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혁신학교 기본가치와 운영 평가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sic Values and Operating Evaluation of Innovative School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24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혁신학교가 시행된 지 10년이 지난 만큼 학교 문화의 혁신을 일으키는 주체가 단위학교라는 점에서 혁신학교 정책 운영의 질적 수준에 관한 실질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각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고 있는 기본 가치와 운영 평가 계획을 비교 및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혁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각 시도교육청은 각기 강원, 부산, 충북은 ‘모두를 위한 교육’, 경기, 경남은 ‘미래학교 지향’, 광주, 서울, 울산, 전북, 제주는 ‘교육공동체 실현’, 세종, 인천, 충남은 ‘공교육 정상화’로 그 특색에 따른 비전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공공성, 민주성, 창의성 등을 강조한다. 혁신학교의 운영 평가는 자체평가, 중간평가, 종합평가로 이루어지며, 이 중 중간평가와 종합평가는 그 절차 및 평가 지표가 유사하다. 중간평가와 종합평가는 특히 현장평가를 통해 학교별로 운영을 점검하고, 평가 결과 환류 및 우수사례를 통해 학교 혁신과 관련된 교육정책 자료를 제공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혁신학교가 시행된 지 10년이 지난 만큼 학교 문화의 혁신을 일으키는 주체가 단위학교라는 점에서 혁신학교 정책 운영의 질적 수준에 관한 실질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

      혁신학교가 시행된 지 10년이 지난 만큼 학교 문화의 혁신을 일으키는 주체가 단위학교라는 점에서 혁신학교 정책 운영의 질적 수준에 관한 실질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각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고 있는 기본 가치와 운영 평가 계획을 비교 및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혁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각 시도교육청은 각기 강원, 부산, 충북은 ‘모두를 위한 교육’, 경기, 경남은 ‘미래학교 지향’, 광주, 서울, 울산, 전북, 제주는 ‘교육공동체 실현’, 세종, 인천, 충남은 ‘공교육 정상화’로 그 특색에 따른 비전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공공성, 민주성, 창의성 등을 강조한다. 혁신학교의 운영 평가는 자체평가, 중간평가, 종합평가로 이루어지며, 이 중 중간평가와 종합평가는 그 절차 및 평가 지표가 유사하다. 중간평가와 종합평가는 특히 현장평가를 통해 학교별로 운영을 점검하고, 평가 결과 환류 및 우수사례를 통해 학교 혁신과 관련된 교육정책 자료를 제공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erms of the fact that Innovation School is the main agent which encourages the innovation of school culture, As it has been ten years since the Innovation School was enforced, we do need a practical, indepth study on the quality of policy management. To make this actualize, this study is for analysis and comparison of basic values and operating evaluation plans which have been managed by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MCOE) &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POE). Each of MCOE & POE have their own vision. Those visions are such things; ‘Education for All’ for Gangwon, Busan, Chungbuk. ‘Future School Orientation’ for Gyeonggi, Gyeongnam. ‘Educational Community Realization’ for Gwangju, Seoul, Ulsan, Jeonbuk, Jeju.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for Sejong, Incheon, Chungnam. Like such things, each office possesses different vision by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n principle, all emphasis on publicness, democracy, and creativity. Management evaluations of the Innovation School is operated by Self-assessment, Intermediate evaluation, and Extensive assessment. The process and evaluation index of Intermediate evaluation and Extensive assessment are similar. Especially, Those assessment have significance in a role of administrating its management of each school and a role of offering associated documents of educational policy with educational renovations with feedback and some good examples.
      번역하기

      In terms of the fact that Innovation School is the main agent which encourages the innovation of school culture, As it has been ten years since the Innovation School was enforced, we do need a practical, indepth study on the quality of policy manageme...

      In terms of the fact that Innovation School is the main agent which encourages the innovation of school culture, As it has been ten years since the Innovation School was enforced, we do need a practical, indepth study on the quality of policy management. To make this actualize, this study is for analysis and comparison of basic values and operating evaluation plans which have been managed by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MCOE) &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POE). Each of MCOE & POE have their own vision. Those visions are such things; ‘Education for All’ for Gangwon, Busan, Chungbuk. ‘Future School Orientation’ for Gyeonggi, Gyeongnam. ‘Educational Community Realization’ for Gwangju, Seoul, Ulsan, Jeonbuk, Jeju.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for Sejong, Incheon, Chungnam. Like such things, each office possesses different vision by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n principle, all emphasis on publicness, democracy, and creativity. Management evaluations of the Innovation School is operated by Self-assessment, Intermediate evaluation, and Extensive assessment. The process and evaluation index of Intermediate evaluation and Extensive assessment are similar. Especially, Those assessment have significance in a role of administrating its management of each school and a role of offering associated documents of educational policy with educational renovations with feedback and some good examp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국내 혁신학교의 기본 현황과 연구 동향 Ⅲ. 전국 혁신학교의 비전 및 기본 가치 비교 Ⅳ. 국내 혁신학교 운영 평가 비교 Ⅴ. 정책적 제언
      • Ⅰ. 서 론 Ⅱ. 국내 혁신학교의 기본 현황과 연구 동향 Ⅲ. 전국 혁신학교의 비전 및 기본 가치 비교 Ⅳ. 국내 혁신학교 운영 평가 비교 Ⅴ. 정책적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상우, "혁신학교의 수업혁신 과정과 과제" 교육종합연구소 13 (13): 43-67, 2015

