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대 재미한인사회의 진보적 변화와 대응 - 중국후원회 결성과 조선의용대 후원을 중심으로 - = The progressive change and strategy of the Korean society in America in 1930s -­Focusing on the activity of League to Aid China and the support of Korean Volunteers Corp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ogressive change and strategy of Korean society in America coming to the fore to organize League to Aid China and support Korean Volunteers Corps in America in 1930s. Especially, it is explored how Korean National Association(KNA) representing the Korean society in America copes with such kind of problems.
      Manchu invasion and the Sino-Japanese War happened at 1930s; these events made the Korean society tend to change some previous strategy and approach to a problem. The typical problem showing such a sign, for example, was showing some difference of opinion to support Korean Volunteers Corps among the existing power group, Korean National Association, the new power, Korean Volunteers Corps, and another founded group, League to Aid China.
      Relatively, KNA had had a more lenient position toward the organization of League to Aid China. However, KNA started generating conflict with League to Aid China since Korean Volunteers Corps was established in China. The problem was that although KNA wanted to control League to Aid China under KNA directly, League to Aid China rejected it and began its independent activity. As a result, League to Aid China could not help opening the formation of a new committee independently to support Korean Volunteers Corps.
      KNA opened the third central executives committee in 1939 and also held a meeting in conjunction with the organizers of League to Aid Korean Volunteers Corps in China. KNA suggested helping Korean Volunteers Corps through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meeting. However, League to Aid Korean Volunteers Corps regarded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s a group that had an outdated thought while they highly appreciated Korean Volunteers Corps which had armed groups. The gap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wo groups ended up being separated each other. Korean society in America was divided rather than cooperated each other in their abilities in the result that they could not accept the wind of the change from 1930s. Finally, it contributed to the generation of the new power with an up-to-date thought.
      번역하기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ogressive change and strategy of Korean society in America coming to the fore to organize League to Aid China and support Korean Volunteers Corps in America in 1930s. Especially, it is explored how Korean National Assoc...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ogressive change and strategy of Korean society in America coming to the fore to organize League to Aid China and support Korean Volunteers Corps in America in 1930s. Especially, it is explored how Korean National Association(KNA) representing the Korean society in America copes with such kind of problems.
      Manchu invasion and the Sino-Japanese War happened at 1930s; these events made the Korean society tend to change some previous strategy and approach to a problem. The typical problem showing such a sign, for example, was showing some difference of opinion to support Korean Volunteers Corps among the existing power group, Korean National Association, the new power, Korean Volunteers Corps, and another founded group, League to Aid China.
      Relatively, KNA had had a more lenient position toward the organization of League to Aid China. However, KNA started generating conflict with League to Aid China since Korean Volunteers Corps was established in China. The problem was that although KNA wanted to control League to Aid China under KNA directly, League to Aid China rejected it and began its independent activity. As a result, League to Aid China could not help opening the formation of a new committee independently to support Korean Volunteers Corps.
      KNA opened the third central executives committee in 1939 and also held a meeting in conjunction with the organizers of League to Aid Korean Volunteers Corps in China. KNA suggested helping Korean Volunteers Corps through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meeting. However, League to Aid Korean Volunteers Corps regarded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s a group that had an outdated thought while they highly appreciated Korean Volunteers Corps which had armed groups. The gap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wo groups ended up being separated each other. Korean society in America was divided rather than cooperated each other in their abilities in the result that they could not accept the wind of the change from 1930s. Finally, it contributed to the generation of the new power with an up-to-date though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30년대 미국 본토에서 중국후원회의 결성과 조선의용대 후원을 둘러싸고 대두된 미주한인사회의 진보적 변화와 대응, 특히 재미한인사회를 대표하는 대한인국민회의 대응에 초점을 맞춘 글이다.
      1930년대 재미한인사회에는 만주침략과 중일전쟁 발발이라는 일련의 사건 속에 기존의 흐름과 달리하는 변화의 조짐들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러한 변화의 조짐을 표출한 대표적인 사안은 기존 세력을 대표한 대한인국민회와 새로 결성한 중국후원회 및 신진 세력을 대표한 조선의용대후원회 발기인 측간에 조선의용대 후원을 둘러싼 대응 문제였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고찰하기 위해 1930년대 재미한인사회의 동향을 파악하였고 중국후원회와 조선의용대 후원회 결성을 둘러싸고 대한인국민회가 어떻게 대응하였는지에 주목하였다.
      1938년까지 중국후원회의 결성 문제에 비교적 관대한 입장에 서 있던 대한인국민회는 중국에서 조선의용대가 설립된 이후부터 중국후원회 측과 마찰을 빚기 시작하였다. 대한인국민회는 중국위원회를 직할 체제로 관리하기를 원했고 중국후원회는 이를 거부하고 독자활동을 추진하였다. 상반된 입장의 결과 중국후원회는 조선의용대 후원을 위한 발기대회를 독자적으로 개최하였다.
      1939년 제3계 중앙집행회의를 개최한 대한인국민회는 조선의용대후원회 발기인들을 불러 공동 회의를 개최하였다. 회의에서 대한인국민회는 조선의용대 후원문제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통해서 후원하기를 바랬다. 그러나 발기인 측은 임시정부를 낡고 고루한 사상을 가진 집단으로 간주하였고 대신 새로운 무장 조직으로 결성한 조선의용대 세력을 높이 평가하였다. 이런 인식의 차이로 양자는 이견을 좁힐 수 없었고 결국 분립하는 것으로 끝났다. 이처럼 1930년대부터 불고 있던 변화의 바람을 수용하지 못함으로써 재미한인사회는 역량의 결집 보다 분열로, 나아가 새로운 사상과 이념을 가진 신진 세력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번역하기

