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발달 연구 : 국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75742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811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ii, 178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영주
        참고문헌 : p.145-155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057160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발달 양상을 일정 기간에 걸쳐 종적으로 살펴 제2언어 학습자들의 중간언어(interlanguage) 발달의 역동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제2언어 ...

      본 연구는 국내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발달 양상을 일정 기간에 걸쳐 종적으로 살펴 제2언어 학습자들의 중간언어(interlanguage) 발달의 역동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제2언어 학습자의 중간언어는 학습자의 언어 체계 내에서 발생된 독특한 창조물로 발달 과정에서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 따라서 학습자의 제2언어 발달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을 위해서는 시간의 연속선상에서 발달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0개월의 기간 동안 자국에서 한국으로 이주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 20명의 말하기 능력 발달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학습을 시작할 당시 한국어 C-test를 통해 숙달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또는 4급의 중급 수준에 해당하였다. 이후 10주 간격으로 총 4회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매 실험마다 과제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말하기 능력 발달 양상을 살폈다.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은 언어적 능력과 사회언어학적 능력으로 구분하였으며 해당 능력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별도의 과제를 개발하였다. 언어적 능력 측정을 위해서는 ‘동영상 보고 내용 말하기’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언어학적 능력 평가를 위해서는 ‘전화 메시지 녹음하기’ 과제를 활용하였다. 또한 언어적 능력과 사회언어학적 능력에서는 한국어 숙달도를 변인으로 두었으며 사회언어학적 능력은 요청과 거절 화행으로 범위를 제한하고 사회적 힘을 화행 내 변인으로 두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제를 통해 얻은 자료는 해당 능력의 측정 기준에 따라 분석되었다. 먼저 학습자의 언어적 능력은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지표를 사용하였는데, 복잡성은 통사적 복잡성의 범위로, 정확성은 철자(발음)와 어휘, 그리고 통사적 범위로, 유창성은 시간적 범주 내에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사회언어학적 능력은 전체 평가와 분석 평가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전체 평가는 한국어 교사로 구성된 평가 집단이 학습자의 발화 자료를 듣고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 평가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 자료와 비교 및 한국어 교재 분석 내용과의 비교가 이루어졌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 자료와 비교에서는 경어법, 문장 유형, 담화표지 및 발화 시간의 측면에서 비교하였으며 교재 분석 내용과의 비교에서는 서강 한국어, 서울대 한국어, 연세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요청 및 거절 화행 수행 표현과의 비교가 이루어졌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자료에 나타난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발달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전체적으로 한국어 학습 기간이 길어질수록 학습자들의 언어적 능력도 발달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지표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타났다. 복잡성에서는 한국에서의 학습 시작 이후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더 이상의 발달이 진행되지 않았으며 유창성에서는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10개월까지 오히려 다소 퇴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정확성은 실험 기간 내내 꾸준히 향상되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자료에 나타난 요청 화행과 거절 화행의 발달 양상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전체적으로 한국어 학습 기간이 길어질수록 학습자들의 사회언어학적 능력도 발달하였으나 발달의 폭은 조금씩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화행 내 변인(사회적 힘)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요청 화행의 하상 관계와 거절 화행의 동등 관계에서는 실험 시작부터 실험이 끝날 때 까지 꾸준히 발달하였으나 요청 화행의 동등 관계와 거절 화행의 하상 관계에서는 실험 후반에 오히려 퇴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개별 화행에 따라 발달 양상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요청 화행에서는 한국에서의 학습 시작 시점부터 실험이 끝나는 시점까지 10개월 동안 꾸준히 발달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거절 화행에서는 한국에서의 학습 시작 이후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다소 퇴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각 화행의 발생 빈도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교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에서 이러한 결과를 객관적으로 증명하였는데, 요청 화행은 거절 화행에 비해 제시 빈도가 높고 범위도 넓었으며 사용 표현도 더 다양했다.
      네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말하기 능력 발달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를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나누고 집단별 발달 양상을 살펴본 결과, 언어적 능력과 사회언어학적 능력의 발달에 있어서 숙달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은 일정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언어적 능력에서는 숙달도 하위 집단의 발달이 좀 더 두드러졌으나 사회언어학적 능력에서는 숙달도 상위 집단의 발달이 안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발달을 설명하였다. 전체적으로는 학습 기간이 길어질수록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이 발달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세부적으로 숙달도나 위계 관계 또는 구인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간 외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학습자의 비선형적인 언어 능력 발달 양상을 한국어교육에서도 증명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어 언어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학습자 변인과 학습 시기에 따라 적절한 학습 목표를 선택하여 효과적인 학습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ⅶ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기본 용어 정의 3
      • 국문초록 ⅶ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기본 용어 정의 3
      • 1.3. 선행연구 6
      • 1.3.1. 언어적 능력의 CAF 발달 연구 6
      • 1.3.2. 사회언어학적 능력 발달 연구 10
      • 1.4.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15
      • 1.5. 연구 문제 16
      • 1.6. 연구 개요 17
      • 2. 말하기 능력의 정의 및 구인 19
      • 2.1. 말하기 능력 19
      • 2.2. 언어적 능력 28
      • 2.2.1. 복잡성 30
      • 2.2.2. 정확성 34
      • 2.2.3. 유창성 38
      • 2.3. 사회언어학적 능력 41
      • 2.3.1. 사회언어학적 능력의 개념 41
      • 2.3.2. 사회언어학적 능력의 측정 43
      • 3. 연구 방법 47
      • 3.1. 연구 참여자 47
      • 3.2. 연구 도구 48
      • 3.2.1. 한국어 C-test 49
      • 3.2.2. ‘동영상 보고 내용 말하기’ 과제 50
      • 3.2.3. ‘전화 메시지 녹음하기’ 과제 51
      • 3.3. 자료 분석 56
      • 3.3.1. 한국어 숙달도 57
      • 3.3.2. 언어적 능력 57
      • 3.3.3. 사회언어학적 능력 65
      • 3.4. 연구 절차 69
      • 3.5. 소결론 74
      • 4. 말하기 능력 발달 양상 75
      • 4.1. 한국어 숙달도 측정 결과 75
      • 4.2. 언어적 능력 측정 결과 79
      • 4.2.1. 복잡성 측정 결과 79
      • 4.2.2. 정확성 측정 결과 84
      • 4.2.3. 유창성 측정 결과 87
      • 4.3. 사회언어학적 능력 평가 결과 92
      • 4.3.1. 한국어 교사 평가 결과 92
      • 4.3.2. 모어 화자 집단과의 비교 결과 101
      • 4.3.3. 한국어 교재 내용과의 비교 결과 118
      • 4.4. 소결론 128
      • 5. 논의 131
      • 5.1. 언어적 능력의 발달 양상 131
      • 5.2. 사회언어학적 능력의 발달 양상 133
      • 5.3. 화행별 발달 양상 136
      • 5.4. 숙달도에 따른 말하기 능력 발달 양상 138
      • 5.5. 소결론 140
      • 6. 결론 및 제언 141
      • 6.1. 결론 및 시사점 141
      • 6.2. 한계점 및 제언 143
      • ▶ 참고문헌 145
      • ▶ 부록 156
      • ▶ ABSTRACT 17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어 능력 평가", 국학자료원, 한국어학, 6, 153-173, 1997

