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매화시에서는 공간에 대한 시선이 극단적이다. 도산은 유학적 공 간이고 서울은 세속적 공간이라는 식의 표현이 그것이다. 공간 개념이 양분되는 까닭은 순선무악의 원천이 되는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퇴계 매화시에서는 공간에 대한 시선이 극단적이다. 도산은 유학적 공 간이고 서울은 세속적 공간이라는 식의 표현이 그것이다. 공간 개념이 양분되는 까닭은 순선무악의 원천이 되는 자...
퇴계 매화시에서는 공간에 대한 시선이 극단적이다. 도산은 유학적 공
간이고 서울은 세속적 공간이라는 식의 표현이 그것이다. 공간 개념이
양분되는 까닭은 순선무악의 원천이 되는 자질을 묶어 도산 공간이라 하
고 순악무선의 원천이 되는 자질을 묶어 서울 공간이라 하기 때문이다.
도산이 이상적이어서 도산 공간의 매화는 언제나 밝고 맑은 형상일 듯하
나, 그렇지 않다. 품격과 생의의 형상과는 달리, 감각의 형상에서는 어둡
고 초췌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감각의 형상이 여타 형상과 다른 데는 까닭이 있다. 감각의 형상은 사(事)와 이(理)에 관여하며 소당연의 경지를
보여주기 때문이고, 품격의 형상과 생의의 형상은 이(理)에만 관여하며
소이연의 경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인성론의 차원에서 볼 때, 퇴계 매
화시의 의의는 두 가지다. 매화가 만물과 더불어 대우주의 기운을 느낀
다는 점이 그 한 가지요, 매화가 경(敬)으로 인욕을 차단하고 천리를 보
존ㆍ함양하고자 한다는 점이 그 다른 한 가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구슬, "퇴계의 일원론적 사상:매화시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 : 81-100, 2012
2 이동기, "퇴계의 인성교육" 영남대출판부 10-20, 2015
3 김기현, "퇴계의 욕망관에 내재된 인간학" 퇴계학연구원 (127) : 1-42, 2010
4 김태오, "퇴계의 매화사랑과 매화시의 교육적 함의" 한국학연구원 (50) : 157-191, 2013
5 신태수, "퇴계의 독서생활" 지성인 132-144, 2013
6 신태수, "퇴계의 독서법, 그 활간의 미학" 영남대출판부 359-, 2016
7 김기현, "퇴계의 審美의식과 초월의 정신" 퇴계학연구원 (120) : 101-142, 2006
8 이정화, "퇴계 이황의 매화시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41) : 129-145, 2008
9 이재룡,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법학연구소 34 (34): 95-124, 2010
10 신태수, "인성오디세이" 북코리아 30-36, 2016
1 김구슬, "퇴계의 일원론적 사상:매화시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 : 81-100, 2012
2 이동기, "퇴계의 인성교육" 영남대출판부 10-20, 2015
3 김기현, "퇴계의 욕망관에 내재된 인간학" 퇴계학연구원 (127) : 1-42, 2010
4 김태오, "퇴계의 매화사랑과 매화시의 교육적 함의" 한국학연구원 (50) : 157-191, 2013
5 신태수, "퇴계의 독서생활" 지성인 132-144, 2013
6 신태수, "퇴계의 독서법, 그 활간의 미학" 영남대출판부 359-, 2016
7 김기현, "퇴계의 審美의식과 초월의 정신" 퇴계학연구원 (120) : 101-142, 2006
8 이정화, "퇴계 이황의 매화시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41) : 129-145, 2008
9 이재룡,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법학연구소 34 (34): 95-124, 2010
10 신태수, "인성오디세이" 북코리아 30-36, 2016
11 신연우, "이황 시의 깊이와 아름다움" 지식산업사 169-190, 2006
12 임헌규, "유교의 인간이상과 보편적 가족주의" 동양고전학회 (45) : 337-361, 2011
13 최봉근, "변화와 생성의 관점에서 본 퇴계철학의 소당연과 소이연-유기체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40 : 141-167, 2004
14 김재룡, "韓國 梅花詩의 傳統과 宋璟" 우리문학회 (22) : 31-60, 2007
15 홍우흠, "退溪의《梅花詩帖》賞析" 영남퇴계학연구원 (1) : 179-210, 2007
16 권오영,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한국한문학회 (46) : 93-128, 2010
17 김영숙, "退溪의 六友詩 類型에 따른 詩的形象과 그 의미" 한민족어문학회 (51) : 281-314, 2007
18 鄭錫胎, "退溪의 梅花詩에 대하여" 檀國大 退溪學硏究所 5 : 65-85, 1991
19 洪瑀欽, "退溪의 <梅花詩帖>에 對한 硏究"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4 : 85-120, 1983
20 손오규, "退溪 梅花詩의 意象" 泮橋語文學會 10 : 141-172, 1999
21 李澤東, "退溪 梅花詩 硏究" 西江大學校 大學院 1990
22 이재일, "梅花詩에 나타난 李滉의 意識指向" 동양한문학회 27 (27): 303-343, 2008
23 曺玟煥, "朱熹 天理人欲之辨에 관한 美學的 硏究" 한국유교학회 6 : 143-178, 1993
24 김병환, "儒家의 生命觀 生生, 만물일체와 ‘살림’의 생명론" 한국유교학회 (22) : 307-336, 200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4-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OEGYE-HAK-LON-GIB -> TOEGYE-HAK-LON-JIB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2-02-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OEGYE-HAK-LON-GIB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2 | 0.934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