      본고는 1930년대 미국 본토에서 중국후원회의 결성과 조선의용대 후원을 둘러싸고 대두된 미주한인사회의 진보적 변화와 대응, 특히 재미한인사회를 대표하는 대한인국민회의 대응에 초점...

      본고는 1930년대 미국 본토에서 중국후원회의 결성과 조선의용대 후원을 둘러싸고 대두된 미주한인사회의 진보적 변화와 대응, 특히 재미한인사회를 대표하는 대한인국민회의 대응에 초점을 맞춘 글이다.
      1930년대 재미한인사회에는 만주침략과 중일전쟁 발발이라는 일련의 사건 속에 기존의 흐름과 달리하는 변화의 조짐들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러한 변화의 조짐을 표출한 대표적인 사안은 기존 세력을 대표한 대한인국민회와 새로 결성한 중국후원회 및 신진 세력을 대표한 조선의용대후원회 발기인 측간에 조선의용대 후원을 둘러싼 대응 문제였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고찰하기 위해 1930년대 재미한인사회의 동향을 파악하였고 중국후원회와 조선의용대 후원회 결성을 둘러싸고 대한인국민회가 어떻게 대응하였는지에 주목하였다.
      1938년까지 중국후원회의 결성 문제에 비교적 관대한 입장에 서 있던 대한인국민회는 중국에서 조선의용대가 설립된 이후부터 중국후원회 측과 마찰을 빚기 시작하였다. 대한인국민회는 중국위원회를 직할 체제로 관리하기를 원했고 중국후원회는 이를 거부하고 독자활동을 추진하였다. 상반된 입장의 결과 중국후원회는 조선의용대 후원을 위한 발기대회를 독자적으로 개최하였다.
      1939년 제3계 중앙집행회의를 개최한 대한인국민회는 조선의용대후원회 발기인들을 불러 공동 회의를 개최하였다. 회의에서 대한인국민회는 조선의용대 후원문제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통해서 후원하기를 바랬다. 그러나 발기인 측은 임시정부를 낡고 고루한 사상을 가진 집단으로 간주하였고 대신 새로운 무장 조직으로 결성한 조선의용대 세력을 높이 평가하였다. 이런 인식의 차이로 양자는 이견을 좁힐 수 없었고 결국 분립하는 것으로 끝났다. 이처럼 1930년대부터 불고 있던 변화의 바람을 수용하지 못함으로써 재미한인사회는 역량의 결집 보다 분열로, 나아가 새로운 사상과 이념을 가진 신진 세력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의용대통신"

      2 최기영, "조선의용대와 미주한인사회­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를 중심으로" 11 : 1999

      3 강만길,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화평사 1991

      4 조규태, "재미한인 임정구의 종교 활동과 민족운동(1905-1939)" 대구사학회 114 : 69-118, 2014

      5 홍선표, "자주독립과 통일정부수립을 위한 재미한인의 꿈과 도전" 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6 "의용보"

      7 선우학원, "아리랑 그 슬픈 가락이여" 대흥기획 1994

      8 "신한민보"

      9 "독립"

      10 한상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좌우합작운동" 한울 1995

      1 "조선의용대통신"

      2 최기영, "조선의용대와 미주한인사회­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를 중심으로" 11 : 1999

      3 강만길,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화평사 1991

      4 조규태, "재미한인 임정구의 종교 활동과 민족운동(1905-1939)" 대구사학회 114 : 69-118, 2014

      5 홍선표, "자주독립과 통일정부수립을 위한 재미한인의 꿈과 도전" 연세대학교출판부 2011

      6 "의용보"

      7 선우학원, "아리랑 그 슬픈 가락이여" 대흥기획 1994

      8 "신한민보"

      9 "독립"

      10 한상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좌우합작운동" 한울 1995

      11 內務省警保局, "社會運動の狀況 6" 三一書房 1972

      12 Eun Sik Yang, "Korean Revolutionary Nationalism in America: Kim Kang and the Studnet Circle, 1938~1956" Asian American Studies Center, UCLA 1970

      13 도산기념사업회, "1939년도 중앙집행위원회 회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