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종회, "한민족 문화권의 문학 2" 국학자료원 2006
2 김종회, "한민족 문화권 문학의 새로운 범주" 중국조선: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3 박진숙, "중국 조선족 문학의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통해 본 디아스포라의 의미" 민족문학사학회 (39) : 258-286, 2009
4 김병구, "조선적인 것의 형성과 근대문화담론" 소명출판 2007
5 오상순, "이중정체성의 갈등과 문학적 형상화" 한국문학연구학회 (29) : 37-70, 2006
6 최원식, "민족문학과 디아스포라: 해외동포들의 작품을 읽고" 2003
7 김용직, "문학을 통해 본 재외동포들의 의식성향 고찰" 서울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9 : 1993
8 윤여탁, "다문화사회: 한국문학과 대중문화의 대응" 국어교육연구소 (26) : 3-24, 2010
9 오상순, "다문화 사회 안에서의 민족정체성 위기와 그 소설적 대응 양상: 박옥남 소설의 경우"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2010
10 김종회, "남북한 문학과 해외 동포문학의 디아스포라적 문화 통합" 한국현대문학회 (25) : 487-508, 2008
1 김종회, "한민족 문화권의 문학 2" 국학자료원 2006
2 김종회, "한민족 문화권 문학의 새로운 범주" 중국조선: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3 박진숙, "중국 조선족 문학의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통해 본 디아스포라의 의미" 민족문학사학회 (39) : 258-286, 2009
4 김병구, "조선적인 것의 형성과 근대문화담론" 소명출판 2007
5 오상순, "이중정체성의 갈등과 문학적 형상화" 한국문학연구학회 (29) : 37-70, 2006
6 최원식, "민족문학과 디아스포라: 해외동포들의 작품을 읽고" 2003
7 김용직, "문학을 통해 본 재외동포들의 의식성향 고찰" 서울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9 : 1993
8 윤여탁, "다문화사회: 한국문학과 대중문화의 대응" 국어교육연구소 (26) : 3-24, 2010
9 오상순, "다문화 사회 안에서의 민족정체성 위기와 그 소설적 대응 양상: 박옥남 소설의 경우"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2010
10 김종회, "남북한 문학과 해외 동포문학의 디아스포라적 문화 통합" 한국현대문학회 (25) : 487-508, 2008
11 최병우, "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 한국문학회 (56) : 365-391, 2010
12 최미숙, "국어 교육에서 문학작품의 선정과 의미" 혜화당 (1) :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