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 및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기관 및 가정에서 유아에게 발달적으로 적합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계획되고 실현될 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02956
부산 : 고신대학교, 2008
학위논문(석사) --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07
2008
한국어
부산
vi, 84 장 : 삽도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 및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기관 및 가정에서 유아에게 발달적으로 적합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계획되고 실현될 수 ...
본 연구는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 및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기관 및 가정에서 유아에게 발달적으로 적합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계획되고 실현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은 어떠한가?
2.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184명과 그 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236명이다. 연구도구는 교사용 지도서「유아를 위한 바른 인터넷 첫걸음」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교사용, 어머니용 질문지였다. 자료분석은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부수적으로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카이(χ2)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경험
첫째, 인터넷 사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교사집단과 어머니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게임중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 건강상의 문제’로는 ‘안과 관련 질환’과 ‘구부정한 자세 및 척추측만’이, ‘사회․정서발달상의 문제’로는 ‘공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문제점이 발견되었을 때 교사집단의 40.4%, 어머니 집단의 0.4%가 상담을 했었던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문제점 발견 시 지도방법에 대해 교사의 경우 ‘가정과 연계를 통해 지도 한다’, 어머니의 경우 ‘인터넷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 대상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실시 후 긍정적인 변화를 준 요인에 대해 교사는 ‘자료 및 교육매체’, 어머니는 ‘전문지식’ 때문이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했다. 교사와 어머니 집단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주지 못한 요인으로는 ‘자료 및 교육매체의 부족’을, 또한 교육을 실시하지 못한 요인으로는 ‘지도내용 및 방법의 부족’이라는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보통신윤리 교육 이수 경험은 교사와 어머니 집단 모두에서 ‘교육을 이수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2) 유아 교사와 어머니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인식
첫째, 정보통신윤리의 교육자로서, 정보통신윤리 관련 지식의 수준은 교사와 어머니가 유사하게 적어도 중간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부모 대상의 교육방법에 대해 ‘학부모 교육 및 간담회’가 교사와 어머니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이수 의지 역시 두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교사 대상의 연수방법으로는 ‘교육청 혹은 연수원 원격연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에 관한 인식으로서, 유아 대상의 정보통신윤리 교육내용으로 교사는 ‘컴퓨터 이용의 바른 자세’를, 어머니는 ‘인터넷 게임 중독예방’이 가장 적절하며, 유아 대상의 인터넷 기능으로는 두 집단 모두 ‘멀티미디어’가 가장 적절하다고 보았다.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과제로서, 교사는 ‘부모 대상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실시’를, 어머니는 ‘유아 대상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실시’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경우 ‘만 4세’, 어머니의 경우는 ‘만 5세 이후’가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시작 연령으로 적절하다고 보았다. 교육과정 운영 시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적절한 시기로는 교사가 ‘각반 담임 재량’이라고 한 반면, 어머니는 ‘특정한 주제를 교육할 때’라고 인식하였다. 두 집단 모두 교수방법으로는 ‘대집단 활동’이, 교육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유치원과 가정과의 연계교육’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