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 청각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은 장애인의 정보접근권이 시 · 청각 장애라는 장애의 유형과 방송매체라는 대상매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구체화된 권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시 · 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79491
2020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255-286(32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시 · 청각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은 장애인의 정보접근권이 시 · 청각 장애라는 장애의 유형과 방송매체라는 대상매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구체화된 권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시 · 청...
시 · 청각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은 장애인의 정보접근권이 시 · 청각 장애라는 장애의 유형과 방송매체라는 대상매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구체화된 권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시 · 청각장애인의 방송접근권은 정보접근권이 가진 정보의 자유의 자유권적 성격과 더불어, 장애인 접근권의 시각에서 부각된 정보불균형 해소를 위한 평등권적 성격 및 장애인의 자유로운 독립적 생활보장을 위한 사회권적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다.
시 · 청각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은 복합적인 성격의 권리이지만, 오늘날에는 국가의 지원이 요구되는 사회권적 성격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특히 장애인이 의사소통능력이나 판단능력의 어려움으로 인해 타인이나 국가의 도움 없이는 그 스스로 권리를 주장하거나 권리구제절차에 참여하기 힘들다는 점을 고려하면, 시 · 청각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실현을 위한 입법 · 집행 · 사법기관의 적극적인 국가권력행사의 필요성은 비장애인의 경우에 비해 크게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시 · 청각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은 국내법규범보다 국제법규범에서 먼저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국제인권조약으로서 장애인권리협약의 발전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권리협약중 시 · 청각 장애인의 방송접근권과 관련된 규정은 제21조 정보접근권을 비롯하여, 제9조 접근성과 제2조 합리적 편의제공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 때 제9조의 접근성과 제2조의 합리적 편의제공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국내법질서 내에 있는 장애인 관련 법률의 해석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 법제 내에서 시 · 청각 장애인의 방송접근권과 관련된 규정은 장애인차별금지법, 장애인복지법, 방송법, 방송통신발전기본법 등에 분산되어 규정되어 있다. 이 중 장애인차별금지법과 방송법은 방송사업자의 장애인방송(한국수어 · 폐쇄자막 · 화면해설 · 방송) 의무를 ‘방송 · 제공하여야 한다’는 필수적 의무 형태로 규정하고 있는 반면, 장애인복지법은 방송접근권 보장을 위한 국가의 의무를 ‘노력하여야 한다’는 임의적 의무 형태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의 의무가 임의적으로 규정되었다고 하여 방송접근권 보장을 위한 일차적 역할을 방송사업자에게만 부과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방송사업자가 시 · 청각 장애인을 위한 방송지원을 부담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지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 때 국가의 방송접근권의 지원은 비장애인의 기본권과 실질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ight to access inform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the right to materialize freedom of information and access. Also, the broadcasting access right of the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can be said to be a materialized right reflec...
The right to access inform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the right to materialize freedom of information and access. Also, the broadcasting access right of the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can be said to be a materialized right reflecting the type of disability called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medium. The broadcasting access rights for the hearing and hearing impaired are complex rights that have the right of equality for resolving information inequality and the social right for the free and independent lif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broadcasting access rights of the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have the character of social rights, so they require active support from the stat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assert their rights or participate in the remedy of their rights without the help of others or the state due to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or judgment, a country for the realization of information access rights for visual and hearing impaired. Active exercise of power will be more demanding than for non-disabled people.
The broadcasting access right of the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began to develop in international law before domestic law, and it is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Disabled as an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y. The provisions relating to access to information of the disabled during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Articles 21 (Freedom of expression and opinion, and access to information), 9 (Accessibility) and 2 (Reasonable accommodation). Articles 9 and 2 form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nd may serve as the basis for an interpretation of laws related to the disabled in domestic law.
