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강소형 기관 목표 모호성과 자율성의 다차원 구성개념을 중심으로 = Influential Factors of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Focusing on Multi-dimensional Constructs of Goal Ambiguity and Auton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9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영평가 결과에 영향을 주는 공공기관 요인을 강소형 기관 맥락에서 찾고자 하였다. 강소형 기관은 복합적 소유구조에서 기인하는 조직목표 모호성과 정부에 대해 과도하게 의...

      본 연구는 경영평가 결과에 영향을 주는 공공기관 요인을 강소형 기관 맥락에서 찾고자 하였다. 강소형 기관은 복합적 소유구조에서 기인하는 조직목표 모호성과 정부에 대해 과도하게 의존적인 재무구조에서 기인하는 제한된 조직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조직특성이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목표 모호성과 자율성 개념을 다차원으로 구성하고 개념별 관측지표를 설정하였다. 강소형 기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 목표 모호성은 경영평가 결과에 부(-)의 방향, 조직 자율성은 일부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주었다. 한편, 인식조사 응답자를 소속기관 경영평가 결과에 따라 우수 그룹과 미흡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목표 모호성과 조직 자율성 하위 변수들이 그룹 간 반대 방향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경영평가 제도가 공공기관 성과 제고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기관별 목표 모호성을 낮추고 조직 자율성을 높이는 전체 기조를 유지하되 성과그룹별 조직특성을 고려한 선별적 성과관리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sult of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in the context of comparatively small-sized organizations. Analyzing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ose institutions, we found they have goal ambiguit...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sult of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in the context of comparatively small-sized organizations. Analyzing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ose institutions, we found they have goal ambiguity (caused by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governance) and limited autonomy (caused by the excessively dependent financial structur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uch organizational conditions on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we created multi-dimensional conceptual constructs and measurement indicators of goal ambiguity and autonomy.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public institution managers revealed the overall negative impact of goal ambiguity and the overall positive impact of organizational autonomy on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The regression analysis on two sub-samples (respondents from high-grade institutions and low-grade ones) found the conflicting influences of goal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autonomy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suggests a general direction for decreasing goal ambiguity and raising organizational autonomy but a selective strategy for performance management that reflect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embedded in a particular level of perform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홍규, "한국형 기업 지배구조" 산업연구원 1998

      2 조성빈, "한국 기업의 대리인 비용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6

      3 이택준, "한국 공기업(구정부투자기관)의 자본구조 및 성과 결정요소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22 (22): 165-189, 2008

      4 김청택, "탐색적 요인분석의 오․남용 문제와 교정" 한국조사연구학회 17 (17): 1-29, 2016

      5 남형우, "준정부기관의 재무적 특성과 조직성과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41) : 399-422, 2012

      6 최병선, "준공공부문 조직 연구의 방향모색" 31 (31): 208-231, 1993

      7 정선호, "주성분분석과 공통요인분석에 대한 비교연구: 요인구조 복원 관점에서" 한국통계학회 26 (26): 933-942, 2013

      8 김태연, "조직목표 갈등이 공공기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27-58, 2019

      9 이경은, "조직공공성의 효과 연구: 조직목표모호성, 관료제적 조직구조, 조직성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10 이종한, "제도설계론에 입각한 정부기능 효율성 제고방안: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10

      1 이홍규, "한국형 기업 지배구조" 산업연구원 1998

      2 조성빈, "한국 기업의 대리인 비용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6

      3 이택준, "한국 공기업(구정부투자기관)의 자본구조 및 성과 결정요소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22 (22): 165-189, 2008

      4 김청택, "탐색적 요인분석의 오․남용 문제와 교정" 한국조사연구학회 17 (17): 1-29, 2016

      5 남형우, "준정부기관의 재무적 특성과 조직성과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41) : 399-422, 2012

      6 최병선, "준공공부문 조직 연구의 방향모색" 31 (31): 208-231, 1993

      7 정선호, "주성분분석과 공통요인분석에 대한 비교연구: 요인구조 복원 관점에서" 한국통계학회 26 (26): 933-942, 2013

      8 김태연, "조직목표 갈등이 공공기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27-58, 2019

      9 이경은, "조직공공성의 효과 연구: 조직목표모호성, 관료제적 조직구조, 조직성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10 이종한, "제도설계론에 입각한 정부기능 효율성 제고방안: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10

