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방송 상업용 도서의 수준과 적합성 검토 -언어영역 ebs 수능 연계 교재를 대상으로- = Review of the level and appropriateness of textbooks of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for the verbal area of the CS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632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BS CSAT-Related Textbooks are workbooks that help students prepare for the CS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Government policy mandates that all CSAT questions be picked from EBS and public school textbooks, which serves as a question bank. Making this open public question bank is supposed to help reduce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and students’ dependency on outside study and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The policy, however, fails to serve these purposes. In fact,it is counterproductive to the goals of language education in general and the CSAT verbal section in particular: the acquisition of language skills and the development of high-level critical thinking.
      번역하기

      EBS CSAT-Related Textbooks are workbooks that help students prepare for the CS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Government policy mandates that all CSAT questions be picked from EBS and public school textbooks, which serves as a question bank. Mak...

      EBS CSAT-Related Textbooks are workbooks that help students prepare for the CS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Government policy mandates that all CSAT questions be picked from EBS and public school textbooks, which serves as a question bank. Making this open public question bank is supposed to help reduce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and students’ dependency on outside study and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The policy, however, fails to serve these purposes. In fact,it is counterproductive to the goals of language education in general and the CSAT verbal section in particular: the acquisition of language skills and the development of high-level critical think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양규, "한국 학습 참고서 출판 현황에 대한 연구: 중고등 학습 참고서를 중심으로" 2004

      2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2006

      3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0

      4 김택상,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습자료 출판 현황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04

      5 손승완, "언어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어휘 평가도구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2007

      6 김라연, "수학능력시험 대비 ‘언어 영역’ 참고서 분석 연구" 28 : 2003

      7 김진미, "수능점수를 이용한 회귀모형 비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8 김중신, "수능 언어 영역 문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국어교육학회 (31) : 69-108, 2008

      9 노은희, "미국 SAT 문항 분석을 통한 수능 언어 영역 개선 방향 탐색" 국어교육학회 (34) : 267-307, 2009

      10 임지룡, "문법 교육론" 역락 2010

      1 박양규, "한국 학습 참고서 출판 현황에 대한 연구: 중고등 학습 참고서를 중심으로" 2004

      2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2006

      3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0

      4 김택상,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습자료 출판 현황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04

      5 손승완, "언어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어휘 평가도구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2007

      6 김라연, "수학능력시험 대비 ‘언어 영역’ 참고서 분석 연구" 28 : 2003

      7 김진미, "수능점수를 이용한 회귀모형 비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8 김중신, "수능 언어 영역 문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국어교육학회 (31) : 69-108, 2008

      9 노은희, "미국 SAT 문항 분석을 통한 수능 언어 영역 개선 방향 탐색" 국어교육학회 (34) : 267-307, 2009

      10 임지룡, "문법 교육론" 역락 2010

      11 박상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언어영역의 문항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2002

      12 박상규, "대학수학능력시험(언어 영역)의 현황과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회 (20) : 85-124, 2004

      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

      14 이나래,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 비문학 지문의 통사론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0

      15 박종훈,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과 국어 능력" 20 : 2010

      16 이규민, "대학수능력시험에서의 문제은행의 구축 및 활용 방안: 외국 사례를 중심으로" 20 : 2006

      17 이성영, "국어 교과서 정책" 국어교육학회 (36) : 71-98, 2009

      18 성태제, "교육 평가의 변화와 역할, In 한국 교육평가의 쟁점과 대안" 교육과학사 2000

      19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문법" 2004

      20 박정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상관성 연구 및 타당도 분석" 연세대학교 2005

      21 송경원, "ebs 교재와 수능의 ‘70% 연계’, 제대로 될까" 진보신당 2010

      22 백순근, "EBS강의 수강 시간이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 : 국어, 수학, 영어 교과별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1 (11): 223-24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0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