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융합놀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시대에 급격한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권한을 박탈하면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86428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협동과정 융합교육전공 , 2021. 2
2021
한국어
371.398 판사항(22)
충청북도
The Effect of Convergence Play Program
viii,151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정은영
참고문헌 : p.120-126
I804:43012-00000003849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융합놀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시대에 급격한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권한을 박탈하면서 ...
본 연구는 융합놀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시대에 급격한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권한을 박탈하면서 인간의 영역을 침범할 수 있다. 이에 인공지능이 대체할 수 없는 능력이 중시되며, 지식을 융합하고 해석할 수 있는 창조적이고 융합적인 인재상이 요구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융합교육이 시도되고 있다. 융합교육은 과학, 기술, 지식과 인문예술 소양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전인적인 인격을 도야하기 위한 전인교육을 지향하며 삶 속에서 배움을 실현하는 인성교육과 맥락을 함께 한다. 이러한 융합교육을 전 학교급에서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유아기 시기부터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놀이 중심의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교육에서 융합교육을 적용한 융합놀이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융합놀이가 인성교육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C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4세 20명의 유아가 참여하였으며, 유아에게 4주간 8회차 분량의 융합놀이 수업을 적용하였다. 유아들에게 융합놀이 수업 적용 전후로 인성 평가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관찰과 학부모 면담 기록을 통해 유아들의 인성 변화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놀이를 통해 유아가 상대방을 존중하고 의사소통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향상 정도는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융합놀이가 유아의 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융합놀이프로그램 기반 유아 융합놀이 수업이 갖는 인성 함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평균 점수가 사전 평균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인성의 핵심항목인 나눔, 배려, 존중, 질서, 협력을 각각 대응표본 t 검정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p<.001), 나눔, 배려, 존중, 질서, 협력 모두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평균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가 나왔다. 나눔, 배려, 존중, 질서, 협력을 평균 비교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으나(p<.001), 사후검사에서는 핵심항목의 평균이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셋째, 융합 놀이 수업을 적용한 유아에 관한 관찰기록과 학부모 면담을 분석한 결과, 유아는 융합놀이를 통해 자신의 소중함과 올바른 자존감, 성숙한 배려심을 깨달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또래 집단에의 소속감과 아름다움에 관한 심미적 감성을 키우는 계기가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치원 교육환경에서도 융합놀이가 필요하고, 더욱 발전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아에게 인성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유치원 교사들에게 융합놀이의 중요성과 기존에 가지고 있던 놀이의 인식을 변화시키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