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 경어법의 본질과 체계 = The Nature and System of the Korean Honorific Expres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29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onorific system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grammatical phenomena in Korean, and numerous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system. Nonetheless, the nature and system of the honorific expressions cannot be said to have been clarified. The hono...

      The honorific system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grammatical phenomena in Korean, and numerous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system. Nonetheless, the nature and system of the honorific expressions cannot be said to have been clarified. The honorific system is the usage of honorific expressions referring to those expressions which are used only for ones of higher rank. They exist mostly with the noun and the verb, but also partly with the chosa and adverb. The nominal honorifics express lowering of the speaker or recognizing the counterpart as one of higher rank. The verbal honorifics express beneficence and politeness of the activity and politeness in the speech act of statement. The honorific system is derived from the dichotomy between a higher rank and a non-higher rank, and between honorifics and non-honorifics. It is for this reason that honorific expressions are used much in a conversational situation where both the speaker and the addressee are present, while they are seldom used in the written context where the addressee is not pres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근, "현행 학교 문법의 “높임법”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14 : 147-154, 2011

      2 이윤하, "현대국어의 대우법 연구" 역락 2001

      3 성기철, "현대국어 대우법" 국어연구소 9 : 102-112, 1987

      4 임동훈,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국어학회 (47) : 287-320, 2006

      5 서종학, "현대국어 경어법에 대한 일 고찰"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 : 21-46, 1985

      6 野間秀樹, "현대 한국어의 대우법 체계"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1 : 15-54, 1996

      7 한길,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맥락 2002

      8 임동훈, "한국어 어미 ‘-시’의 문법" 태학사 2000

      9 안병희, "중세국어의 겸양법 연구에 대한 반성" 국어학회 11 : 1-23, 1982

      10 서정수, "주체 대우법의 문제점" 배달말학회 2 (2): 5-22, 1977

      1 고영근, "현행 학교 문법의 “높임법”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14 : 147-154, 2011

      2 이윤하, "현대국어의 대우법 연구" 역락 2001

      3 성기철, "현대국어 대우법" 국어연구소 9 : 102-112, 1987

      4 임동훈,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국어학회 (47) : 287-320, 2006

      5 서종학, "현대국어 경어법에 대한 일 고찰"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 : 21-46, 1985

      6 野間秀樹, "현대 한국어의 대우법 체계"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1 : 15-54, 1996

      7 한길,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맥락 2002

      8 임동훈, "한국어 어미 ‘-시’의 문법" 태학사 2000

      9 안병희, "중세국어의 겸양법 연구에 대한 반성" 국어학회 11 : 1-23, 1982

      10 서정수, "주체 대우법의 문제점" 배달말학회 2 (2): 5-22, 1977

      11 서정수, "존대법의 연구" 한신문화사 1984

      12 油谷幸利, "일본인이 본 한국어 경어법" 국립국어원 1 (1): 117-125, 1991

      13 서상규, "일본어의 높임법과 한국어 교육"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21 : 55-85, 1996

      14 이정택, "우리말 높임법의 본질과 상대 높임법 체계" 한국문법교육학회 24 : 145-160, 2015

      15 허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75

      16 임홍빈, "어휘적 대우와 대우법 체계의 문제" 705-741, 1990

      17 이기문, "신정판 국어학개설" 태학사 2000

      18 이정복, "상황 주체 높임 ‘-시-’의 확산과 배경" 언어과학회 (55) : 217-246, 2010

      19 유동석,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132-152, 1991

      20 박양규,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338-351, 1993

      21 조남호, "국어 대우법의 어휘론적 이해" 국어학회 (47) : 377-405, 2006

      22 이익섭, "국어 경어법의 체계화 문제" 국어학회 2 : 32-64, 1974

      23 성기철, "국어 경어법의 일반적 특징" 국립국어원 1 (1): 2-22, 1991

      24 강창석, "국어 경어법의 본질적 의미"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 : 31-54, 1987

      25 박양규, "국어 경어법의 변천" 국립국어원 1 (1): 23-39, 1991

      26 고영근, "[단행본]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27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5 1.103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