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鮮初 黃鐘 音高 硏究 = The Study on the Pitch of the Fundamental ton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韓國 傳統音樂에서 基本音은 雅樂??唐樂의 黃鐘(C음에 가깝다), 鄕樂(E♭에 가깝다), 散調淸, 民謠淸의 네 가지가 있다고 한다. 黃鐘 等 12律名으로 音高를 表記하는 雅樂ㆍ?唐樂과 鄕樂은 그 ...

      韓國 傳統音樂에서 基本音은 雅樂??唐樂의 黃鐘(C음에 가깝다), 鄕樂(E♭에 가깝다), 散調淸, 民謠淸의 네 가지가 있다고 한다. 黃鐘 等 12律名으로 音高를 表記하는 雅樂ㆍ?唐樂과 鄕樂은 그 基本音을 黃鐘으로 삼는데, 같은 黃鐘으로 表記하면서도 그 音高는 서로 다르다. 이와 關聯하여 韓國의 音樂學者들은 鄕樂을 12律名으로 記譜하기 始作한 朝鮮 初期에 現行과 달리 雅樂ㆍ?唐樂과 鄕樂의 黃鐘은 모두 같은 音(現行 雅樂ㆍ唐樂과 같은 C音에 가까운 音)이었으나 後에 現行과 같이 鄕樂의 黃鐘이 E♭에 가깝게 높아졌을 것으로 主張과, 本來부터 雅樂??唐樂의 黃鐘과 鄕樂의 黃鐘은 서로 달랐을 것이라는 主張이 對立되었다.
      조선초기 세종대왕과 박연이 향악을 중국의 12율명으로 표기하여 정리할 때, 기본음 황종의 높이가 달랐을 이유가 없다. 또 그리했다는 근거도 전혀 없다. 그런데 현행 아악ㆍ당악과 향악의 악기편성을 살펴보면 아악과 당악은 편종과 편경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향악은 편종과 편경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보태평과 정대업의 경우 편종과 편경을 사용하는데, 이 두곡은 향악이지만 황종의 높이가 아악이나 당악과 같이 C에 가깝다. 이러한 사실은 아악과 당악이어서 황종의 높이가 C이고, 향악이어서 황종의 음높이가 E♭인 것이 아니라, 편종과 편경을 사용하는 음악은 황종의 높이가 C에 가깝고, 편종과 편경을 사용하지 않는 음악은 E♭에 가깝게 높아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편종과 편경은 연주자가 그 높이를 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이외의 악기는 모두 그 음높이를 조금씩 변화시킬 수 있는데, 조선후기의 거문고 역안법(장사훈 주장), 민간음악이 俗化되면서 음고가 높아지는 것(이혜주 주장) 등의 이유로 편종ㆍ편경을 사용하지 않는 음악의 경우 기본음이 황종의 음높이가 높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itch of the fundamental tone Hoangjong(黃鐘) are two, one, the hoangjong(黃鐘) pitch of the a-ak(雅樂) and the dang-ak(唐樂) is near the C, the other, the pitch of the hoangjong(황종) pitch of the hyang-ak(鄕樂) is near the E♭. Jang...

      The pitch of the fundamental tone Hoangjong(黃鐘) are two, one, the hoangjong(黃鐘) pitch of the a-ak(雅樂) and the dang-ak(唐樂) is near the C, the other, the pitch of the hoangjong(황종) pitch of the hyang-ak(鄕樂) is near the E♭. Jang-sahun(장사훈) and Nam-sangsuk(남상숙) maintained that the hoangjong(황종) pitch is one in the early Joseon(조선) dynasty, but the hoangjong(황종) pitch of the hyang-ak(향악) have changed higher. On the contrary to their asistent, Hoang-junyeon(황준연) insist that the hoangjog(황종) pitchs were different in the early Joseon(조선) dynasty.
      In the early Joseon(조선) dynasty, The Great King Sejong(세종) and Bak-yeon(박연) put the Hyang-ak (향악) on the twelve scale of the Chinese(12율명). Then, there was no reason to put the different two hoangjong(황종) pitch. Examin the organiz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s of two hoangjong(황종) pitches musics, the lower hoangjong(황종) pitch music organized the Pyeonjong(편종) and the Pyeongyeong(편경), and the higher hoangjong(황종) pitch music did not organized the Pyeonjong(편종) and the Pyeongyeong (편경). The player cannot changed the pitch of the Pyeonjong(편종) and the Pyeongyeong(편경). But the other music instruments be changed the pitch by the player. So the music with the Pyeonjing(편종) and the Pyeongyeong(편경) have nod changed the pitch, but the music without the pyeonjong(편종) and the pyeongyeong(편경) have changed the pitch higher.
      The reason of changed pitch higher is insisted the change of the Geomungo technique by Jang-sahun(장사훈), the vulgarization of the private music in the late Joseon(조선) dynasty by Lee-hyegu(이혜구). Any way I think that the pitch of the fundamental tone, hoangjong(황종) was one in the early Joseon(조선) dynasty, and the music of the changed pitch is the music without the Pyeonjong(편종) and the Pyeongyeong(편경), not the Hyang-ak(향악).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旣存硏究
      • Ⅲ. 鮮初 黃鐘 音高 論難에 對한 남상숙의 整理 “황종의 음고(音高) 문제를다룬 연구”
      • Ⅳ. 世宗實錄樂譜와 世祖實錄樂譜의 保太平ㆍ定大業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旣存硏究
      • Ⅲ. 鮮初 黃鐘 音高 論難에 對한 남상숙의 整理 “황종의 음고(音高) 문제를다룬 연구”
      • Ⅳ. 世宗實錄樂譜와 世祖實錄樂譜의 保太平ㆍ定大業
      • Ⅴ. 황종음고 변화의 이유 추정
      • Ⅵ.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