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캐빈 공간 디자인 연구 = User-centered Advanced Air Mobility(AAM) Cabin Spatial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14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Advanced Air Mobility)는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도시의 지상 교통체증 문제해결을 위한 중요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심의 버티포트를 기반으로 근거리 및...

      연구배경: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Advanced Air Mobility)는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도시의 지상 교통체증 문제해결을 위한 중요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심의 버티포트를 기반으로 근거리 및 중거리 항공 운송을 수행하는 AAM의 등장은 시간 절약, 환경 보호,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새로운 산업 창출 등 새로운 이동수단을 넘어 많은 변혁을 가져올 것이다. AAM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방식의 항공 모빌리티이기 때문에 이에 맞는 캐빈 공간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AM의 캐빈 공간에 대한 제약사항과 특징 등 여러가지 배경을 알아보고,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디자인 레이아웃을 연구해 보았다. 연구방법: 미래 항공 모빌리티를 연구중인 기업들의 개발 동향을 살펴보고 각 기업들이 개발중인 기체의 캐빈 공간별 특징을 조사하였다. 관련산업 종사자 및 잠재고객군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진행을 통해 비행 이동시 니즈를 발굴하였으며 AAM의 특징과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하여 연구를 위한 캐빈공간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듈식 시트디자인, 편의기능, 도어, 좌석의 배치 등 미래 항공 모빌리티의 UX를 고려한 다양한 캐빈 공간 디자인 레이아웃에 대한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캐빈 공간의 크기와 형태에 대한 제원을 설정하고, 이동거리를 단거리와 중거리로 나누어 각 목적에 부합하는 공간 레이아웃을 연구하였다. 이동이 불가능한 제한된 공간에 머물러야 하는 특성상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 제공을 위해 단거리와 중거리를 각각 6인승과 4인승으로 구분하였으며, 시트는 모듈식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여 목적에 맞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좁은 공간에서의 수납을 위해 모듈형 패널을 활용한 도어 디자인을 제안하였으며, 시트의 배치와 방향을 다양하게 연구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자가 느낄 심리적 부담감을 최소화하였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제한된 공간을 극복하는 사용자 관점의 미래 항공 모빌리티 캐빈 공간 디자인 레이아웃에 대해 예측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체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future of air mobility (AAM, Advanced Air Mobility) is gaining attention as a significant alternative to address the congestion issues in already saturated urban ground transportation. The emergence of AAM promises to bring about numer...

      Background: The future of air mobility (AAM, Advanced Air Mobility) is gaining attention as a significant alternative to address the congestion issues in already saturated urban ground transportation. The emergence of AAM promises to bring about numerous transformations beyond just providing a new mode of transportation. Given that AAM represents a new form of air mobilit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its interior space. Methods: This study explores the constraints and characteristics of AAM's interior space, categorizing its usage into short-distance and medium-distance and researching corresponding interior design layout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examining the development trends of companies involved in future air mobility,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the interior spaces of the aircraft they are developing,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industry professionals and potential customers to understand the needs during flight. Results: The study divided the travel distance into short and medium and categorized them as 6-seater and 4-seater, accordingly, optimizing user experience for the confined space. The modular frame structure for seats was proposed to allow diverse configurations based on the purpose. Design solutions for storage in narrow spaces, such as utilizing modular panels for door design, were suggested. Additionally, the arrangement and direction of seats were researched to minimize psychological discomfort in the limited space.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various UX-focused interior design layouts for the future of air mobility, overcoming constraints of confined spaces. The research outcomes can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diverse aircraft development in the fu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