      2 노순규, "혁신학교의 사례와 성공방법" 한국기업경영연구원 2013

      3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1

      4 이중현, "혁신학교는 지속가능한가" 에듀니티 2017

      5 성열관, "혁신학교-한국교육의 희망과 미래" 살림터 2011

      6 백병부, "혁신학교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7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5-168, 2011

      8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운영 기본계획" 2018

      9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갑니다"

      10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기본문서"

      1 노상우, "혁신학교의 수업혁신 과정과 과제" 교육종합연구소 13 (13): 43-67, 2015

      2 노순규, "혁신학교의 사례와 성공방법" 한국기업경영연구원 2013

      3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1

      4 이중현, "혁신학교는 지속가능한가" 에듀니티 2017

      5 성열관, "혁신학교-한국교육의 희망과 미래" 살림터 2011

      6 백병부, "혁신학교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7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45-168, 2011

      8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운영 기본계획" 2018

      9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갑니다"

      10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기본문서"

      11 박종철, "혁신학교 교사의 민주적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2 허봉규, "혁신 학교 운영 모델 탐색 :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13 박붕서, "한국 혁신학교운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14 김성천, "학부모가 알아야 할 혁신학교의 모든 것" 맘에드림 2012

      15 조금주, "학교다양화 정책 속에서 살펴본 혁신학교의 성과 및 과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415-439, 2012

      16 강충렬, "학교 혁신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17 "충청남도교육청 홈페이지"

      18 박희진,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저해요인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51-674, 2018

      19 오세흠, "차터스쿨형 학교 운영 모형 탐색"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20 나민주, "자율학교 성과분석 연구 : 혁신학교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3

      21 "울산광역시교육청"

      22 김천홍, "영국의 공립학교 구조 개혁: 아카데미의 자율성, 책무성, 협력적 거버넌스 측면에서" 교육연구소 38 (38): 213-242, 2017

      23 최창의, "시도교육청 혁신학교 정책 비교 연구: 경기, 전북, 서울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24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형 혁신학교 운영 기본 계획" 2018

      25 김영화, "미국의 종합적 학교혁신(Comprehensive School Reform) 동향" 한국교육정치학회 13 (13): 101-125, 2006

      26 서용희, "미국의 성공적인 학교교육혁신사례 비교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91-215, 2007

      27 염철현, "미국 초·중등교육개혁법 고찰 - ‘No Child Left Behind Act’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15 (15): 57-78, 2005

      28 남미자, "단위학교 혁신과정에서의 학생의 역할에 관한 질적 연구 -경기도 A 혁신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3 (53): 29-54, 2015

      29 유주영, "국내 혁신학교 연구에 관한 동향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12 (12): 81-105, 2016

      30 문혜림, "국내 혁신학교 연구들에 대한 종합분석" 동아대학교 2017

      31 유경훈, "국내 혁신학교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351-380, 2012

      32 박승철,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 평가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4

      33 강원도교육청, "강원도 행복더하기학교 운영계획" 2012

      34 서울특별시교육청, "「자율학교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훈령」에 따른 2018학년도 서울형 혁신학교 종합평가 운영 계획[안]" 2018

      35 Sergiovanni, T. J., "Schooling for tomorrow: Directing reforms to issues that count" Allyn & Bacon 1989

      36 충청북도교육청, "2018학년도 행복씨앗학교 추진 계획" 2018

      37 대전광역시교육청, "2018학년도 창의인재 씨앗학교 운영계획" 2018

      38 서울특별시교육청, "2018학년도 서울형혁신학교 운영 평가 계획" 2018

      39 광주광역시교육청, "2018학년도 빛고을혁신학교 추진 기본 계획" 2018

      40 경기도교육청, "2018년 전반기 혁신학교 종합평가 계획" 2018

      41 경기도교육청, "2018년 전반기 혁신학교 성장나눔[중간평가] 계획" 2018

      42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18년 세종 혁신학교 운영 기본 계획(안)" 2018

      43 전라남도교육청, "2018. 무지개학교 운영계획" 2018

      44 전라북도교육청, "2018 혁신교육 기본 계획" 2018

      45 인천광역시교육청, "2018 행복배움학교 운영 기본 계획" 2018

      46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18 제주형 자율학교 (다ᄒᆞᆫ디배움학교) 운영 계획" 2018

      47 경상남도교육청, "2017. 행복학교 중간평가 편람" 2017

      48 전라남도교육청, "2017. 무지개학교 종합평가 계획[안]" 2017

      49 전라남도교육청, "2017. 무지개학교 2년차 중간평가 및 6년차 평가 계획" 2017

      50 광주광역시교육청, "2017 빛고을혁신학교 중간평가 추진계획[안]" 2017

      51 광주광역시교육청, "2017 빛고을혁신학교 종합평가 추진계획[안]"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