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비자의 의약품안전성 인식정도 및 관련정보 획득경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9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isinformation and inappropriate use of medica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pressing concerns in drug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ublic perception on drug safety as well as the channels most relied upon providing such informat...

      Misinformation and inappropriate use of medica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pressing concerns in drug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ublic perception on drug safety as well as the channels most relied upon providing such information. The survey was performed for patients or their families visiting pharmacies in a local city in Korea. Analysis was performed from 367 respondents to the survey. The contents of this survey revealed that consumers were aware of the fact that medications should not be taken at any higher dosage or more often than directed by their prescriptions. The survey revealed a general awareness that symptoms might not be relieved immediately by their medications. However, the perception that there could be adverse drug reaction (ADR) at therapeutic dose was low except among the young or highly educated members. Respondents recognized that skin rashes were the most whereas drowsiness was the least common ADR symptom. There was a high awareness of drug-food or drug-drug interactions except in the case of certain nutraceuticals. Doctors and pharmacists were ranked as the most reliable resources to the consumer for providing drug related information. However, public relations or education programs were in need since there were still not negligible numbers of consumers depending on personal experience rather than health profession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연구방법
      • 설문대상자
      • 설문지 구성
      • 분석 방법
      • Abstract
      • 연구방법
      • 설문대상자
      • 설문지 구성
      • 분석 방법
      • 연구결과
      • 대상 환자의 일반적인 특징
      • 유해반응, 유해반응의 증상 및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정도
      • 의약정보 획득경로 별 신뢰 정도
      • 고찰
      • 의약품 유해반응에 대한 인식 정도
      • 유해반응의 증상에 대한 인식 정도
      •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정도
      • 의약정보 획득경로 별 신뢰 정도
      • 결론
      • 감사의 말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의순, "전국병원의 복약상담 실태조사" 15 (15): 365-371, 1998

      2 신문희, "입원한 암환자에 대한 복약지도 서비스 개발 및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2000

      3 염민선, "일반의약품 판매규제 완화효과와 정책제언" 15 (15): 237-255, 2010

      4 윤성한, "일반약국에서의 복약지도방법에 따른 복약순응도의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2002

      5 박은자, "의약품 복약순응 현황 및 정책과제" 179 : 82-91, 2011

      6 김윤정, "의약분업 후 개국약사의 역할에 대한 환자의 이해도 및 만족도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2000

      7 최재훈, "약복용 순응률 향상을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 38 (38): 255-257, 2011

      8 전효정, "알레르기를 포함한 의약품 부작용에 대한 환자의 인식도 조사" 한국임상약학회 20 (20): 171-182, 2010

      9 심영수,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복약지도" 12 (12): 237-243, 1995

      10 김철규, "뇌졸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웹 기반 뇌졸중 이차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간호과학회 41 (41): 47-60, 2011

      1 박의순, "전국병원의 복약상담 실태조사" 15 (15): 365-371, 1998

      2 신문희, "입원한 암환자에 대한 복약지도 서비스 개발 및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2000

      3 염민선, "일반의약품 판매규제 완화효과와 정책제언" 15 (15): 237-255, 2010

      4 윤성한, "일반약국에서의 복약지도방법에 따른 복약순응도의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2002

      5 박은자, "의약품 복약순응 현황 및 정책과제" 179 : 82-91, 2011

      6 김윤정, "의약분업 후 개국약사의 역할에 대한 환자의 이해도 및 만족도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2000

      7 최재훈, "약복용 순응률 향상을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 38 (38): 255-257, 2011

      8 전효정, "알레르기를 포함한 의약품 부작용에 대한 환자의 인식도 조사" 한국임상약학회 20 (20): 171-182, 2010

      9 심영수,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복약지도" 12 (12): 237-243, 1995

      10 김철규, "뇌졸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웹 기반 뇌졸중 이차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간호과학회 41 (41): 47-60, 2011

      11 이경수, "공공보건분야 의사 인력 양성과 개발에 대한 보건소 근무 의사들의 인식"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4 (34): 303-315, 2009

      12 Maetin S, "What you need to know about OBRA’90" NS33 (NS33): 26-28, 1993

      13 Morrison A, "Evaluation of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pharmacists’ clinical services" 58 (58): 569-577, 2001

      14 Lacy CF, "Drug Information Handbook" Lexi-Comp Inc 2010

      15 American Society of Health System Pharmacists, "ASHP guidelines on pharmacist-conducted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4 (54): 431-434, 1997

      16 임수, "A Survey on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Demand among Diabetic Patients" 대한당뇨병학회 35 (35): 50-57, 2011

      17 이병구, "2009 복약지도 매뉴얼" 약사공론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임상약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5 0.432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