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중독현상과 사회적응 = Exercise Addiction and Social Adjustment of Participants in Leisure-typed Physical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3237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78 p. ; 26 cm.

      • 일반주기명

        국문요지: p. i-iii
        Abstract: p. 68-71
        지도교수: 조성식
        참고문헌: p. 63-67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understanding exercise addiction and social adjustment of participants in leisure-typed physical activities (or leisure sport) by their participation levels through ascertaining the participants' propensity to exercise addiction b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grees of participation, and then present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addiction.
      In order to do this, the subjects were 311 squash participants and squash club members mainly consisting of people in their 20s~50s in Goyang-si, Gyeonggi-do, and for quantitative research, they were selected by the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In addi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3 males and 6 females who expressed that they felt addicted to playing squash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through squash instructors' opinion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item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ercise levels and degrees of the exercise addiction and distributed directed.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s by means of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then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T-test and/or One-way ANOVA were performed depending on purposes. As a post-test method, Scheffe test was used with a significance level, p<.05.
      Based on the above methods and data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in terms of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mong the leisure sport participants by sex,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Second,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subjects by their age,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except withdrawal symptoms.
      Third, in terms of differences in the addiction among the subjects by their occupations, the stud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desires, emotional attachment, and social adjustment,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withdrawal symptom factor.
      Four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leisure sport participants by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desires and emotional attachment, whi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ithdrawal symptoms and social adjustment.
      Fif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leisure sport participants by their income level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l in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Six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subjects by years of exercis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l in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Seven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subjects by the number of times of doing exercis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l in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Eigh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subjects by hours of doing exercis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l in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Ninth,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females, it was revealed that they started play squash through recommendation from others and some accidental chances, and the more years of and number of times and hours of doing exercise, the more addiction to exercise showed obviously. In light of this, it is thought that when playing squash for enhancing and maintaining health, if they control exercise frequencies and hours, negative exercise-addiction would not happen irrespective of years of exercise.
      Tenth,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males, it was revealed that they started playing squash due to recommendation from others and interest in it, and the more years of and number of times and hours of doing exercise, the more addiction to exercise showed obviously. In light of this, similarly with the case of the females it is thought that when playing squash for enhancing and maintaining health, if they control exercise frequencies and hours, negative exercise-addiction would not happen irrespective of years of exercise.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in light of exercise addiction and social adjustment by degrees of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 it was concluded that when doing exercise for enhancing and maintaining health, if the leisure sport participants control exercise frequencies and hours, negative exercise-addiction would not happen irrespective of years of exercise, and also they would adapt to society even more positively than people do not engage in exercise.
      번역하기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understanding exercise addiction and social adjustment of participants in leisure-typed physical activities (or leisure sport) by their participation levels through ascertaining the participants' propensity to exercise a...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understanding exercise addiction and social adjustment of participants in leisure-typed physical activities (or leisure sport) by their participation levels through ascertaining the participants' propensity to exercise addiction b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grees of participation, and then present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addiction.
      In order to do this, the subjects were 311 squash participants and squash club members mainly consisting of people in their 20s~50s in Goyang-si, Gyeonggi-do, and for quantitative research, they were selected by the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In addi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3 males and 6 females who expressed that they felt addicted to playing squash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through squash instructors' opinion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item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ercise levels and degrees of the exercise addiction and distributed directed.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s by means of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then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T-test and/or One-way ANOVA were performed depending on purposes. As a post-test method, Scheffe test was used with a significance level, p<.05.
      Based on the above methods and data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in terms of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mong the leisure sport participants by sex,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Second,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subjects by their age,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except withdrawal symptoms.
      Third, in terms of differences in the addiction among the subjects by their occupations, the stud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desires, emotional attachment, and social adjustment,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withdrawal symptom factor.
      Four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leisure sport participants by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desires and emotional attachment, whi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ithdrawal symptoms and social adjustment.
      Fif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leisure sport participants by their income level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l in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Six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subjects by years of exercis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l in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Seven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subjects by the number of times of doing exercis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l in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Eighth, in terms of differences in exercise addiction levels among the subjects by hours of doing exercis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l in withdrawal symptoms, exercise desires, emotional desires, and social adjustment.
      Ninth,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females, it was revealed that they started play squash through recommendation from others and some accidental chances, and the more years of and number of times and hours of doing exercise, the more addiction to exercise showed obviously. In light of this, it is thought that when playing squash for enhancing and maintaining health, if they control exercise frequencies and hours, negative exercise-addiction would not happen irrespective of years of exercise.
