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의 의식 및 요구 = Housing consciousness and needs of shared space of small apartment dwellers in the city of Kwa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2675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는 국민소득 증대와 더불어 생활양식의 변화 및 새로운 소비욕구가 표출되고 있고 이러한 생활양식의 변화는 주거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주거에 대한 요구도 생활양식의 변화나 소득, 가족주기, 교육 등에 따라 다양화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주택부문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추세를 반영, 예측하여 우리의 주거상황에 맞게 적절히 수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의 주의식과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고 거주자들의 특성과 주의식과의 관계, 거주자 특성과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와의 관계, 주의식과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소형아파트 개발시 주민들의 생활 행태적 요구에 대응하는 주거 단위 외의 공간계획에 필요한 지침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예비조사와 본조사의 두 단계로 이루어졌고 예비조사는 면접법을 이용하였고, 본 조사에서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이용되었다. 본조사는 1996년 8월30일부터 9월6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조사대상의 표집은 광주시 소형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여 평면규모를 분양면적 25평이하의 거주자들로 제한하여 거주지역을 광주시의 행정구역별 네 집단으로 표집하고 각 집단별로 임의표결을 시도하였다. 분석에는 총 248가구의 자료가 이용되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요인분석, 교차분석, GLM(General Linear Model)과 Duncan-test,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의 주의식은 공동체 형성 지향성,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 자연환경 지향성, 지역사회 참여성으로 분류되었으며, 특히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향과 자연환경 지향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2) 거주자 특성에 따른 주의식을 분석한 결과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동체형성지향성은 가족생활주기가 초등교육기인 집단이 중등교육기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참여성은 초등교육기인 집단이 자녀성년기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만 요구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녀관련 공간과 사회·체육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만 원하는 주민전용 공동공간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지하로 들어갈 수 있는 주민전용 공동공간은 세대별 보관창고, 공동창고, 소규모 작업장, 에어로빅 시설 등이었다.
      (4) 거주자 특성에 따른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주부의 취업여부, 가족생활주기, 평면규모,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주부가 비취업주부보다 기초생활 공유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고 가족생활주기의 단계가 초등교육기이하인 집단이 중등교육기이상인 집단에 비해 수납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평면규모가 작은 평수의 거주자들이 큰 평수의 거주자들보다 자녀관련 공간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았다.
      (5)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에 미치는 주의식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동체 형성 지향성이 높을수록,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이 높을수록 수납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공동체 형성 지향성이 높을수록, 자연환경 지향성이 높을수록, 지역사회 참여성이 높을수록 기초생활 공유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동체 형성 지향성이 높을수록,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이 높을수록, 자연환경 지향성이 높을수록 자녀공간에 대한 요구가 강했고 공동체 형성지향성이 높을수록, 자연환경 지향성이 높을수록 사회·체육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은 근린환경의 질과 자연환경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건강에 대한 가치관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어 가고 있는 것과 맥락을 함께 하는 것이 라고 볼 수 있다.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은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녀관련공간 및 사회·체육공간을 가장 많이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미래 주거공간의 전개방향에 있어서 이러한 공동체 사회지향이 반영되어 주민전용 공동공간이 계획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주민전용 공동공간 중 자녀관련공간 및 사회·체육공간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위주거 외부공간에 주민전용 공동공간 계획시 거주자 특성 및 주의식 특성에 따른 사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사용자 집단의 계층적 차이로 인한 요구 및 주거선호들을 차별화 시켜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현대사회는 국민소득 증대와 더불어 생활양식의 변화 및 새로운 소비욕구가 표출되고 있고 이러한 생활양식의 변화는 주거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주거에 대한 요구도 생활양식의 변화...

      현대사회는 국민소득 증대와 더불어 생활양식의 변화 및 새로운 소비욕구가 표출되고 있고 이러한 생활양식의 변화는 주거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주거에 대한 요구도 생활양식의 변화나 소득, 가족주기, 교육 등에 따라 다양화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주택부문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추세를 반영, 예측하여 우리의 주거상황에 맞게 적절히 수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의 주의식과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고 거주자들의 특성과 주의식과의 관계, 거주자 특성과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와의 관계, 주의식과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소형아파트 개발시 주민들의 생활 행태적 요구에 대응하는 주거 단위 외의 공간계획에 필요한 지침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예비조사와 본조사의 두 단계로 이루어졌고 예비조사는 면접법을 이용하였고, 본 조사에서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이용되었다. 본조사는 1996년 8월30일부터 9월6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조사대상의 표집은 광주시 소형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여 평면규모를 분양면적 25평이하의 거주자들로 제한하여 거주지역을 광주시의 행정구역별 네 집단으로 표집하고 각 집단별로 임의표결을 시도하였다. 분석에는 총 248가구의 자료가 이용되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요인분석, 교차분석, GLM(General Linear Model)과 Duncan-test,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의 주의식은 공동체 형성 지향성,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 자연환경 지향성, 지역사회 참여성으로 분류되었으며, 특히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향과 자연환경 지향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2) 거주자 특성에 따른 주의식을 분석한 결과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동체형성지향성은 가족생활주기가 초등교육기인 집단이 중등교육기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참여성은 초등교육기인 집단이 자녀성년기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만 요구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녀관련 공간과 사회·체육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만 원하는 주민전용 공동공간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지하로 들어갈 수 있는 주민전용 공동공간은 세대별 보관창고, 공동창고, 소규모 작업장, 에어로빅 시설 등이었다.
      (4) 거주자 특성에 따른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주부의 취업여부, 가족생활주기, 평면규모,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주부가 비취업주부보다 기초생활 공유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고 가족생활주기의 단계가 초등교육기이하인 집단이 중등교육기이상인 집단에 비해 수납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평면규모가 작은 평수의 거주자들이 큰 평수의 거주자들보다 자녀관련 공간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았다.
