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효율적인 군사력 건설을 위한 국방의사결정체계발전방향: 국방부의 역할과 중기계획 실효성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Direction of Defense Decision System for Effective Armed Forces Construction: The Role of the Ministry of Defence and the Measures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Mid-term Defense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666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K military has made many improvements in defense acquisition system since its establishment in the early 1970s. However it is said that the system is not working effectively. Particularly, it is thought that insufficient role of the Ministry of ...

      The ROK military has made many improvements in defense acquisition system since its establishment in the early 1970s. However it is said that the system is not working effectively. Particularly, it is thought that insufficient role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ND) one of the causes. This paper reviewed the overall defense acquisition decision making system, and then proposed ways to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MND,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mid-term defense program and connecting requirement and acquisi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suggested solutions for strengthening the policy functions of the MND, establishing a decision-making committee under the direction of the MND, integrating mid-term defense programs and budgeting, and reorganizing the budget struc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군은 1970년대 초부터 국방획득체계를 구축하고 많은 개선을 해왔으나, 여전히 비효율적이며 특히 국방부의 역할이 많이 미흡하다. 이에 기존 연구 자료와 실무경험을 토대로 국방획득 ...

      우리 군은 1970년대 초부터 국방획득체계를 구축하고 많은 개선을 해왔으나, 여전히 비효율적이며 특히 국방부의 역할이 많이 미흡하다. 이에 기존 연구 자료와 실무경험을 토대로 국방획득 의사결정체계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국방부의 역할과 중기계획의 실효성 및 소요와 획득의 연계성 강화 방안을 검토하여 국방부의 정책기능 강화, 국방부 주관 의사결정제도 도입, 중기소요와 중기계획 통합, 중기계획과 예산요구안 작성시기 통합, 예산구조 재조정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상국, "제4차 산업혁명기 한국군의 군사력 건설 시스템 혁신 방향: 소요창출을 위한 전투발전체계 혁신을 중심으로" 한국국방연구원 33 (33): 171-201, 2017

      2 이용대, "선진강군 육성을 위한 국방의사결정체계 개선" (415) : 2013

      3 최수동, "선진 국방경영을 위한 획득 및 운영유지 연계 제고방안" KIDA 2016

      4 국방부, "방위사업법. 법률 제14422호"

      5 방위사업청, "방위사업개론"

      6 정진태, "방위사업개론" 21세기북스 2012

      7 이상경, "방위사업 현안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KIDA 2015

      8 이재욱, "기획-계획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한 전력소요의 적기전력화 방안" KIDA (1664) : 2017

      9 국방획득체계개선단, "국방획득체계개선 연구보고서" 국방부 2011

      10 한국국방연구원, "국방획득정책의 진단과 중기 추진방향" KIDA 2013

      1 서상국, "제4차 산업혁명기 한국군의 군사력 건설 시스템 혁신 방향: 소요창출을 위한 전투발전체계 혁신을 중심으로" 한국국방연구원 33 (33): 171-201, 2017

      2 이용대, "선진강군 육성을 위한 국방의사결정체계 개선" (415) : 2013

      3 최수동, "선진 국방경영을 위한 획득 및 운영유지 연계 제고방안" KIDA 2016

      4 국방부, "방위사업법. 법률 제14422호"

      5 방위사업청, "방위사업개론"

      6 정진태, "방위사업개론" 21세기북스 2012

      7 이상경, "방위사업 현안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KIDA 2015

      8 이재욱, "기획-계획 간 연계성 강화를 통한 전력소요의 적기전력화 방안" KIDA (1664) : 2017

      9 국방획득체계개선단, "국방획득체계개선 연구보고서" 국방부 2011

      10 한국국방연구원, "국방획득정책의 진단과 중기 추진방향" KIDA 2013

      11 전제국, "국방중기계획의 역할과 실효성 확보 방안" KIDA (1490) : 2013

      12 국방부,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 국방부 훈령 제1825호"

      13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전력발전업무 10년 평가 및 국방획득관리체계 종합발전방안 연구" KIDA 2017

      14 전제국, "국방기획관리제도의 이상과 현실- 제도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6 (56): 109-137,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82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