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과 정치 이데올로기의 관계성 - 작가 오성덕을 중심으로 - = The Relatedness of Literature and Political Ideology - With poet Oh Sung-deok as the center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00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Oh Seong-deok’s life and literature with the political ideology of Japanese colonial era,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Oh Seong-deok worked in Youngsters Movement, and became a writer by presenting works in the Chosun Ilbo, the Joong-ang Ilbo, and the Honam Review.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Lee Dong-ju, Jeong-cheol, and Shim In-seop were engaged in work activities such as publishing poems while working as an editor-in-chief of the Mokpo Art Alliance’s organization, and went missing amid ideological disputes and political ideology.
      It is presumed that Oh Seong-deok was also sacrificed by ideology, as the poet Jeong Cheol was buried in the case of the Press Federation. After that, he will continue to collect his deeds and works to reveal his literary achievements.
      번역하기

      This article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Oh Seong-deok’s life and literature with the political ideology of Japanese colonial era,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Oh Seong-deok worked in Youngsters Movement, and be...

      This article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Oh Seong-deok’s life and literature with the political ideology of Japanese colonial era,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Oh Seong-deok worked in Youngsters Movement, and became a writer by presenting works in the Chosun Ilbo, the Joong-ang Ilbo, and the Honam Review.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Lee Dong-ju, Jeong-cheol, and Shim In-seop were engaged in work activities such as publishing poems while working as an editor-in-chief of the Mokpo Art Alliance’s organization, and went missing amid ideological disputes and political ideology.
      It is presumed that Oh Seong-deok was also sacrificed by ideology, as the poet Jeong Cheol was buried in the case of the Press Federation. After that, he will continue to collect his deeds and works to reveal his literary achiev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 그리고 한국전쟁기의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와 작가 오성덕의 문학적 생애의 관계성을 밝힌 것이다. 오성덕은 일제강점기에는 목포에서 소년운동과 청년운동 지도부에서 활동했고 조선일보와 중외일보, 호남평론 등에서 작품을 발표하면서 작가로 자리잡았다. 그는 해방기에 목포예술동맹 기관지 예술문화의 편집주간으로 활동하면서 이동주, 정철, 심인섭 등과 시집을 내는 등 작품활동을 하던 중 좌우 이념논쟁과 정치 이데올로기 속에서 행방불명되었다. 시인 정철이 보도연맹사건으로 수장되었던 것처럼 오성덕 또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희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지속적으로그의 행적과 작품을 수습하여 문학적 성과를 밝혀나갈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 그리고 한국전쟁기의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와 작가 오성덕의 문학적 생애의 관계성을 밝힌 것이다. 오성덕은 일제강점기에는 목포에서 소년운동과 청년운동 ...

      이 글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 그리고 한국전쟁기의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와 작가 오성덕의 문학적 생애의 관계성을 밝힌 것이다. 오성덕은 일제강점기에는 목포에서 소년운동과 청년운동 지도부에서 활동했고 조선일보와 중외일보, 호남평론 등에서 작품을 발표하면서 작가로 자리잡았다. 그는 해방기에 목포예술동맹 기관지 예술문화의 편집주간으로 활동하면서 이동주, 정철, 심인섭 등과 시집을 내는 등 작품활동을 하던 중 좌우 이념논쟁과 정치 이데올로기 속에서 행방불명되었다. 시인 정철이 보도연맹사건으로 수장되었던 것처럼 오성덕 또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희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지속적으로그의 행적과 작품을 수습하여 문학적 성과를 밝혀나갈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남평론사, "호남평론"

      2 "중외일보"

      3 "조선일보"

      4 차재석, "삼학도로 가는길" 세종출판사 1991

      5 이동순, "문학적 생애에 드러난 이데올로기의 폭력 - 작가 정철을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86 : 387-407, 2021

      6 "동아일보"

      7 이동주, "네동무" 목포예술문화동맹출판부 1946

      8 박화성, "나의 교우록"

      9 목포예술문화동맹, "<예술문화> 1-4권"

      10 차재석, "<목포문학> 6" 세종출판사 1982

      1 호남평론사, "호남평론"

      2 "중외일보"

      3 "조선일보"

      4 차재석, "삼학도로 가는길" 세종출판사 1991

      5 이동순, "문학적 생애에 드러난 이데올로기의 폭력 - 작가 정철을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86 : 387-407, 2021

      6 "동아일보"

      7 이동주, "네동무" 목포예술문화동맹출판부 1946

      8 박화성, "나의 교우록"

      9 목포예술문화동맹, "<예술문화> 1-4권"

      10 차재석, "<목포문학> 6" 세종출판사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