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李商隱 初期詩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39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미주의적인 愛情詩로 유명한 李商隱의 초기시 64首 중에는 당시 사회현실을 바탕으로 한 시와 개인적인 감회를 비교적 솔직하게 드러낸 시가 상당수 존재한다. 여기에는 무능한 군주와 甘露의 變, 환관의 전횡과 藩鎭의 할거와 같은 현실 제반의 문제와 이상은 개인의 ‘懷才不遇’에 대한 감회가 주로 묘사되어 있다. 그의 초기시는 格律과 對仗이 잘 이루어져 있는 근체시와 격률에 구애를 받지 않아 감정의 표현이 자유로운 고체시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근체시에서 사용되는 對仗의 방법을 고체시에 사용함으로써 시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몽롱하고 난해’하지 않다. 또 객관적인 사실에 주관적인 허구적 묘사를 적절히 조화시켰으며, 글자 수가 엄격한 특징을 갖는 시에 典故와 虛詞를 사용하여 시어를 단련하고 의미를 확장시켰다. 뿐만 아니라 의론을 전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對比와 反問의 수사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杜甫의 社會詩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 이상은의 초기시는 詩敎說에서 탈피하였다는 것과 현실의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以詩補史’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겠다. 이는 만당 후기의 사실주의 시인인 皮日休, 陸龜蒙, 羅隱, 杜荀鶴 등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번역하기

      유미주의적인 愛情詩로 유명한 李商隱의 초기시 64首 중에는 당시 사회현실을 바탕으로 한 시와 개인적인 감회를 비교적 솔직하게 드러낸 시가 상당수 존재한다. 여기에는 무능한 군주와 甘...

      유미주의적인 愛情詩로 유명한 李商隱의 초기시 64首 중에는 당시 사회현실을 바탕으로 한 시와 개인적인 감회를 비교적 솔직하게 드러낸 시가 상당수 존재한다. 여기에는 무능한 군주와 甘露의 變, 환관의 전횡과 藩鎭의 할거와 같은 현실 제반의 문제와 이상은 개인의 ‘懷才不遇’에 대한 감회가 주로 묘사되어 있다. 그의 초기시는 格律과 對仗이 잘 이루어져 있는 근체시와 격률에 구애를 받지 않아 감정의 표현이 자유로운 고체시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근체시에서 사용되는 對仗의 방법을 고체시에 사용함으로써 시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몽롱하고 난해’하지 않다. 또 객관적인 사실에 주관적인 허구적 묘사를 적절히 조화시켰으며, 글자 수가 엄격한 특징을 갖는 시에 典故와 虛詞를 사용하여 시어를 단련하고 의미를 확장시켰다. 뿐만 아니라 의론을 전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對比와 反問의 수사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杜甫의 社會詩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 이상은의 초기시는 詩敎說에서 탈피하였다는 것과 현실의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以詩補史’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겠다. 이는 만당 후기의 사실주의 시인인 皮日休, 陸龜蒙, 羅隱, 杜荀鶴 등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 次>
      • Ⅰ. 序 論 1
      • 1. 연구동기 및 연구사 검토 1
      • 2. 연구범위와 방법 3
      • <目 次>
      • Ⅰ. 序 論 1
      • 1. 연구동기 및 연구사 검토 1
      • 2. 연구범위와 방법 3
      • Ⅱ. 초기시의 배경 6
      • 1. 사회적 배경 7
      • 2. 문학적 배경 13
      • 3. 개인적 배경 15
      • Ⅲ. 초기시의 내용 24
      • 1. 역사를 통한 현실풍자 24
      • 2. 정치적 중대사에 대한 견해 32
      • 3. 인재등용 정책 비판 42
      • 4. 개인적 감회 51
      • Ⅳ. 초기시의 예술적 특징 61
      • 1. 각종 체식의 자유로운 혼용 61
      • 2. 허구적 묘사 75
      • 3. 시어의 단련과 확장 79
      • 4. 對比와 反問의 수사법 94
      • Ⅴ. 사실주의 발전과정에서 본 초기시의 위상 101
      • 1. 盛唐 사실주의의 계승: 杜甫와 李商隱 101
      • 2. 中唐 사실주의의 퇴보: 白居易와 李商隱 113
      • 3. 晩唐 사실주의의 선구: 만당 후기 시인과 李商隱 121
      • Ⅵ. 結 論 135
      • 參考文獻1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