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국내외 학술지를 토대로 분석한 화학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 비교 = Comparison of the Recent Trend of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29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화학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와 국외 화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지로는 대한화학회지와 한국과학교육학회지를 선택하였고, 국외 ...

      화학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와 국외 화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지로는 대한화학회지와 한국과학교육학회지를 선택하였고, 국외 학술지로는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을 선택하였다. 세 학술지에 2000년에서 2009년까지 10년간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주제로 '교수법 및 교육공학', '학습자 특성', '화학 개념 및 실험' 순서로 많이 연구되었고, 한국의 사회적 특성이 반영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연구도 종종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다루어진 화학교육 목표는 '개념 이해 및 개념 변화'가 가장 많았고, 국외의 경우 '성취도 또는 성적'이, 국내의 경우 '실험·탐구 능력'과 '태도, 흥미, 동기'가 두 번째로 많았다. 연구 대상으로 국내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아, 국내 연구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연구 방법으로 '조사 및 검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국내의 경우 '자료 분석 및 내용 분석'과 '실험 연구', 국외의 경우 '실험 연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미래의 화학교육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ree (2 domestic and 1 foreign) journa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cent trend of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We selected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JKCS) and Journal of the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ree (2 domestic and 1 foreign) journa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cent trend of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We selected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JKCS) 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JKASE) as the domestic journals, and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JCE) as a foreign journal. The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09 were analyzed. As the result, the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theme focused on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 technology',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ncept and experiment'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 research on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performed often in JKCS reflecting Korean social environment. The most researched chemistry education goal was the 'conceptual understanding/change' followed by 'achievement/grade' in JCE and 'experiment/inquiry skill' in JKCS, and 'attitude/interest/motivation' in JKASE.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cused to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in JKCS, in contrast to the 'university students' in JCE. More concern to the higher education is required in the domestic research.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was 'survey/ examination' followed by 'experimental research' in JCE and JKASE and 'data/material analysis' in JKC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on future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Ercikan, K, 35 (35): 14-, 2006

      2 Lee, M.-H, 31 (31): 1999-, 2009

      3 Tsai, C.-C, 27 (27): 3-, 2005

      4 Kim, Y.-M, 5 (5): 139-, 1985

      5 Shin, D.-H., 21 (21): 479-, 2000

      6 Lee, W.-S, 11 (11): 143-, 1991

      7 Kim, Y.-M, 7 (7): 15-, 1987

      8 Choi, B.-S, 5 (5): 100-, 1995

      9 Song, P.-S, 18 (18): 19-, 1999

      10 박지영, "한국의 생물교육 연구 동향" 한국생물교육학회 38 (38): 391-405, 2010

      1 Ercikan, K, 35 (35): 14-, 2006

      2 Lee, M.-H, 31 (31): 1999-, 2009

      3 Tsai, C.-C, 27 (27): 3-, 2005

      4 Kim, Y.-M, 5 (5): 139-, 1985

      5 Shin, D.-H., 21 (21): 479-, 2000

      6 Lee, W.-S, 11 (11): 143-, 1991

      7 Kim, Y.-M, 7 (7): 15-, 1987

      8 Choi, B.-S, 5 (5): 100-, 1995

      9 Song, P.-S, 18 (18): 19-, 1999

      10 박지영, "한국의 생물교육 연구 동향" 한국생물교육학회 38 (38): 391-405, 2010

      11 장병기, "초등과학교육 연구의 동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2 (22): 192-199, 2003

      12 이선희, "우리나라 과학교육 관련학회지에 게재된 피아제, 브루너, 오슈벨 이론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447-455, 2007

      13 신동희, "성 차이 경향 파악을 위한 국내 과학 교육 문헌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8 (28): 453-461, 2007

      14 박지영, "국내의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와 한국생물교육학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551-565, 2007

      15 신동희, "국내 . 외 환경교육 논문 분석을 통한 연구 경향 비교" 한국환경교육학회 22 (22): 111-133, 2009

      16 강경희,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54-67, 2010

      17 Fensham, P. J., "Defining an identity: The evolution of science education as a field of research"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4 0.36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