The provisions concerning the broadcasting access rights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hearing impaired are prescribed by dividing them into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the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and the Broadcasting Act. Among them, Act on the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and the Broadcasting Act provides the mandatory forms of disability broadcasting for broadcasters. While the Disability Welfare Act provides for arbitrary forms of state obligations to guarantee access to broadcasting.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o impose only on broadcasting service provider all roles in ensuring broadcasting access, because the national obligation is arbitrary. For broadcasting service providers to smoothly carry out broadcasting support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hearing impaired, government support is essential. And at this time, the support of the right to broadcast should be made in a way that is in harmony with the basic rights of the non-disabl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헌재 2011. 12. 29. 선고 2010헌마293 결정"
2 "헌재 2009. 5. 28. 선고 2006헌바109 결정"
3 "헌재 2009. 5. 28. 선고 2006헌마285 결정"
4 "헌재 2003. 10. 30. 선고 2002헌마518 결정"
5 "헌재 1998. 10. 29. 선고 98헌마4 결정"
6 "헌재 1991. 5. 13. 선고 90헌마133 결정"
7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8 계희열, "헌법학(中)" 박영사 2004
9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9
10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9
1 "헌재 2011. 12. 29. 선고 2010헌마293 결정"
2 "헌재 2009. 5. 28. 선고 2006헌바109 결정"
3 "헌재 2009. 5. 28. 선고 2006헌마285 결정"
4 "헌재 2003. 10. 30. 선고 2002헌마518 결정"
5 "헌재 1998. 10. 29. 선고 98헌마4 결정"
6 "헌재 1991. 5. 13. 선고 90헌마133 결정"
7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8 계희열, "헌법학(中)" 박영사 2004
9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9
10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9
11 한수웅, "헌법상의 ‘알 권리’-헌법재판소 주요결정에 대한 판례평석을 겸하여" (551) : 35-73, 2002
12 이준일, "헌법과 소수자 보호" 안암법학회 (43) : 1-29, 2014
13 주정민, "해외 선진국과 국내의 장애인방송 운영제도 비교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4
14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9
15 김명수, "청각 장애인의 참정권 보장에 관한 연구 - 헌재 2009. 5. 28, 2006헌마285 결정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1 (11): 487-509, 2010
16 장영수, "차별금지규정에 관한 국내입법례 분석과 평가" 법무부 2015
17 권건보, "정보접근권의 실효적 보장에 관한 고찰 ― 정보주체의 정보접근권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29 (29): 1-43, 2018
18 김상겸, "정보기본권의 체계와 보장에 관한 연구 - 정보국가원리와 관련하여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6 (16): 71-92, 2010
19 윤수정, "장애인정책의 적극적 사법심사를 위한 심사방법의 모색" 한국공법학회 43 (43): 21-46, 2015
20 윤수정, "장애인정책의 개선방향에 대한 헌법적 고찰" (28) : 55-86, 2016
21 전광석, "장애인정책과 입법방법론 - 발달장애인법안을 중심으로-" 한국법학원 137 : 103-125, 2013
22 윤수정, "장애인의 참정권 보장 ― 정신적 장애인의 선거권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7 (47): 201-231, 2018
23 전영,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에 관한 연구 -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39) : 397-420, 2012
24 송종길,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방송학회 2003 (2003): 147-178, 2003
25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재단법인 동천, "장애인법연구" 경인문화사 2016
26 최은경, "장애인방송 서비스 관련 정책 결정 과정의 거버넌스: 영국과 한국의 장애인방송 서비스 규제 지침 사례의 비교 분석" 한국방송학회 32 (32): 225-272, 2018
27 권건보, "장애인권리협약의 국내적 이행 상황 검토" 법학연구원 (39) : 517-542, 2012
28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권리협약 해설집" 2007
29 장영수, "장애인 인권의 접근 방법" 안암법학회 (40) : 293-321, 2013
30 한상희, "장애인 인권의 법적 기초에 대한 고찰" (7) : 1-21, 2004
31 이영희, "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화면해설방송 편성의 개선방안 연구: 지상파 3사의 편성 현황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6 (16): 37-83, 2015
32 김명수, "장애인 기본권의 기초로서의 접근권에 관한 고찰"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1-24, 2009
33 김형식, "유엔장애인권리협약해설" 어가 2019
34 심재진, "유엔 장애인권리협약의 접근권 개념과 개별 국가의 사례: 반차별권(합리적 편의제공 의무)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0 (40): 91-122, 2018
35 김현귀, "액세스권의 기본권적 의의" (사)한국언론법학회 12 (12): 217-259, 2013
36 김배원, "알 권리의 법적 성격과 내용" 헌법재판소 27 : 183-243, 2016
37 신동환, "시청각 장애인의 방송시청 편의성 증대를 위한 오디오 핑거프린팅 기술과 스마트 기기의 활용"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13 (13): 457-466, 2016
38 김호연, "시각장애인의 방송접근을 위한 화면해설방송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1-25, 2010
39 김여라, "디지털시대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제고 방안" (167) : 1-4, 2010
40 김여라, "디지털시대 방송소외계층의 방송접근권 제고 방안" 국회입법조사처 2010
41 송종길, "디지털 시대 장애인 방송 활용론"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3
42 "대법원 2014. 8. 28. 선고 2014도4496 판결"
43 박영도, "노력의무규정의 입법론적 고찰" 한국법제연구원 (49) : 203-234, 2015
44 박선욱,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적용 -주요국의 적용사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법학회 (49) : 409-431, 2013
45 Committee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General Comment no. 6 - on equality and non-discrimination" 2018
46 Committee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General Comment no. 2 -Article 9 Accessibility" 2014
47 Ruth Colker, "Federal Disability Law" West Academic Publishing 2016
48 윤석민, "21세기 방송환경변화와 새로운 방송이념" 한국방송학회 2002 (2002): 89-115, 2002
49 방송통신위원회, "2018 방송통신위원회 연차보고서" 2018
5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18
헌법상 문화국가원리 실현을 위한 ‘국가유산’ 법제 체계화
개정 공직선거법에 따른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헌법적 문제점
프랑스 공공조달 감사제도에 관한 연구 - 부패방지제도와 감사기준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0.96 | 1.025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