      (5)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에 미치는 주의식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동체 형성 지향성이 높을수록,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이 높을수록 수납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공동체 형성 지향성이 높을수록, 자연환경 지향성이 높을수록, 지역사회 참여성이 높을수록 기초생활 공유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동체 형성 지향성이 높을수록,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이 높을수록, 자연환경 지향성이 높을수록 자녀공간에 대한 요구가 강했고 공동체 형성지향성이 높을수록, 자연환경 지향성이 높을수록 사회·체육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은 근린환경의 질과 자연환경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건강에 대한 가치관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어 가고 있는 것과 맥락을 함께 하는 것이 라고 볼 수 있다.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은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녀관련공간 및 사회·체육공간을 가장 많이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미래 주거공간의 전개방향에 있어서 이러한 공동체 사회지향이 반영되어 주민전용 공동공간이 계획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주민전용 공동공간 중 자녀관련공간 및 사회·체육공간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위주거 외부공간에 주민전용 공동공간 계획시 거주자 특성 및 주의식 특성에 따른 사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사용자 집단의 계층적 차이로 인한 요구 및 주거선호들을 차별화 시켜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plan interior housing units and the neighborhood environment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based on the resident's housing behaviors and need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patterens of housing consciousness and the kinds of shared community space that resident's want. It is also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sciousness and the needs of shared community space, and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like the size of floor space, family life cycle,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of husband and wife, age of husband and wife and home ownership.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48 housewives living in apartment complexes of four residential areas in Kwangju. Such technisq are used Frequency, Percentage Distribution, Factor Analysis, χ², General Linear Model/Duncan-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ly, housing consciousness can be grouped into 4 categories the propensity to make up a common society, the propensity to pursue the quality of neighborhood, the propensity to orien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ropensity to participate in community.
      Secondly, families with children in primary school are more likely to get involved in the community than those with children in high school or those in the stage of launching a family.
      Thirdly, most apartment dwellers wanted shared community space, especially space related t children and social fitness facilities.
      Fouthly, Families in the stage of primary school are more likely to want storage space of shared community space than those in the stage of high school and launching period. Housewives with jobs are more likely to desire basic shared community space than full time housewives. Those living in smaller apartment units tend to need Shared community space related to children.
      Fifth, the propensity to make a common society and pursue the quality of the neighborhood have a stronger impact on needs of shared community space.
      In Conclusion, Shared community space is shown to be a critical concept for designing future housing complex.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plan interior housing units and the neighborhood environment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based on the resident's housing behaviors and need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patterens of h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plan interior housing units and the neighborhood environment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based on the resident's housing behaviors and need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patterens of housing consciousness and the kinds of shared community space that resident's want. It is also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sciousness and the needs of shared community space, and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like the size of floor space, family life cycle,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of husband and wife, age of husband and wife and home ownership.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48 housewives living in apartment complexes of four residential areas in Kwangju. Such technisq are used Frequency, Percentage Distribution, Factor Analysis, χ², General Linear Model/Duncan-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ly, housing consciousness can be grouped into 4 categories the propensity to make up a common society, the propensity to pursue the quality of neighborhood, the propensity to orien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ropensity to participate in community.
      Secondly, families with children in primary school are more likely to get involved in the community than those with children in high school or those in the stage of launching a family.
      Thirdly, most apartment dwellers wanted shared community space, especially space related t children and social fitness facilities.
      Fouthly, Families in the stage of primary school are more likely to want storage space of shared community space than those in the stage of high school and launching period. Housewives with jobs are more likely to desire basic shared community space than full time housewives. Those living in smaller apartment units tend to need Shared community space related to children.
      Fifth, the propensity to make a common society and pursue the quality of the neighborhood have a stronger impact on needs of shared community space.
      In Conclusion, Shared community space is shown to be a critical concept for designing future housing complex.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제1장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제2장 문헌고찰 = 5
      • 국문초록
      • 제1장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제2장 문헌고찰 = 5
      • 1. 주생활양식 및 주의식 = 5
      • 1) 주생활양식 및 주의식의 개념 = 5
      • 2) 주생활양식 및 주의식 관련선행연구 = 8
      • 2. 주민전용 공동공간 = 11
      • 1) 주민전용 공동공간의 개념과 전망 = 11
      • 2) 주민전용 공동공간 관련선행연구 = 14
      • 제3장 연구방법 = 18
      • 1. 연구대상 및 표집 = 18
      • 2. 조사도구 = 19
      • 1) 주의식 = 19
      • 2) 주민전용 공동공간 = 20
      • 3) 가족환경특성 = 20
      • 3. 연구절차 = 21
      • 1) 예비조사 = 21
      • 2) 본조사 = 21
      • 4. 자료처리 = 22
      • 5.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3
      • 제4장 조사결과 및 해석 = 25
      • 1. 주의식 = 25
      • 1) 주의식의 구조 = 25
      • 2) 주의식의 일반적 경향 = 28
      • 3) 거주자 특성에 따른 주의식 = 30
      • 2.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 = 32
      • 1)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의 일반적인 경향 = 32
      • 1-1) 원하는 주민전용 공동공간 = 32
      • 1-2) 원하는 주민전용 공동공간의 위치 = 35
      • 2) 거주자 특성에 따른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 = 37
      • 2-1) 거주자 특성에 따른 주민전용 공동공간의 개별공간에 대한 요구 = 37
      • 2-2) 거주자 특성에 따른 각영역별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 = 43
      • 3. 주의식과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 = 47
      • 제5장 요약 및 결론 = 51
      • 1. 요약 = 51
      • 2. 결론 및 제언 = 54
      • 참고문헌 = 57
      • Abstract = 61
      • 설문지 =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