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제강점기 현대시 관련 근대성 담론의 층위와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2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현대시 관련 근대성 담론을 조사하여 그 층위와 특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둔다. 많은 자료를 검토한 결과 우리 근대성 담론은 크게 세 가지 층위로 분류해 볼 수 있...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현대시 관련 근대성 담론을 조사하여 그 층위와 특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둔다. 많은 자료를 검토한 결과 우리 근대성 담론은 크게 세 가지 층위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이런 범주 분류는 그 내용의 원천과 무관하게 필자들의 관점에 초점을 둔 것이다.
      첫째, ‘형태적 층위’의 근대성으로서, 근대성을 근대화의 양상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춘 논의이다. 근대성을 근대화의 양상에서 찾는 것은 도시의 풍경에 대한 감각적인 반응이다. 이런 논의는 20년대에 나온 논의에 주로 발견되지만, 시의 문제와 구체적으로 연계된 것은 김기림, 김광균의 논의이다. 김광균의 ‘형태의 사상성’(김광균, 「나의 시론-서정시의 문제」)이 이런 층위의 핵심적인 용어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기계적 도식의 명쾌성, 도회적 풍경의 재현 등이 주로 다루어진다.
      둘째, ‘내면적 층위’의 근대성으로, 근대성의 본질을 근대인의 불안의식이나 소외 등의 내면성에서 찾는 경우이다. 대부분의 논의가 이 문제를 언급하고 있으나 본격적으로 논한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다. 최재서, 고유섭, 김광섭 등의 논의가 여기에 해당한다. 여기에 속하는 담론들은 앞에서 말한 ‘형태적 층위’의 근대성에 대한 비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셋째, ‘종합적 층위’의 근대성으로, 모더니즘 중심의 근대성을 벗어나 리얼리즘, 리리시즘, 낭만주의 등으로 논의를 확장한 경우를 말한다. 여기에는 임화, 한식 등의 논의가 포함된다. 계급적 의식을 염두에 두고 현대성의 문제에 접근하는 임화는 리얼리즘적 관점을 보여주며, 제작으로서의 시가 아니라 유기적 존재로서의 시를 강조하며 현대성을 말하는 한식은 낭만주의적 관점에서 근대성을 다룬 경우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roject is aimed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hierarchy of the discourses of modernity in Korean poetics. Although Korean discourses of modernity have a great variety of aspects, they actually have three different levels of modernity; fo...

      This project is aimed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hierarchy of the discourses of modernity in Korean poetics. Although Korean discourses of modernity have a great variety of aspects, they actually have three different levels of modernity; formalist modernity, introspective modernity, synthetic modernity.
      Formalist modernity is discourses place the focus on the aspect of modernization. It is very sensitive to the landscape of cities: buildings, arcade, crowds in the street etc. A lot of poets, like Kim Gi-rim, Kim Gwang-gyun, asserts that modern poetry must reflects this aspect. Kim Gwang-gyun, one of Korean imagist poe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is modernity. His concepts like as ‘thought of style’, ‘ideology of sense’ mean the lack of reflection about poetic object and reality. From these facts, We can reach a conclusion that this modernity has a preference for functional to causal explanation. According to Ronald Schleifer, It reflects the transformation from cause to effect, in Saussure’s terms, from a mode of understanding based upon the diachronic discovery of the origin to a mode of understanding based upon a synchronic apprehension of between and among phenomenal data.
      Introspective modernity is discourses focus on modern citizen's inner world like as a feeling of uneasiness, alienation. Kim Gwang-sub is one of poe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is modernity. He found the similarity between world modernity and Korean one in this aspect.
      Synthetic modernity includes a realist modernity and a romantist modernity. Although it is very especial modernity, we must recognize it as one of modernities. Some critics like as Im Hwa, Han Si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is modernity. While Im Hwa, one of the realist poets, asserted a realist modernity. Han Sik, one of the realist critics, asserted a romantist modern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