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정은,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초임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인식 및 지도실제에서의 변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35-156, 2014
2 이희용, "한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성장 체험: 자기 이야기(self-narrative)"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131-170, 2007
3 장지현, "학습자의 관점에서 본 대학의 우수 강의 핵심요소 분석 - S 지방대학 사례 -"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269-291, 2013
4 박민정,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69-93, 2007
5 송나리,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97-126, 2016
6 정유리, "초임 유아교사의 긍정적 교직 경험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465-491, 2015
7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8 배은주, "질적 연구의 최근 동향과 그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11 (11): 1-27, 2008
9 윤가영,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강의평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7
10 안지혜, "좋은 대학수업의 특성 분석 연구 : 인문·사회 계열 우수 수업 사례 관찰 결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1 양정은,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초임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인식 및 지도실제에서의 변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35-156, 2014
2 이희용, "한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성장 체험: 자기 이야기(self-narrative)"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131-170, 2007
3 장지현, "학습자의 관점에서 본 대학의 우수 강의 핵심요소 분석 - S 지방대학 사례 -"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269-291, 2013
4 박민정,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69-93, 2007
5 송나리, "초임교사의 유아 문제행동 지도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97-126, 2016
6 정유리, "초임 유아교사의 긍정적 교직 경험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465-491, 2015
7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8 배은주, "질적 연구의 최근 동향과 그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11 (11): 1-27, 2008
9 윤가영,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강의평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7
10 안지혜, "좋은 대학수업의 특성 분석 연구 : 인문·사회 계열 우수 수업 사례 관찰 결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11 전가일,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좋은 수업 만들어 가기: 해석학적 질문과 대화를 통한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7 (17): 59-110, 2014
12 정연수, "장애학생 취업지도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수교사 인식과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219-246, 2015
13 강민정,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423-439, 2013
14 박은봉, "은유스토리텔링상담 내담자의 변화경험에 대한 셀프내러티브 탐구" 동국대학교 2019
15 김다온, "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도 분석" 교육연구원 33 (33): 187-209, 2017
16 조형숙, "예비유아교사들이 선호하는 유아교육과 교수의 이미지"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169-194, 2011
17 이용숙, "예비교수와 신임교수를 위한<대학교수법 코스> 개발 실행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479-521, 2014
18 권선미,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셀프내러티브 탐구" 과학교육연구소 52 (52): 63-78, 2013
19 염지숙, "신임교수의 일과 삶: 교수되기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135-160, 2003
20 변승호, "신임교수를 위한 교수학습 연수 프로그램 개발" 31 (31): 173-190, 2010
21 오춘희, "신임교수 수업능력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8 : 454-472, 2004
22 이영국, "셀프스터디를 통한 테니스 코칭 유형 드러내기"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3 (23): 87-108, 2016
23 강성희, "셀프내러티브를 통한 숲밧줄놀이의 개념과 가치 고찰" 한국스포츠학회 16 (16): 225-239, 2018
24 임희진, "사범대학 신임교수의 교수활동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359-384, 2019
25 곽노의, "멘토링을 통한 초임 남자유아교사의 교직적응과정 탐색: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1-60, 2012
26 길양숙, "대학의 수업방법과 교수행동에 나타나는 특징"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405-428, 2011
27 신지혜, "대학 환경교육 교수자의 강의 경험 공유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153-172, 2016
28 이영철, "교장 수업지도성, 교감 수업지도성, 교장교감 상호협력, 교사 학습공동체성, 교사 교수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73-96, 2017
29 김경현, "고등학교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초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학습공동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497-520, 2016
30 김아영, "고교-대학연계 프로그램 멘토 교수의 셀프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7 (37): 21-39, 2019
31 박치현, "강사법과 ‘연구안전망'을 향하여" (1) : 120-133, 2019
32 이준화, "강사법 시행 유예의 원인과 시사점-교육 및 문화체육 관광분야 현행법률의 개선과제분석과 현안점검-"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2016
33 Huberman, M, "Understanding Teacher Development" 122-142, 1992
34 Katz, J, "Teaching as though students mattered" Jossey-Bass 1985
35 Shin, J. C, "Teaching and research nexuses across faculty career stage, ability and affiliated discipline in a South Korean research university" 36 (36): 485-503, 2011
36 김진희, "Self-study를 통한 실천공동체의 학습문화" 교육연구소 17 (17): 59-86, 2011
37 Austin, A. E, "Preparing the next generation of faculty : Graduate school as socialization to the academic career" 73 (73): 94-122, 2002
38 Marbach-Ad, G, "New instructor teaching experience in a research-intensive university :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5 : 49-90, 2013
39 Cladinin, D. J, "Narrative inquiry :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Publishers 2000
40 Sarton, M, "May sarton: A self-portrait" Norton 1982
41 정은경, "M 대학 유아교육과 황 교수의 유아교육과 교수로서의 역할 행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337-361, 2010
42 Ramsden, P, "Learning to teach in higher education" Routledge and Falmer 2003
43 임상훈, "H대학 강의우수교수의 강의 노하우 사례 연구" 2015 (2015): 26-, 2015
44 Ambrose, S. A, "How learnng works: 7 research-based principles for smart teaching" Jossey-Bass 2010
45 New York Universty, "GSAS teaching certificate program"
46 Zimitat, C, "First year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good teaching: Not all things are equal" 29 : 386-392, 2006
47 Cladinin, D. J,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Routledge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