 인정학교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조직효과성 하위요인 중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은 승진가산점 인정학교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셋째,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민주형 리더십에 관한 인식이 높을 때 초등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 조직적응이 높다.
      넷째,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민주형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 조직헌신, 조직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재직학교의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교장리더십 유형에 따라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여 초등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한 교장리더십 유형을 연구, 개발하여 교장의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이 학교조직효과성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이 학교조직효과성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장리더십 유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 초등학교 11개교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설문지링크를 통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재직 학교 교장리더십 유형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민주형 리더십은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독재형 리더십은 교직경력과 승진가산점 인정학교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방임형 리더십은 교직경력과 승진가산점 인정학교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조직효과성 하위요인 중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은 승진가산점 인정학교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셋째,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민주형 리더십에 관한 인식이 높을 때 초등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 조직적응이 높다.
      넷째,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리더십 유형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민주형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 조직헌신, 조직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재직학교의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교장리더십 유형에 따라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여 초등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한 교장리더십 유형을 연구, 개발하여 교장의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의 정의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교장리더십 7
      • 2. 학교조직효과성 20
      • 3.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 30
      • Ⅲ. 연구방법 38
      • 1. 연구대상 38
      • 2. 측정도구 39
      • 3. 자료수집 45
      • 4. 자료처리 45
      • Ⅳ. 연구결과 47
      • 1. 초등교사의 배경변인별 교장리더십 유형에 대한 인식 47
      • 2. 초등교사의 배경변인별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 54
      • 3.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 61
      • 4.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62
      • Ⅴ. 논의 65
      • 1. 초등교사의 배경변인별 교장리더십 유형에 대한 논의 65
      • 2. 초등교사의 배경변인별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논의 67
      • 3.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논의 69
      • 4.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장리더십 유형과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논의 71
      • Ⅵ. 결론 74
      • 참고문헌 77
      • 부 록 95
      • Abstract 10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서정화, "교장론", . 교육행정학전문서 18. 서울: 하우., 2003

      2 김민희, 주현준, 박상완, "교육지도성", 서울: 양서원, 2014

      3 김창걸, "교육조직행위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3

      4 강영삼, 신중식, "교육행정경영론", 서울: 교육출판사, 2009

      5 안병순, "군 조직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강릉대학교 경 영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6 성기선, "학교효과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 서울: 원미사, 1998

      7 홍창남, "학교특성과 교사헌신의 구조적 관계", 서울: 내일을 여는 지식, 2007

      8 교육과학기술부, "학교 자율화 추진계획 발표 보도자료", 2008

      9 이성은, "초등교사의 교육헌신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열린교육연 구, 13(1), 203-220, 2005

      10 김학돈,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결합유형에 따른 조직유효성",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1996

      1 서정화, "교장론", . 교육행정학전문서 18. 서울: 하우., 2003

      2 김민희, 주현준, 박상완, "교육지도성", 서울: 양서원, 2014

      3 김창걸, "교육조직행위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3

      4 강영삼, 신중식, "교육행정경영론", 서울: 교육출판사, 2009

      5 안병순, "군 조직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강릉대학교 경 영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6 성기선, "학교효과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 서울: 원미사, 1998

      7 홍창남, "학교특성과 교사헌신의 구조적 관계", 서울: 내일을 여는 지식, 2007

      8 교육과학기술부, "학교 자율화 추진계획 발표 보도자료", 2008

      9 이성은, "초등교사의 교육헌신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열린교육연 구, 13(1), 203-220, 2005

      10 김학돈,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결합유형에 따른 조직유효성",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1996

      11 최윤철, "조직효과성의 결정요인 분석: 공조직과 사조직의 비교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2 유정선, "교무분장 공정성, 승진욕구, 교사효능감, 교사헌신 간의 구 조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3 허영도,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리더십유형과 학교조직건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8

      14 Lortie, D. C., "School teacher: A sociological study, 진동섭 역(1993). 교직 사회: 교직과 교의 삶",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서울: 양서원., 1975

      15 성태제, "(SPSS / AMOS를 이용한) 알기쉬운 통계분석: 기술통계에 서 구조방정식모형까지", 서울: 학지사, 2007

      16 곽영지, 이성은,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간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3(3), 167-187, 2005

      17 정완영, "중소기업CEO의 리더십유형에 따른 직무만족과 직무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8 이상희, 임영애, 이성은, "직무특성화모형 (JCM) 에서 나타난 초 중등교사의 분산적 지도력 실행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7(3), 1-21, 2009

      19 이정로, "학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가치의 결합유형, 조직효과 성의 인과관계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0 홍성철,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감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리더십을 매개로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