      Tenth,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males, it was revealed that they started playing squash due to recommendation from others and interest in it, and the more years of and number of times and hours of doing exercise, the more addiction to exercise showed obviously. In light of this, similarly with the case of the females it is thought that when playing squash for enhancing and maintaining health, if they control exercise frequencies and hours, negative exercise-addiction would not happen irrespective of years of exercise.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in light of exercise addiction and social adjustment by degrees of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 it was concluded that when doing exercise for enhancing and maintaining health, if the leisure sport participants control exercise frequencies and hours, negative exercise-addiction would not happen irrespective of years of exercise, and also they would adapt to society even more positively than people do not engage in exerci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참여수준에 따른 운동중독현상과 사회적응 성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운동참여 수준에 따라 운동중독 성향을 규명하고 극복 과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 스쿼시 참여자들 대상으로 성인 남·여 20대에서 50대를 중심으로 311명을 스쿼시 참여자 및 동호회 회원 등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양적 연구는 고양시 스쿼시 참여자들을 유층집락 무선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는 현 스쿼시 강사를 통해 본인이 스쿼시 중독현상을 느낀다는 표현을 했던 대상으로 성인 남자 3명, 여자 6명을 추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특징, 운동 수준, 운동 중독 등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 하여 직접설문지를 배포한 다음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 내용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지시하고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성별에 따른 만족 요인 차이는 금단현상,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 적응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연령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적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단현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직업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결과는 운동욕구, 감정적 애착, 사회적응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단현상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학력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운동욕구, 감정적 애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단현상, 사회적응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소득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금단현상,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 적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금단현상,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 적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 횟수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금단현상,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 적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시간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금단현상,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 적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여성의 심층면접결과 타인의 추천과 우연한 계기를 통하여 시작한 스쿼시 운동이 기간이 오래되고, 운동 횟수와 시간이 많을수록 운동중독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건강을 위해 스쿼시 운동을 할 때, 운동빈도와 시간을 조절한다면 운동경력이 많아지더라도 부정적인 운동중독은 발생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열째, 남성의 심층면접결과 타인의 추천과 재미, 흥미로 시작하여 스쿼시 운동이 기간이 오래되고, 운동 횟수와 시간이 많을수록 운동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성 또한 여성과 같이 건강을 위해 스쿼시 운동을 할 때, 운동 빈도와 시간을 조절한다면 운동경력이 많아지더라도 부정적인 운동중독은 발생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참여수준에 따른 운동중독현상과 사회적응에서 생활체육 참여자들이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할 때, 운동 빈도와 시간을 조절한다면 운동경력이 많아지더라도 부정적인 운동중독은 발생되지 않을 것이며, 또한 사회적응 부분에서도 일반인보다는 훨씬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참여수준에 따른 운동중독현상과 사회적응 성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운동참여 수준에 따라 운동중독 성향을 규명...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참여수준에 따른 운동중독현상과 사회적응 성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운동참여 수준에 따라 운동중독 성향을 규명하고 극복 과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 스쿼시 참여자들 대상으로 성인 남·여 20대에서 50대를 중심으로 311명을 스쿼시 참여자 및 동호회 회원 등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양적 연구는 고양시 스쿼시 참여자들을 유층집락 무선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는 현 스쿼시 강사를 통해 본인이 스쿼시 중독현상을 느낀다는 표현을 했던 대상으로 성인 남자 3명, 여자 6명을 추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특징, 운동 수준, 운동 중독 등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 하여 직접설문지를 배포한 다음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 내용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지시하고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성별에 따른 만족 요인 차이는 금단현상,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 적응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연령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적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단현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직업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결과는 운동욕구, 감정적 애착, 사회적응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단현상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학력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운동욕구, 감정적 애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단현상, 사회적응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소득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금단현상,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 적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금단현상,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 적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 횟수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금단현상,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 적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시간에 따른 운동중독 현상의 차이 결과는 금단현상, 운동욕구, 감정적 욕구, 사회 적응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여성의 심층면접결과 타인의 추천과 우연한 계기를 통하여 시작한 스쿼시 운동이 기간이 오래되고, 운동 횟수와 시간이 많을수록 운동중독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건강을 위해 스쿼시 운동을 할 때, 운동빈도와 시간을 조절한다면 운동경력이 많아지더라도 부정적인 운동중독은 발생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열째, 남성의 심층면접결과 타인의 추천과 재미, 흥미로 시작하여 스쿼시 운동이 기간이 오래되고, 운동 횟수와 시간이 많을수록 운동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성 또한 여성과 같이 건강을 위해 스쿼시 운동을 할 때, 운동 빈도와 시간을 조절한다면 운동경력이 많아지더라도 부정적인 운동중독은 발생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참여수준에 따른 운동중독현상과 사회적응에서 생활체육 참여자들이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할 때, 운동 빈도와 시간을 조절한다면 운동경력이 많아지더라도 부정적인 운동중독은 발생되지 않을 것이며, 또한 사회적응 부분에서도 일반인보다는 훨씬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4
      • 3. 연구문제 = 4
      • 4. 연구가설 및 모형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4
      • 3. 연구문제 = 4
      • 4. 연구가설 및 모형 = 5
      • 5. 연구의 제한점 = 6
      • 6. 용어의 정리 = 6
      • Ⅱ. 이론적 배경 = 8
      • 1. 생활체육 참여 증가 = 8
      • 2. 운동중독 현상 = 10
      • 3. 스쿼시의 역사 및 특성 = 22
      • Ⅲ. 연구 방법 = 27
      • 1. 조사대상 = 27
      • 2. 조사도구 = 30
      • 3. 조사절차 = 35
      • 4. 자료처리 = 35
      • Ⅳ. 결과 및 논의 = 36
      • 1. 결과 = 36
      • 2. 논의 = 56
      • Ⅴ. 결론 및 제언 = 60
      • 1. 결론 = 60
      • 2. 제언 = 62
      • 참고 문헌 = 63
      • ABSTRACT = 68
      • 부록(설문지) =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