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학습목표 분석 =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in Middle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70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앤더슨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교과서 5종을분석 대상으로 하여, 총 271개의 학습목표를 인지과정과 지식유형 차원에서 수작업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분석하다’, ‘평가하다’, ‘개발하다’와 같은 고차 인지과정과 절차적·메타인지적 지식의 비중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단원별 분량분석에서는 알고리즘 및 인공지능 관련 단원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이는 정보 교과가 21세기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구조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의 질적 변화 양상을 시기별로 비교하고, 향후 정보 교육과정 설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9,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앤더슨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교과서 5종을분석 대상으...

      본 연구는 2009,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앤더슨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교과서 5종을분석 대상으로 하여, 총 271개의 학습목표를 인지과정과 지식유형 차원에서 수작업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분석하다’, ‘평가하다’, ‘개발하다’와 같은 고차 인지과정과 절차적·메타인지적 지식의 비중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단원별 분량분석에서는 알고리즘 및 인공지능 관련 단원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이는 정보 교과가 21세기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구조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의 질적 변화 양상을 시기별로 비교하고, 향후 정보 교육과정 설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learning objectives of middle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under the 2009,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using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cusing on five representative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 total of 271 learning objectives were manu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types.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higher-order cognitive processes such as "analyze," "evaluate," and "create," as well as procedural and metacognitive knowledge in the 2022 curriculum.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extbook unit page distributions revealed that units related to algorith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come more prominent, reflecting the restructuring of the subject to align with 21st-century core competencies. This study provides a comparative view of qualitative changes in learning objectives across curricula and offer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learning objectives of middle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under the 2009,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using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cusing on five representative textbooks based on ...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learning objectives of middle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under the 2009,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a using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cusing on five representative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 total of 271 learning objectives were manu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types.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higher-order cognitive processes such as "analyze," "evaluate," and "create," as well as procedural and metacognitive knowledge in the 2022 curriculum.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extbook unit page distributions revealed that units related to algorith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come more prominent, reflecting the restructuring of the subject to align with 21st-century core competencies. This study provides a comparative view of qualitative changes in learning objectives across curricula and offer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