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용 언어력 검사의 타당도 연구 = The Validity of the Screening Test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6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creening Test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STELD) in Korean children(age 1;6~3;11). STELD is the screening test composed of the vocabulary checklist and emergent literacy list.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creening Test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STELD) in Korean children(age 1;6~3;11). STELD is the screening test composed of the vocabulary checklist and emergent literacy list. The STELD and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SELSI) were applied to 37 normal children who were divided into four age group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wo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concurrent validity.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s were obtained between the two tests(STELD and SELSI). It was suggested that the STELD is a valid tool for measuring the children in early stage of language develop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8개월부터 36개월 유아의 표현어휘력과 읽기준비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아용 언어력검사’(가칭)의 개발을 목적으로 검사가 갖는 공인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

      본 연구에서는 18개월부터 36개월 유아의 표현어휘력과 읽기준비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아용 언어력검사’(가칭)의 개발을 목적으로 검사가 갖는 공인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6-3;11세 아동 총 37명을 대상으로 ‘유아용 언어력 검사’와 국내에서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 김영태 외, 2003)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검사를 토대로 두 검사 간 공인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공인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실시한 유아용 언어력 검사의 어휘력 검사와 SELSI 간의 상관계수는 .87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용 언어력 검사의 읽기준비도 검사와 SELSI 간 상관계수 역시 .5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용 언어력 검사를 어휘력과 읽기 준비도를 평가하는 타당도를 갖춘 간편 검사로 제안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8개월-17개월" 한국심리학회 23 (23): 77-99, 2004

      2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18개월 ~ 36개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91-106, 2004

      3 배소영, "영유아기 의미평가도구 MCDI-K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14, 2003

      4 김영태․,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 학지사 2003

      5 이지연, "어머니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31-146, 2004

      6 이승복, "아이와 함께하는 신기한 언어발달" 학지사 2011

      7 김영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서울장애인복지관 2009

      8 배소영,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K M-B CDI)" 마인드프레스 2011

      9 Fenson, E, "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Singular Publishing Group 1993

      10 Snow, C. E,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1998

      1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8개월-17개월" 한국심리학회 23 (23): 77-99, 2004

      2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18개월 ~ 36개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91-106, 2004

      3 배소영, "영유아기 의미평가도구 MCDI-K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14, 2003

      4 김영태․,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 학지사 2003

      5 이지연, "어머니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31-146, 2004

      6 이승복, "아이와 함께하는 신기한 언어발달" 학지사 2011

      7 김영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서울장애인복지관 2009

      8 배소영,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K M-B CDI)" 마인드프레스 2011

      9 Fenson, E, "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Singular Publishing Group 1993

      10 Snow, C. E,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1998

      11 Storch, S. A, "Oral language and code-related precursors to reading: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ructural model" 38 : 934-947, 2002

      12 Catts, H. W,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Allyn & Bacon 2005

      13 Owens, R, "Language Development(7th ed.)" Allyn & Bacon 2007

      14 Pae, S, "Early vocabulary in Korean: Are nouns easier to learn than verbs?" University of Kansas 1993

      15 Jackson-Maldonado, D, "Early lexical development in Spanish-speaking infants and toddlers" 20 : 523-549, 1993

      16 Coplan, J, "Early language milestone scale(ELM Scale-2)" Pro-Ed 1993

      17 Bates, E, "Developmental and stylistic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early vocabulary" 21 : 85-123, 1994

      18 Wetherby,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 Paul H. Brooks 1993

      19 장유경, "24개월 영아의 어휘습득, 책읽기 활동과 청각기억 능력의 발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 (20): 51-65,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3 1.83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7 1.64 2.126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