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낱말퍼즐 학습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92333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신라대학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 --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 전공 , 2007.8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717.5 판사항(4)

      • 발행국(도시)

        부산

      • 기타서명

        Effect of word puzzle activity on the vocabular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형태사항

        60장 ; 26 cm.

      • 소장기관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낱말퍼즐 학습을 통한 어휘 지도가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 학생은 부산시에 소재하는 G여고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3학년 정신지체 여학생이다. 이들 중 나이가 만 15세-19세, IQ 50-75 사이의 경도 정신지체이며 그림어휘력검사와 낱말퍼즐 학습에 필요한 기초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고 간단한 지시 수행과 대화가 가능한 학생을 가려 14명을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연구 대상 학생을 7명씩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 어휘력 검사를 실시한 뒤, 방과 후 특기적성 시간을 이용하여 실험집단에게만 40분씩 주 2회 9주간, 총 18회기에 걸쳐 낱말퍼즐 학습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학습이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 어휘력 검사를 두 집단에게 실시하여 그 결과로 어휘력 향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낱말퍼즐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초등학교 1-3학년 읽기 교과서를 분석하여 대상 학생의 수준에 적절한 132개의 낱말을 선정하고, 한 회기 당 7-8개의 낱말을 익힐 수 있도록 학습지 형식으로 제작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 사용되는 어휘력 측정 도구는 신헌재가 개발한 어휘력 검사에서 발췌, 수정하여 명사, 동사, 형용사의 의미를 파악하는 사지선다형 10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낱말퍼즐 학습의 적용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사후검사 결과를 명사, 동사, 형용사, 총점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실험집단이 더 놓은 어휘력 점수가 나왔다. 그러나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도의 차이는 아니었다. 그 이유는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이 낱말퍼즐 학습으로 높은 어휘력 점수를 나타냈으나, 반면 통제집단에서도 사전 검사를 통한 학습의 효과로 사후 검사 점수가 소폭 상승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두 집단 내의 사전-사후 어휘력 변화량을 살펴보니, 실험집단의 어휘력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통제집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두 집단 간의 어휘력 변화량을 비교해 보아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낱말퍼즐 학습을 실시한 집단에서 어휘력 변화량이 더 큰 폭으로 상승했으므로 낱말퍼즐 학습이 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로부터 낱말퍼즐 학습을 어휘 지도에 적용하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퍼즐을 통한 놀이 형식의 학습 방법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에게 흥미와 자신감을 심어주어, 자연스러운 가운데 어휘력을 습득하게 된 결과라고 본다. 앞으로 정신지체아들이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낱말퍼즐을 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된다면 어휘력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낱말퍼즐 학습을 통한 어휘 지도가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 학생은 부산시에 소재하는 ...

