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모의 공동양육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공동양육과 유아기 자녀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 119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공동양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23663
2021
-
375
KCI등재
학술저널
55-77(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공동양육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공동양육과 유아기 자녀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 119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공동양육...
본 연구는 부모의 공동양육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공동양육과 유아기 자녀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 119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공동양육과 자녀 자아탄력성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공동양육은 지지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동양육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치, 지지의 점수가 높은 편이었고, 비난, 분담의 어려움은 낮은 편이었다. 어머니의 공동양육 일치와 지지는 아버지의 공동양육 일치, 지지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나, 비난, 분담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어머니의 공동양육 비난, 분담은 아버지의 공동양육 일치, 지지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나 비난, 분담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자녀의 자아탄력성은아버지의 공동양육 지지와 정적 상관이 있었고, 어머니 공동양육 일치, 지지와는 정적 상관이, 비난, 분담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모의 공동양육에 대한 생각 차이와 자녀의 자아탄력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공동양육을 위해서는 서로 간의 공동양육에 대한 이해와 지지가 필요하며, 배우자의 공동양육에 긍정적 인식을 가질 때 자녀의 자아탄력성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terns of parental coparenting and to find out the impact of parental coparenting on the ego-resilience of their childre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parenting for 119 of father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terns of parental coparenting and to find out the impact of parental coparenting on the ego-resilience of their childre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parenting for 119 of fathers and mothers and their children s ego-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 s and mother s coparenting support was the highest average score among 4 coparenting subscal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scales of coparenting, the scores of solidarity and support were high while those of undermining and sharing were low. Coparenting solidarity and support of mother 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ose of father s whereas they were negatively related to coparenting undermining and sharing of father s. Coparenting undermining and sharing of mother 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ose of father s while they were negatively related to copareting solidarity and support of father 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parentingand ego-resilience of children was as follows. In case of father, coparenting solidar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 s ego-resilience. In case of mother, coparenting solidarity and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 s ego-resilience while coparenting undermining and sharing were negatively related to child s ego-resilienc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 of father s and mother s perceptions on coparenting and child s ego-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ffective coparenting requires mutual understanding and support for their coparenting and that child s ego-resilience is also high when they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their spouse s coparenting.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혜,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지침서" 한국가이던스 2005
2 윤선영,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7-54, 2010
3 김영숙, "유아의 자아존중감 형성과 언어환경에 관한 고찰" 3 (3): 1-14, 1995
4 김예슬,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 이화어린이연구원 1 (1): 57-75, 2016
5 최지영, "유아기질과 부모양육태도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19-137, 2010
6 홍예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유연성의 관계: 아버지의 양육 분담의 조절효과" 육아정책연구소 11 (11): 105-125, 2017
7 이원영,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21 (21): 17-31, 2000
8 변혜원,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공감능력이공동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3 (23): 141-160, 2018
9 이미현,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4 (14): 265-285, 2015
10 김다래,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직무만족 및 부모역할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175-204, 2016
1 김지혜,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지침서" 한국가이던스 2005
2 윤선영,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7-54, 2010
3 김영숙, "유아의 자아존중감 형성과 언어환경에 관한 고찰" 3 (3): 1-14, 1995
4 김예슬, "유아의 외로움과 부모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의 관계" 이화어린이연구원 1 (1): 57-75, 2016
5 최지영, "유아기질과 부모양육태도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19-137, 2010
6 홍예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유연성의 관계: 아버지의 양육 분담의 조절효과" 육아정책연구소 11 (11): 105-125, 2017
7 이원영,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21 (21): 17-31, 2000
8 변혜원,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공감능력이공동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3 (23): 141-160, 2018
9 이미현,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4 (14): 265-285, 2015
10 김다래,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직무만족 및 부모역할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175-204, 2016
11 최정혜,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55-71, 2015
12 김희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과 지원" 파란마음 2014
13 김안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209-231, 2017