      11 권태욱, "정책프로그램의 목표모호성: 한국 중앙행정기관의 재정사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2 권태욱, "정책사업 목표모호성의 영향요인" 한국정책학회 24 (24): 167-200, 2015

      13 권민정, "정부투자기관의 규모와 특성에 따른 경영평가 결과의 차별화에 관한 분석" 33 (33): 47-62, 1999

      14 곽채기, "정부투자기관 지배구조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14 (14): 29-63, 2002

      15 김대중, "정부지원의 규모가 준정부기관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2017

      16 이용필,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의 성과관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17 한국경제연구원,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1999

      18 조택,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251-274, 2007

      19 박시우, "시장형 국가공기업의 자본구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금융공학회 16 (16): 115-137, 2017

      20 고길곤, "설문조사에서 문항의 역코딩 여부가 응답결과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측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9 (49): 515-539, 2015

      21 정광호, "비영리조직의 자율성과 자원의존성에 관한 실증연구 : 문화예술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2 (12): 127-150, 2003

      22 전영한, "법인화에 따른 자율성효과의 불확실성: 서울대학교 사례" 한국행정연구소 52 (52): 79-109, 2014

      23 송성화, "목표모호성과 조직행태: 조직몰입, 직무만족, 공직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24 전영한, "목표 모호성이 관료주의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연구소 42 (42): 1-21, 2004

      25 "국가법령정보센터"

      26 오재록, "관료적 자율성의 두 얼굴: 한국 중앙행정기관 실증분석*" 한국행정연구소 50 (50): 153-174, 2012

      27 김다경, "공기업의 정치·경제적 환경요인이 경영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치적 현저성과 의존재원비율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8 (28): 235-260, 2016

      28 김재홍, "공기업의 소유구조적 특성과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원 1991

      29 전영한, "공공조직의 목표모호성: 개념, 측정 그리고 타당화" 한국행정학회 38 (38): 49-65, 2004

      30 김서용, "공공조직에서 모호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모호성의 유형별 효과와 공공봉사동기의 조절기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4 (24): 139-171, 2015

      31 신황용, "공공조직 조직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공직동기, 신분불안,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0 (50): 1-35, 2012

      32 황혜신, "공공서비스 위탁공급의 성과와 계약관리능력에 관한 연구 : 지방공사의료원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3 박용성, "공공기관의 외형적 특성이 경영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1 (21): 79-100, 2011

      34 안숙찬, "공공기관의 경영평가 결과와 기관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7 (27): 835-859, 2014

      35 전영한, "공공기관과 자율성 효과" KIPF 24-26, 2013

      36 이창호, "공공기관 지배구조 혁신 방향" 23 : 1-2, 2005

      37 한국조세재정연구원, "공공기관 관리제도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38 박정수, "공공기관 관리모형의 새로운 접근" 한국개발연구원 2013

      39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40 장희란, "공공기관 경영성과에 대한 기관규모효과 분석 - 2008∼2012년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4 (24): 1-26, 2015

      41 최흥석, "공공기관 경영성과 영향요인 분석: 조직의 구조적 특성과 성과관리 전략변수를 중심으로" 123-148, 2008

      42 문명재, "공공거버넌스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 거버넌스, 정부의 기능과 책임성" 30-58, 2009

      43 이상철, "경영성과 제고를 위한 공공기관의 조직문화유형 분석: 공익형 공공기관과 기업형 공공기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2 (42): 143-164, 2008

      44 권순만, "行政의 組織經濟學的 接近 : 代理人 理論의 行政學的 含義를 中心으로" 29 (29): 77-95, 1995

      45 Pfeffer, J., "The external control of Organizations : A 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46 Verhoest, K., "The Study of Organizational Autonomy : A Conceptual Review" 24 : 101-118, 2004

      47 Aldrich, H., "Organizations and Environments" Prentice-Hall 1979

      48 Jung, C. S., "Organizational Goal Ambiguity and Performance :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Relationships" 14 (14): 193-217, 2011

      49 Pfeffer, J., "Organizational Decision Making as a Political Process : The Case of a University Budget" 19 (19): 135-151, 1974

      50 Chun, Y. H., "Goal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U.S. Federal Agencies" 15 (15): 529-557, 2005

      51 Aldrich, H., "Environments of Organizations" 2 : 79-105, 1976

      52 국회예산정책처, "2020년도 공공기관 예산안 분석Ⅰ" 2019

      53 기획재정부, "2019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편람(수정)"

      54 전영한, "2016 공공기관과 국가정책"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17-259,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