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uneral ritual of king is origined by chinese books in Han(漢), Wei(魏), Tang(唐) dynasty, but we did not found a accurate book. Goryeo kings had concerned about the problem of funeral ritual and a successor. The location of King's dead is var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70120
김인호 (광운대학교)
2010
Korean
funeral ritual ; Goryeo king ; SangJungGoGumRe(詳定古今禮) ; the anniversary of the king death(小祥祭) ; Dogam(都監) ; 국왕장례 ; 상정고금례 ; 사망장소 ; 왕릉 ; 진전사원 ; 불교식 추모
900
KCI등재
학술저널
265-299(35쪽)
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uneral ritual of king is origined by chinese books in Han(漢), Wei(魏), Tang(唐) dynasty, but we did not found a accurate book. Goryeo kings had concerned about the problem of funeral ritual and a successor. The location of King's dead is vari...
The funeral ritual of king is origined by chinese books in Han(漢), Wei(魏), Tang(唐) dynasty, but we did not found a accurate book. Goryeo kings had concerned about the problem of funeral ritual and a successor. The location of King's dead is various, for example, which is a palace, private house, Buddhist temple.
The funeral ritual starts by the announcement of dead king's testment. The people had taken to funeral cloth for two or seven days and dressed it during 27 days, occasionally 14 days.
We have a data about various funeral period. This period is from 16 days to 3 months. But Josen dynasty has a rule to funeral period for 5 months. The organs named Dogam(都監) had taken to funeral ritual.
Tomb of kings located mountains near Gakkyoung(開京) and KyoungKi(京畿). This locations had taken by the thought of FungSu(風水). But we have not a informations about the locations of the latter kings tombs. Inner picture of tomb is generally the stars.
SangJungGoGumRe(詳定古今禮) is the book what arranged a funeral ritual of Confusion. The king portrait and ancestral tablet had moved to memorial palace and temple of loyal family after the anniversary of the king death(小祥祭).
The memorial event of Buddist to dead king is often taken by the king and officer, which is visited to kings tombs.
국문 초록 (Abstract)
장례의식에 대한 전거는 중국 한, 위, 당 등의 것을 이용했지만, 구체적으로 알 수 없었다. 국왕은 임종 시에 상례와 후계자 문제에 큰 관심을 가졌다. 사망장소는 궁궐, 개인의 집, 사찰 등으...
장례의식에 대한 전거는 중국 한, 위, 당 등의 것을 이용했지만, 구체적으로 알 수 없었다. 국왕은 임종 시에 상례와 후계자 문제에 큰 관심을 가졌다. 사망장소는 궁궐, 개인의 집, 사찰 등으로 다양했다. 빈전은 사망 장소와 일치하지 않았다.
장례절차는 유명이 발표된 후에 발상, 거애를 시작한다. 발상까지는 공식적 사망이 아니었다. 그리고 성복은 2일에서 7일이 걸렸다. 상복을 입는 기간은 한 달을 하루로 쳐서 27일이 걸렸지만, 14일로 줄인 경우도 있었다. 왕릉에 장례 지내기까지의 기일은 고려 전기에는 16일부터 26일, 고려 후기에 19일부터 3달을 넘겼다. 장례절차는 도감이 맡았으나, 조선왕조의 차이는 영전이나 혼전에 관련된 도감이 따로 만들어졌던 점이다.
왕릉의 위치는 강화도를 제외하고 송악산과 개경 주변, 그리고 송림현, 장단현 등이었다. 위치 선택에는 풍수지리를 적용하였다. 다만 고려 후기 많은 왕릉의 위치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고려 말의 전쟁과 폐위 같은 정치적 상황 등에 따른 관리부실이 그 원인이다.
왕릉의 형태는 조선왕조와 유사하지만 봉분 내부의 석실에 천문도가 조선시대로 계승되었다. 국왕에 대한 우제는 일반인과 달리 8번까지 이루어졌다. 이러한 유교적 장례의식은 『상정고금례』에서 정리되었을 것이다. 빈전에 있던 신주와 초상은 소상제를 기점으로 우궁과 진전사원으로 옮겨졌다. 진전사원은 태조 왕건의 경우에 3군데가 확인된다. 그 밖에 태묘와 경령전, 왕릉에 신주와 초상화가 모셔졌다. 신주는 태묘, 왕릉 중에서 한 군데 보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따라서 각기 3년상이 끝난 후에 이동이 있었다. 왕릉의 참배는 대표적 추모행사였다. 이것은 국왕의 정통성을 확인하고, 선조의 유지대로 정치를 한다는 의미를 지녔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범직, "한국중세예사상연구" 일조각 1991
2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3 이한상, "천안 남산리 고려묘" 국립공주박물관 1995
4 신명호, "조선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5 조선총독부, "조선고적조사보고 대정오년"
6 고유섭, "송도고적 in: 고유섭전집" 통문관 1993
7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연구소, "서곡리 고려벽화묘 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3
8 허흥식, "불교와 융합된 고려왕실의 조상숭배 in: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9 허흥식, "고려의 왕릉과 진전사원 in: 고려의 문화전통과 사회사상" 집문당 2004
10 김철웅, "고려시대 태묘와 원묘의 설치와 운영" (106) : 2005
1 이범직, "한국중세예사상연구" 일조각 1991
2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3 이한상, "천안 남산리 고려묘" 국립공주박물관 1995
4 신명호, "조선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5 조선총독부, "조선고적조사보고 대정오년"
6 고유섭, "송도고적 in: 고유섭전집" 통문관 1993
7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연구소, "서곡리 고려벽화묘 발굴조사 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3
8 허흥식, "불교와 융합된 고려왕실의 조상숭배 in: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9 허흥식, "고려의 왕릉과 진전사원 in: 고려의 문화전통과 사회사상" 집문당 2004
10 김철웅, "고려시대 태묘와 원묘의 설치와 운영" (106) : 2005
11 이정훈, "고려시대 도감의 구조와 기능 in: 한국사의 구조와 전개" 혜안 2000
12 김인철, "고려무덤발굴보고" 사회과학출판사 2002
13 고려선양회의, "고려 태묘의례 연구논집" 경인문화사 2002
14 박진훈, "고려 사람들의 죽음과 장례―官人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35) : 141-176, 2006
15 김철웅, "고려 경령전의 설치와 운영"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01-127, 2009
16 김창현,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 신서원 2002
17 장호수, "개성지역 고려왕릉 in: 한국사의 구조와 전개" 혜안 2000
18 국립문화재연구소, "강화석릉"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19 中國民族藝術全集編纂委員會, "元代前陵墓建築 in: 中國建築藝術全集" 中國建築工業出版社 1999
20 배종도, "不遷之主 惠宗考 in: 한국사의 구조와 전개" 혜안 200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2 | 0.92 | 0.8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8 | 0.81 | 1.498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