14 김그림,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불규칙 근무 취업모의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요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15 권혜진, "영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버지 역할만족도와 역할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녀와의 친밀감의 매개효과 탐색" 한국보육학회 10 (10): 87-106, 2010
16 서주현,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 101-121, 2012
17 정계숙,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73-97, 2012
18 Xue Yanqiu,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2 (32): 45-68, 2020
19 이현주,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과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183-203, 2011
20 이미현,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자기통제력과 친사회적 행동을 중심으로" 10 (10): 89-101, 2009
21 김정,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245-262, 2005
22 안정신,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양육 스트레스를 매개 변인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3 김은희,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원가족 애착경험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9 (19): 63-78, 2019
24 이정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5-20, 2003
25 오윤란,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유아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33 (33): 76-99, 2013
26 정금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사회도덕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0) : 43-64, 2013
27 최미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13-332, 2014
28 이영환,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녀양육 참여시간 비교"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471-495, 2012
29 김선영, "아버지와 어머니, 누가 더 걸음마기 자녀 기질의 신뢰로운 정보 제공자인가?" 이화어린이연구원 1 (1): 35-55, 2016
30 손소영, "아버지 역할이 나타난 TV광고 분석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217-227, 2013
31 강미선, "아버지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유아 행복감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71-95, 2017
32 김언경,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이화어린이연구원 5 (5): 133-164, 2020
33 정현숙, "부모학" 신정 2002
34 김민선,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여부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29-38, 2010
35 조부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일치유형 및 일치 여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비교"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93-119, 2009
36 조부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 및 일치 정도와유아의 감성지능과의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105-133, 2007
37 배문주,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태도 일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8 최은숙, "부모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정서조절 행동"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7 (17): 131-151, 2013
39 유진희, "부모역할이 유아의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0 전진선, "부모간의 자녀 양육태도의 일치도와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4 (4): 137-155, 1995
41 박화윤, "부모 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창지사 2007
42 임선희, "부모 공동양육의 삶의 이야기: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7 (27): 353-380, 2020
43 장휘숙,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 창지사 2005
44 정은영,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직무만족도 및 배우자의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소 9 (9): 201-226, 2015
45 유희정, "맞벌이 가구의 영아양육을 위한 조부모 양육 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46 박천진,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부모 양육태도와 유아 교육기관 적응과의 관계: 유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1-20, 2018
47 통계청, "고용동향"
48 강희경,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가정과삶의질학회 23 (23): 93-102, 2005
49 통계청, "가사분담에 대한 견해 및 실태"
50 Ahrons, C. R., "The continuing coparental relationship between divorced spouses" 51 (51): 415-428, 1981
51 Geneviève Bouchard, "The Marital Context for Father Involvement with Their Preschool Children" Informa UK Limited 20 (20): 37-53, 2000
52 Mark E. Feinberg, "The Internal Structure and Ecological Context of Coparenting: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Informa UK Limited 3 (3): 95-131, 2003
53 Gutek B. A.,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76 (76): 560-568, 1991
54 Susan S. Chuang, "Personality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 longitudinal study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Sweden" SAGE Publications 30 (30): 338-343, 2006
55 Block, J. H., "Parental agreement-disagreement child-rearing orientations and gender-related personality correlates in children" 52 (52): 965-974, 1981
56 Mchale, J. P., "Overt and covert coparenting process in the family" 36 (36): 183-201, 1997
57 Julia Brannen, "From Fatherhood to Fathering: Transmission and Change among British Fathers in Four-generation Families" SAGE Publications 40 (40): 335-352, 2006
58 Geneviève Bouchard, "Fathers' Motivation for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Men's Studies Press, LLC 5 (5): 25-41, 2007
59 Block, J. H.,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Erlbaum 39-101, 1980
60 Sarah J. Schoppe-Sullivan, "Coparenting behavior moderates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effortful control and preschool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Wiley 50 (50): 698-706, 2009
61 Bryndl Hohmann-Marriott, "Coparenting and Father Involvement in Married and Unmarried Coresident Couples" Wiley 73 (73): 296-309, 2011
62 Van Egeren, L. A., "Coming to terms with coparenting : Implications of definition and measurement" 11 (11): 165-178, 2004
63 Kami A. Merrifield, "Associations Among Marital Qualities, Supportive and Undermining Coparenting, and Parenting Self-Efficacy" SAGE Publications 34 (34): 510-533, 2012
64 보건복지부, "2018년 전국보육실태 조사 : 가구 조사보고" 보건복지부 2018
보육실습 현장의 관계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예비유아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