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업생태계 깔따구 유충의 다양성 및 우점종 닙폰깔따구를 이용한 유기물 분해능 평가 = Species Diversity of Chironomid Midge and Evaluation on Removal Capacity of Organic Matter Using a Dominant Species, Chironomus nipponensis in Agroeco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60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농업생태계의 환경별로 깔따구류의 분포를 밝히고 우점종을 이용한 유기물 분해능을 평가하고자 대단위경작지, 친환경농업지, 생활하수 유입지, 축산폐수 유입지 및 주변수로 등의 5개 서...

      농업생태계의 환경별로 깔따구류의 분포를 밝히고 우점종을 이용한 유기물 분해능을 평가하고자 대단위경작지, 친환경농업지, 생활하수 유입지, 축산폐수 유입지 및 주변수로 등의 5개 서식처별로 나누어 `04~`06년까지 각 구획을 대표하는 총 78개 지점에서 깔따구과 및 공서 무척추동물을 정량 채집하였다. 그 결과, 농업지대의 깔따구류는 총 16종으로 동정되었다. 서식지 유형별로 출현한 종수를 보면, 축산폐수 유입지에서 11종, 대단위농경지는 8종, 농경지 주변수로는 7종, 친환경농업지는 6종, 생활하수 유입지는 2종으로 조사되었다. 구획별로 나타난 우점종을 보면,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대단위경작지(A), 생활하수 유입지(C) 및 축산폐수 유입지(D)에서는 닙폰깔따구(C. nipponensis), 유기물 함량이 낮은 주변수로(E)에서는 숲아기깔따구(C. sylvestris), 친환경농업지(B)에서는 서산장부깔따구(Tanytarsus sesanensis)였다. 수질과 군집지수는 논주변의 수로에서 높았고, 대단위경작지, 친환경농업지, 생활하수 유입지, 축산폐수 유입지는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저질내에서 닙폰깔따구의 유기물 제거능력은 무처리구와 대비하여 90개체 처리구에서 18% 증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recogniz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of chironomid midge in agroecosystem and evaluate removal capacity of organic matter using the dominant species among them. Chironomid midge and invertebrate cohabitants were quantitatively collected ...

      To recogniz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of chironomid midge in agroecosystem and evaluate removal capacity of organic matter using the dominant species among them. Chironomid midge and invertebrate cohabitants were quantitatively collected at 78 representative stations of five habitat types (in arable land during 2004~2006) A, paddy fields of the large scale arable land; B, paddy fields of the environmental friendly arable land; C, influent of domestic waste water; D, influent of waste water by livestock; E, the irrigation ditch of paddy area. The total sixteen species of chironomid midges at arable land were presented. And also chironomid midges were recognized by five habitat types: eleven species in D, eight in A, seven in E, six in B, and two in C. We confirmed dominant species in each habitat types as followings: Chironomus nipponensis in A, C, and D; Cricotopus sylvestris in E; Tanytarsus seosanensis in B. Water quality and community index were high in E, but low in A, B, C, and D. Comparing with non-treatment, removal activities of organic matter in bottom by C. nipponensis were increased 18% in 90 individuals treat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천생태연구회, "현대생태학실험서" 교문사 286-, 1997

      2 윤일병,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수서곤충류)" 문교부 840-, 1988

      3 권오길, "원색 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 서적 1993

      4 윤일병,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62-, 1995

      5 박해심, "두 가지 깔따구(Chironomidae)에 의한 기관지 천식 2례" 11 : 362-367, 1991

      6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용수수질분석 이론과 실무" 농촌 진흥청 2006

      7 津田松苗, "水生昆蟲學" 北隆館 269-, 1962

      8 川合楨次, "日本産水生昆蟲檢索圖說" 東海大學出版會 409-, 1985

      9 Wotton RS, "Water purification using sand" 469 : 193-201, 2004

      10 Tsumuraya T, "The ecology and control of Chironomus yoshimatsui in the sewage water treatment plant" 24 : 1356-1362, 1982

