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인의 세대 간 연대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의 적용 = Exploring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mong Koreans: A grounded theory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77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급속한 사회변화로 고조되는 세대 갈등 속 한국인이 맺는 세대 간 연대의 구조와 양상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30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

      본 연구는 급속한 사회변화로 고조되는 세대 갈등 속 한국인이 맺는 세대 간 연대의 구조와 양상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30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인의 세대 간 연대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중심현상은 ‘세대를 잇는 가는 실의 존재’로 확인되었다. 참여자들은 세대 간연대를 맺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가족주의 연대에서 벗어나 서로의 삶의 영역을 존중하며 연대를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IT기기를통해 공간적 한계를 넘어 부모와 자녀 사이의 연대를 유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부모부양 및 노인돌봄의 주제와 관련하여 자녀세대는가족주의 관점에서 부모님 부양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갖는 동시에 미래의 부양부담에 한계를 느끼고 정책적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세대 간 연대의 변화를 반영한 정책마련과 학문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aspects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mong Koreans amid generational conflict, heightened by rapid social change. For this purpose, 30 adults (age 18 years and abo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aspects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mong Koreans amid generational conflict, heightened by rapid social change. For this purpose, 30 adults (age 18 years and above)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entral phenomenon evident in the solidarity formulation process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of Koreans was “the existence of a thin thread that connects generations.” To form solidarity, the participants respected each other’s lifestyles,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familial practice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solidar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maintained beyond the spatial limit through IT devices. Moreover, with respect to parental support and elderly care, the youngest (children’s) generation had the duty and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ir parents from a familial point of view, while being aware of the future burden they might have to face and hence expected policy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the necessity for formulating policies that reflect the change in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s and the need for academic discussion and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as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림, "청년의 세대관계 유형화: 세대 간 결속의 하위차원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8 (58): 43-60, 2020

      2 강철희, "지역사회결손력(Community Solidarity)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48 : 42-81, 2002

      3 강은나,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2016 (2016): 47-56, 2016

      4 정순둘,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5-24, 2016

      5 성경륭, "세대균열과 세대연대 - 정치 영역과 사회정책 영역에서의 차별적 작용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5-29, 2015

      6 최유석, "세대간 연대의식의 기반: 가족주의 연대" 한국인구학회 37 (37): 61-87, 2014

      7 Mannheim, K., "세대 문제" 책세상 2013

      8 박재흥,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회 37 (37): 1-23, 2003

      9 신지수, "세대 간 연대가 한국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8

      10 김여진, "성인자녀와 부모의 기능적 세대연대와 세대별 차이" 한국인구학회 40 (40): 33-56, 2017

      1 이재림, "청년의 세대관계 유형화: 세대 간 결속의 하위차원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8 (58): 43-60, 2020

      2 강철희, "지역사회결손력(Community Solidarity)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48 : 42-81, 2002

      3 강은나,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2016 (2016): 47-56, 2016

      4 정순둘,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5-24, 2016

      5 성경륭, "세대균열과 세대연대 - 정치 영역과 사회정책 영역에서의 차별적 작용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5-29, 2015

      6 최유석, "세대간 연대의식의 기반: 가족주의 연대" 한국인구학회 37 (37): 61-87, 2014

      7 Mannheim, K., "세대 문제" 책세상 2013

      8 박재흥,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회 37 (37): 1-23, 2003

      9 신지수, "세대 간 연대가 한국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8

      10 김여진, "성인자녀와 부모의 기능적 세대연대와 세대별 차이" 한국인구학회 40 (40): 33-56, 2017

      11 장승혁, "사회연대원리의 기원과 발전 : 전통적인 사회이론가들의 사상을 중심으로" 3 (3): 49-74, 2014

      12 김재희, "노화불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년, 중년, 노년 집단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68) : 187-216, 2015

      13 조병은, "노부모와 성인자녀간의 결속도와 노부모의 인생만족도" 10 (10): 105-124, 1990

      14 김태현, "노부모가 지각하는 성인자녀와의 결속도 및 갈등에 관한 연구" 11 (11): 212-234, 1991

      15 한국일보, "꿈 잃은 2030, 길 잃은 5060... 저성장 시대 더 심각한 마찰"

      16 석재은, "기초연금 도입과 세대 간 이전의 공평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64-99, 2015

      17 정해식, "국민연금과 세대간 계약의 재구성" 한국통계학회 28 (28): 807-826, 2015

      18 홍주민, "개신교와 연대정신―독일 디아코니아운동의 역사" 역사문제연구소 (102) : 107-130, 2013

      19 서유석, "‘연대’(solidarity) 개념에 대한 철학적 성찰" 새한철학회 72 (72): 385-407, 2013

      20 Giarrusso, R., "The intergenerational stake hypothesis revisited: Parent-chil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relationships 20 years later"

      21 Baykara-Krumme, H., "The impact of migration on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types" 45 (45): 1707-1727, 2019

      22 Steinbach, A.,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Eastern and Western Germany" 41 (41): 109-130, 2020

      23 김지은, "Strauss와 Corbin 근거이론의 변화" 한국간호과학회 49 (49): 505-514, 2019

      24 Bengtson, V., "Solidarity, conflict, and ambivalence: Complementary or competing perspectives on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64 (64): 568-576, 2002

      25 Bayertz, K., "Solidarity" Springer 3-28, 1999

      26 Mason, A.,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1998

      27 OECD, "Paying for the Past, Providing for the Futur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OECD Paris 2011

      28 Hwang, W., "Parent-adult child religious discordance : Consequences for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cross several decades" 39 (39): 1545-1572, 2018

      29 Roberts, R. E. L., "Is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 Unidimensional Construct? A Second Test of a Formal Model" 45 (45): S12-S20, 1990

      30 Albertini, M., "Intergenerational transfers of time and money in European families : common patterns-different regimes?" 17 (17): 319-334, 2007

      31 Bengtson, V. L.,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Strengthening economic and social ties" United Nations Headquarters 2007

      32 Bengtson, V. L.,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aging families : An example of formal theory construction" 856-870, 1991

      33 Chun, J.,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Korean immigrant families" 4 (4): 6-21, 2006

      34 Hodgkin, S.,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 An investigation of attitudes towards the responsibility for formal and informal elder care in Australia" 23 (23): 53-64, 2014

      35 European Commission,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nalytical Report" 2009

      36 Timonen, V.,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nd Justice in Ireland : Toward a New National Dialogue" 10 (10): 317-321, 2012

      37 Kertzer, D. I., "Generation as a sociological problem" 9 (9): 125-149, 1983

      38 Timonen, V., "Family, state, class and solidarity : Re-conceptualising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10 (10): 171-179, 2013

      39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2014

      40 Fingerman, K. L., "A Decade of Research on Intergenerational Ties : Technological, Economic, Political, and Demographic Changes" 82 (82): 383-403, 2020

      41 지연경, "3세대 가족의 조부모와의 관계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가정생활 및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4,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