      2 이관규, "(개정판)학교문법론", 월인, 2002

      3 이익섭, "국어 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태학사, 2003

      4 정경일,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박이정, 박이정, 2000

      5 고영근, 남기심, "(개정판)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10

      6 김의수, "「문장의 구조와 해석문법」",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67, 5-35, 2008

      7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월인, 2012

      8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 체제 개선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9 한상미, 박보경, 홍윤혜, 정혜진, 전나영, 윤은미, 양수향, 배문경, 김수진, "한국어 말 하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 의 한국어교육, 32, 259-338, 2007

      10 원진숙, "의사 소통 능력 계발을 위한 교수 요목 설계", 한글학회, 교육 한글, 5, 135-156, 1992

      1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어 능력 평가", 국학자료원, 한국어학, 6, 153-173, 1997

      2 이관규, "(개정판)학교문법론", 월인, 2002

      3 이익섭, "국어 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태학사, 2003

      4 정경일,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박이정, 박이정, 2000

      5 고영근, 남기심, "(개정판)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10

      6 김의수, "「문장의 구조와 해석문법」",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67, 5-35, 2008

      7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월인, 2012

      8 김정숙, "한국어능력시험 체제 개선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9 한상미, 박보경, 홍윤혜, 정혜진, 전나영, 윤은미, 양수향, 배문경, 김수진, "한국어 말 하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 의 한국어교육, 32, 259-338, 2007

      10 원진숙, "의사 소통 능력 계발을 위한 교수 요목 설계", 한글학회, 교육 한글, 5, 135-156, 1992

      11 지현숙, "한국어 구어문법능력의 과제 기반 평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2 김정숙, "한국어 말하기 능력 구인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25(4), 1-21, 2014

      13 원진숙, 김정숙,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10, 24-33, 1993

      14 남주연, 김영주, 이선진, 이선희, "한국어 숙달도와 산출 능력 간의 상관관 계 연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64, 209-244, 2013

      15 백준오(Baik, Juno), 김영주(Kim, Youngjoo), "L2 한국어 학습자의 종속절 산출과 통사적 복합도",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 인지, 22(2), 53-74, 2015

      16 남주연, 김영주,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산출에 나타난 통사 복잡성 발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26(1), 59-87, 2015

      17 김의수, 손현화,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구어 문장이 지닌 통사적 복 잡성과 그 한계",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50, 111-140, 2011

      18 서세정, 박지순, "쓰기 텍스트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숙달도 측정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5(2), 151-173, 2009

      19 한상미,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대학 입학 전 과정 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0(1), 207-238, 2009

      20 남주연,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복잡성 연구: 통사 및 어휘 복잡성 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1 김정숙,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 및 평가 모형 개발 최종 보고서", 국립국어원, 2006

      22 최정순, "한국어교육 방법론의 재검토: 의사소통적 한국어 구어 능 력 개발을 위한 제언", 국어교육 연구, 18권, 91-121, 2006

      23 이선명,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능력 발달 연구: 요청 화행 실현 전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4 이복자,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와 말하기에 나타난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의 역동적 발달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5 이정란,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 표현과 습득에 나타난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발달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6 ( Young Geun Lee ), "한국어 학습자 중간언어 발화의 정확성과 복잡성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도구에 관한 소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5차 국 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71-175, 2005

      27 김의수, 김지혜, "중국어권 학문 목적 학습자 구어 문장의 통사적 특징과 한계 -한국인 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36, 243-291, 2010

      28 썬쑤완나씨 사야몬, "학습 환경이 태국인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구 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유창성과 발음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6

      29 서세정, "통사적 숙달도 진단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발 달 연구: 학습자 작문 텍스트의 분석을 바탕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9

      30 이석란, "베트남 이주노동자 가정 자녀와 한국 가정 아동의 이야기 만들기에 나타난 통 사적 숙달도 비교 연구-9세 아동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23(2), 215-245,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