      1 여천생태연구회, "현대생태학실험서" 교문사 286-, 1997

      2 윤일병,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수서곤충류)" 문교부 840-, 1988

      3 권오길, "원색 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 서적 1993

      4 윤일병,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62-, 1995

      5 박해심, "두 가지 깔따구(Chironomidae)에 의한 기관지 천식 2례" 11 : 362-367, 1991

      6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용수수질분석 이론과 실무" 농촌 진흥청 2006

      7 津田松苗, "水生昆蟲學" 北隆館 269-, 1962

      8 川合楨次, "日本産水生昆蟲檢索圖說" 東海大學出版會 409-, 1985

      9 Wotton RS, "Water purification using sand" 469 : 193-201, 2004

      10 Tsumuraya T, "The ecology and control of Chironomus yoshimatsui in the sewage water treatment plant" 24 : 1356-1362, 1982

      11 Cranston PS, "The Chironomidae : The biology and ecology of non-biting midges. In Systematics" Chapman and Hall 31-61, 1995

      12 Armitage PD, "The Chironomidae" Chapman & Hall 572-, 1995

      13 Na KB, "Taxonomy of the Chironomidae (Diptera, Insecta) in Seoul-Gyeonggi area, Korea" Seoul women’s University 2005

      14 Pielou EC,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100 : 463-465, 1969

      15 Kim JY, "Seasonal population dynamics of Chironomid midges (Diptera: Chironomidae) emerging from reclaimed rice fields in seosan, Korea in (1997)~ (1999)" 31 : 225-232, 1999

      16 McNaughton SJ,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216 : 168-144, 1967

      17 Macchiusi F, "Prey behaviour and size selective predation by fish" 25 : 533-538, 1991

      18 McLarney WO, "New method for culturing Chironomus tentans Fabricius larvae using burlap substrate in fertilized pools" 4 : 267-276, 1974

      19 Wotton RS, "Midge larvae (Diptera : Chironomidae) as Engineers in slow sand filter bed" 33 : 1509-1515, 1999

      20 Kong D, "Limn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river-reservoir (Paldang), Korea. Special Issue" 30 (30): 524-535, 1997

      21 Margalef DR,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3 : 36-71, 1958

      22 Frouz J, "Influence of Chironomidae(Diptera)faecal pellet accumulation on lake sediment quality and larval abundance of pestiferous midge Glyptotendipes paripes" 518 : 169-177, 2004

      23 Yamashita N, "IgG and IgE antibodies to Chironomidae in asthetic patients" 68 : 93-, 1987

      24 Way MO, "First record of midge to rice in Texas" 14 : 27-33, 1989

      25 Pielou EC, "Ecological diversity" Wiley 165-, 1975

      26 Igarashi T, "Common occurrence in Toyama of bronchial asthma induced by Chironomidae midges" 57 : 1-, 1987

      27 Yamashita N, "Chironomidae as a use of IgEmedicated histamin release in patients with asthma" 63 : 154-, 1989

      28 Rae JG, "Chironomid midges as indicators of organic pollution in the Sciotio River Basin Ohio" 89 : 5-9, 1989

      29 Shaw PC, "Chironomid farming-A means of recycling farm manure and potentially reducing water pollution in hong kong" 21 : 155-163, 1980

      30 Saether OA, "Chironomid communities as water quality indicator" 2 : 65-74, 1979

      31 Ree HI, "Breeding places of Non-biting Midges (Chironomidae, Diptera) in Korea" 23 : 169-176, 1993

      32 Sokolova N, "Biology of Chironomus piger Str. and its role in the self-purification of the river" 26 : 509-512, 1993

      33 Ree HI, "A New Species of the Genus Cricotopus (Diptera: Chironomidae), a Pest of Rice in Seosan, Korea" 2 : 309-31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5 0.603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