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벽』에서 『신인간』으로 - 소춘 김기전(小春 金起田)의 사유와 실천에 나타난 추이와 그 함축 = From Gaebyeok to Siningan - On The Changes and their Implications in the Thoughts and Practices of Sochun Kim Gi-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27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춘 김기전은 잘 알려져 있듯이 『개벽』의 창간 및 간행을 주도했으며, 특히 20세기 초 한국철학·사상사를 조망할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인물이다. 무엇보다 이 시기 한국 철학·사상의 독특한 운동과 양상이 그의 사유를 통해 전형적으로 담지되는 까닭이다. 김기전의 사유는 20세기 초 한국지성사를 이끈 동시대 지식인들의 공통기반, 즉 해방적 지향과 전통적 지성사의 영향력을 어느 누구보다 강력하게 간직하고 또 드러낸다. 다만, 강점기 지식인들의 저항적 실천이 대개 그러하듯 식민지 통치의 억압성이 강화됨에 따라 김기전의 사유와 실천 역시 일정한 변화와 굴곡을 드러내며 이로 인해 평가 또한 엇갈린다.
      하지만 소춘의 삶과 사유를 바라볼 때, 역사적 소명과 종교적 가르침에 대한 그의 통일적 인식은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요소다. 전후기 사이의 변화, 그리고 이 변화의 이중성 또한 이 통일성이 견지되고 있음을 직시할 때 비로소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전기의 실천적 궤적과 후기의 종교적 침잠이라는 전체적인 변화는 물론이고, 종교 및 교단 문제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 즉 교세 확장 및 교인의 실천적 자세를 강조하는 데서 교리 및 수양의 문제에 치중하게 되는 변화 또한 정체성 자체의 변화는 결코 아닌 것이다. 사유와 실천에서 나타나는 외면적인 분열과 전변의 양상이 심층적인 지평의 통일성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그는 당대 실천적 지식인의 전형을 보여줄 뿐 아니라 20세기 초 한국현대사상사의 심원한 깊이를 가늠할 수 있도록 이끈다.
      번역하기

      소춘 김기전은 잘 알려져 있듯이 『개벽』의 창간 및 간행을 주도했으며, 특히 20세기 초 한국철학·사상사를 조망할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인물이다. 무엇보다 이 시기 한국 철학·사상의 ...

      소춘 김기전은 잘 알려져 있듯이 『개벽』의 창간 및 간행을 주도했으며, 특히 20세기 초 한국철학·사상사를 조망할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인물이다. 무엇보다 이 시기 한국 철학·사상의 독특한 운동과 양상이 그의 사유를 통해 전형적으로 담지되는 까닭이다. 김기전의 사유는 20세기 초 한국지성사를 이끈 동시대 지식인들의 공통기반, 즉 해방적 지향과 전통적 지성사의 영향력을 어느 누구보다 강력하게 간직하고 또 드러낸다. 다만, 강점기 지식인들의 저항적 실천이 대개 그러하듯 식민지 통치의 억압성이 강화됨에 따라 김기전의 사유와 실천 역시 일정한 변화와 굴곡을 드러내며 이로 인해 평가 또한 엇갈린다.
      하지만 소춘의 삶과 사유를 바라볼 때, 역사적 소명과 종교적 가르침에 대한 그의 통일적 인식은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요소다. 전후기 사이의 변화, 그리고 이 변화의 이중성 또한 이 통일성이 견지되고 있음을 직시할 때 비로소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전기의 실천적 궤적과 후기의 종교적 침잠이라는 전체적인 변화는 물론이고, 종교 및 교단 문제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 즉 교세 확장 및 교인의 실천적 자세를 강조하는 데서 교리 및 수양의 문제에 치중하게 되는 변화 또한 정체성 자체의 변화는 결코 아닌 것이다. 사유와 실천에서 나타나는 외면적인 분열과 전변의 양상이 심층적인 지평의 통일성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그는 당대 실천적 지식인의 전형을 보여줄 뿐 아니라 20세기 초 한국현대사상사의 심원한 깊이를 가늠할 수 있도록 이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s well known, Sochun Kim Gijeon led the establishment and publication of Gaebyeok, and he is a figure who cannot be overlooked when looking at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nd thought in the early 20th century. Above all, this is because the unique movements and aspects of Korean philosophy and thought in this period are typically contained in his thoughts and pratices. Kim Gijeon’s thoughts preserve and reveal the common ground of contemporary intellectuals who led the Korean intellectual history in the early 20th century, namely,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intellectual history and the liberation orientation, more strongly than anyone else. However, as is usually the case with the resistance practices of intellectua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Kim Gijeon’s thoughts and practices also showed certain changes and twists as the oppression of colonial rule intensified, and as a result, the evaluations of him are also mixed.
      However, when looking at Sochun’s life and thoughts, his unified perception of historical mission and religious teachings is an element that should never be overlooked. The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periods, and the complexity of these changes, can only be properly judged when we face the fact that this unity is maintained. In other words, the overall changes, such as from the practical trajectory of the early period to the religious immersion of the later period, as well as the changes in his attitude toward religious issues, that is, the changes from emphasizing the expansion of religious influence and the practical attitude of believers to focusing on the issues of religious doctrine and cultivation, are by no means changes in his identity itself. In that the external divisions and changes that appear in his thoughts and practices presuppose the unity of his profound horizons, he not only shows the typical example of a practical intellectual of his time, but also allows us to gauge the profound depth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thought in the early 20th century.
      번역하기

      As is well known, Sochun Kim Gijeon led the establishment and publication of Gaebyeok, and he is a figure who cannot be overlooked when looking at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nd thought in the early 20th century. Above all, this is because the u...

      As is well known, Sochun Kim Gijeon led the establishment and publication of Gaebyeok, and he is a figure who cannot be overlooked when looking at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nd thought in the early 20th century. Above all, this is because the unique movements and aspects of Korean philosophy and thought in this period are typically contained in his thoughts and pratices. Kim Gijeon’s thoughts preserve and reveal the common ground of contemporary intellectuals who led the Korean intellectual history in the early 20th century, namely,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intellectual history and the liberation orientation, more strongly than anyone else. However, as is usually the case with the resistance practices of intellectua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Kim Gijeon’s thoughts and practices also showed certain changes and twists as the oppression of colonial rule intensified, and as a result, the evaluations of him are also mixed.
      However, when looking at Sochun’s life and thoughts, his unified perception of historical mission and religious teachings is an element that should never be overlooked. The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periods, and the complexity of these changes, can only be properly judged when we face the fact that this unity is maintained. In other words, the overall changes, such as from the practical trajectory of the early period to the religious immersion of the later period, as well as the changes in his attitude toward religious issues, that is, the changes from emphasizing the expansion of religious influence and the practical attitude of believers to focusing on the issues of religious doctrine and cultivation, are by no means changes in his identity itself. In that the external divisions and changes that appear in his thoughts and practices presuppose the unity of his profound horizons, he not only shows the typical example of a practical intellectual of his time, but also allows us to gauge the profound depth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thought in the early 20th centur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