      본 연구는 낱말퍼즐 학습을 통한 어휘 지도가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 학생은 부산시에 소재하는 G여고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3학년 정신지체 여학생이다. 이들 중 나이가 만 15세-19세, IQ 50-75 사이의 경도 정신지체이며 그림어휘력검사와 낱말퍼즐 학습에 필요한 기초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고 간단한 지시 수행과 대화가 가능한 학생을 가려 14명을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연구 대상 학생을 7명씩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모두에게 사전 어휘력 검사를 실시한 뒤, 방과 후 특기적성 시간을 이용하여 실험집단에게만 40분씩 주 2회 9주간, 총 18회기에 걸쳐 낱말퍼즐 학습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학습이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 어휘력 검사를 두 집단에게 실시하여 그 결과로 어휘력 향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낱말퍼즐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초등학교 1-3학년 읽기 교과서를 분석하여 대상 학생의 수준에 적절한 132개의 낱말을 선정하고, 한 회기 당 7-8개의 낱말을 익힐 수 있도록 학습지 형식으로 제작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 사용되는 어휘력 측정 도구는 신헌재가 개발한 어휘력 검사에서 발췌, 수정하여 명사, 동사, 형용사의 의미를 파악하는 사지선다형 10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낱말퍼즐 학습의 적용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사후검사 결과를 명사, 동사, 형용사, 총점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실험집단이 더 놓은 어휘력 점수가 나왔다. 그러나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도의 차이는 아니었다. 그 이유는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이 낱말퍼즐 학습으로 높은 어휘력 점수를 나타냈으나, 반면 통제집단에서도 사전 검사를 통한 학습의 효과로 사후 검사 점수가 소폭 상승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두 집단 내의 사전-사후 어휘력 변화량을 살펴보니, 실험집단의 어휘력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통제집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두 집단 간의 어휘력 변화량을 비교해 보아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낱말퍼즐 학습을 실시한 집단에서 어휘력 변화량이 더 큰 폭으로 상승했으므로 낱말퍼즐 학습이 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로부터 낱말퍼즐 학습을 어휘 지도에 적용하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퍼즐을 통한 놀이 형식의 학습 방법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에게 흥미와 자신감을 심어주어, 자연스러운 가운데 어휘력을 습득하게 된 결과라고 본다. 앞으로 정신지체아들이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낱말퍼즐을 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된다면 어휘력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word puzzle activity on the vocabular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entally retarded 1st to 3rd graders in G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Busan. Among them 14 subjects who fall under 15 to 19 years of age, who has light mental retard such as IQ 50-75, who have basic learning capabilities for picture vocabulary test and word puzzle learning and who can understand simple instructions and conversations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7 for experimental group and 7 for control group.To both groups, vocabulary was tested as a pretest.Using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after school, total 18 sessions of word puzzle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only.Each session lasts 40 minutes and they were given two times a week for 9 weeks. After the sessions, post vocabulary test identical to the pretest were performed on both group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identify the vocabulary improvement. The word puzzle program used for this study was produced by the researcher analyzing Reading textbook of 1-3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hoosing 132 words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the target students and enabling them to learn 7-8 words in each session. The vocabulary test for the pre and post test was composed of 100 multiple questions asking the meaning of nouns, verbs and adjectives by abstracting and modifying the vocabulary test developed by Shin Heon-jae. To see the results of the word puzzle program application, the pretest and post test results of two groups were compared.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First,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wo groups by nouns, verbs, adjectives and total su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ight be because the experimental group could get higher vocabulary scores due to word puzzle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could have better scores because of the learning effects from the pretest. Second, when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vocabulary of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vocabular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change. When comparing the volume of vocabulary of the two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group that had word puzzle sessions showed bigger increase in vocabulary, it seems that word puzzles made positive influence on vocabulary.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word puzzles can make positive influence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It seems that the learning through puzzle games may give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and they can learn vocabulary spontaneously. If we have more programs enabling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to contact word puzzles in everyday life, we can expect to improve and enhance their vocabulary furth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word puzzle activity on the vocabular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entally retarded 1st to 3rd graders in G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word puzzle activity on the vocabular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entally retarded 1st to 3rd graders in G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Busan. Among them 14 subjects who fall under 15 to 19 years of age, who has light mental retard such as IQ 50-75, who have basic learning capabilities for picture vocabulary test and word puzzle learning and who can understand simple instructions and conversations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7 for experimental group and 7 for control group.To both groups, vocabulary was tested as a pretest.Using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after school, total 18 sessions of word puzzle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only.Each session lasts 40 minutes and they were given two times a week for 9 weeks. After the sessions, post vocabulary test identical to the pretest were performed on both group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identify the vocabulary improvement. The word puzzle program used for this study was produced by the researcher analyzing Reading textbook of 1-3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choosing 132 words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the target students and enabling them to learn 7-8 words in each session. The vocabulary test for the pre and post test was composed of 100 multiple questions asking the meaning of nouns, verbs and adjectives by abstracting and modifying the vocabulary test developed by Shin Heon-jae. To see the results of the word puzzle program application, the pretest and post test results of two groups were compared.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First,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wo groups by nouns, verbs, adjectives and total su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ight be because the experimental group could get higher vocabulary scores due to word puzzle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could have better scores because of the learning effects from the pretest. Second, when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vocabulary of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vocabular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change. When comparing the volume of vocabulary of the two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group that had word puzzle sessions showed bigger increase in vocabulary, it seems that word puzzles made positive influence on vocabulary.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word puzzles can make positive influence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It seems that the learning through puzzle games may give the mentally retarded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and they can learn vocabulary spontaneously. If we have more programs enabling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to contact word puzzles in everyday life, we can expect to improve and enhance their vocabulary fur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3
      • 3. 용어의 정의 = 4
      • 4. 연구의 제한점 = 6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3
      • 3. 용어의 정의 = 4
      • 4. 연구의 제한점 = 6
      • Ⅱ. 이론적 배경 = 7
      • 1. 어휘 지도 = 7
      • 1) 어휘 지도의 필요성 = 7
      • 2) 어휘 선정 및 어휘 지도 요소 = 8
      • 3) 어휘 지도 방법 = 10
      • 2. 정신지체아의 어휘 = 11
      • 1) 정신지체아의 언어 발달 = 11
      • 2) 정신지체아의 어휘 특성 = 13
      • 3) 정신지체아의 어휘 지도 = 15
      • 3. 낱말퍼즐 = 16
      • 1) 퍼즐과 십자퍼즐 = 16
      • 2) 낱말퍼즐을 통한 학습 = 18
      • Ⅲ. 연구 방법 = 19
      • 1. 연구 대상 = 19
      • 2. 검사 도구 = 22
      • 3. 연구 절차 = 24
      • 4. 자료 처리 = 29
      • Ⅳ. 결과 = 30
      • 1. 집단 간 사후 어휘력 비교 = 31
      • 2. 사전-사후 어휘력 변화량 비교 = 32
      • 1) 집단 내의 사전-사후 어휘력 변화량 비교 = 34
      • 2) 집단 간의 사전-사후 어휘력 변화량 비교 = 34
      • Ⅴ. 결론 및 제언 = 36
      • 1. 결론 = 36
      • 2. 한계 및 제언 = 37
      • 참고 문헌 = 39
      • ABSTRACT = 42
      • 부록 1 어휘력 검사지 = 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