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긍정적 경험에 대한 사후가정사고가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unterfactual Thinking about Positive Experiences on Meaning in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51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effect of counterfactual thinking about positive experiences on meaning in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349 college students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counterfactual thin...

      This study examined effect of counterfactual thinking about positive experiences on meaning in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349 college students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counterfactual thinking whereas the comparing group performed factual thinking after reflecting on positive experiences. The control group reported their opinions on an event with neutral valence. To examine effect of these distinct interventions, the three groups responded to presence of mea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presented significantly greater presence of meaning in life and positive affect than the factual thinking and control groups. Additionally, the counterfactual thinking group presented significantly greater satisfaction in life than the control group.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긍정적 경험에 대한 사후가정사고가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49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을 하여 동질성 검정 이후 집단별 ...

      본 연구는 긍정적 경험에 대한 사후가정사고가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49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을 하여 동질성 검정 이후 집단별 처치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긍정적 경험을 회상한 후 사후가정사고 처치를 하였고, 비교집단은 긍정적 경험을 회상한 후 사실적 사고 처치를 하였다. 통제집단은 중립적 경험에 대하여 의견을 기술하는 처치를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삶의 의미 척도와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전 설문 후 집단 동질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별 처치 후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경험에 대하여 사후가정사고 처치를 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삶의 의미 발견과 긍정 정서를 나타냈다. 둘째, 긍정적 경험에 대하여 사후가정사고 처치를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삶의 만족을 나타내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935-946, 2003

      2 원두리,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211-225, 2005

      3 김경희, "의미추구와 긍정정서가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2 (32): 107-124, 2013

      4 심미성,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서 삶의 의미의 역할" 가톨릭대학교 2006

      5 류연지, "성격 및 욕구수준이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1996

      6 허태균, "사후가정사고의 심리적 기능과 응용적 가치"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8 (8): 171-190, 2002

      7 오은아, "사후가정사고와 사고통제방략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6 (16): 577-593, 2011

      8 김경미, "보육교사 교육생의 감사편지 쓰기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807-825, 2012

      9 한소영,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439-464, 2009

      10 李宥姃, "性格特質이 氣分의 수준 및 변화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1995

      1 이현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935-946, 2003

      2 원두리,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211-225, 2005

      3 김경희, "의미추구와 긍정정서가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2 (32): 107-124, 2013

      4 심미성,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서 삶의 의미의 역할" 가톨릭대학교 2006

      5 류연지, "성격 및 욕구수준이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1996

      6 허태균, "사후가정사고의 심리적 기능과 응용적 가치"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8 (8): 171-190, 2002

      7 오은아, "사후가정사고와 사고통제방략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6 (16): 577-593, 2011

      8 김경미, "보육교사 교육생의 감사편지 쓰기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807-825, 2012

      9 한소영,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439-464, 2009

      10 李宥姃, "性格特質이 氣分의 수준 및 변화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1995

      11 King, L. A., "What makes a life good?" 75 : 156-165, 1998

      12 Rozin, P.,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Russell Sage Foundation 109-133, 1999

      13 Kray, L. J., "Thinking inside the box : The relational processing style elicited by counterfactual mind-sets" 95 : 1217-1224, 2006

      14 Bradburn, N. M.,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ldine 1969

      15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 71-75, 1985

      16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56 : 218-226, 2001

      17 Mascaro, N., "The role of existential meaning as a buffer against stress" 46 : 168-190, 2006

      18 Gleicher, F., "The role of counterfactual thinking in judgments of affect" 16 : 284-295, 1990

      19 Markman, K. D., "The mental simulation of better and worse possible worlds" 29 : 87-109, 1993

      20 Diener, E.,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69 : 851-864, 1984

      21 Burton, C. M., "The health benefits of writing about intensely positive experiences" 38 : 150-163, 2004

      22 Epstude, K., "The functional theory of counterfactual thinking" 12 : 168-192, 2008

      23 Battista, J., "The development of meaning in life" 36 : 409-427, 1973

      24 Steger, M. 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25 King, L. A., "The detection and construction of meaning in life events" 4 : 317-330, 2009

      26 Lyubomirsky, S., "The costs and benefits of writing, talking, and thinking about life’s triumphs and defeats" 90 : 692-708, 2006

      27 Routledge, C., "The Past Makes the Present Meaningful : Nostalgia as Existential Resource" 101 : 638-652, 2011

      28 Steger, M. 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53 (53): 80-93, 2006

      29 Janoff-Bulman, R., "Shattered assumptions:Towa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The Free Press 1992

      30 Currier, J., "Sense-making, grief, and the experience of violent loss : Toward a mediational model" 30 : 403-428, 2006

      31 Zika, S., "Relation of hassles and personality to subjective well-being" 53 : 155-162, 1987

      32 Kashdan, T. B., "Reconsidering happiness : The costs of distinguishing between hedonics and eudaimonia" 3 : 219-233, 2008

      33 Seligman, M. E. P.,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60 (60): 410-421, 2005

      34 King, L. A., "Positive affect and the experience of meaning in life" 90 : 179-196, 2006

      35 Steger, M. F.,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679-687, 2009

      36 Debats, D. L., "On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ife Regard Index(LRI) : a measure of meaningful life" 14 : 337-345, 1993

      37 Warr, P., "On the independence of negative and positive affect" 44 : 644-651, 1983

      38 Wong, P. T. P., "Meaning therapy : an integrative and positive existential psychotherapy" 40 : 85-93, 2010

      39 Heine, S. J., "Meaning maintenance model : On the coherence of human motivations" 10 : 88-110, 2006

      40 Frankl, V. E., "Man’s search for meaning" First Washington Square Press 1984

      41 Park, C. L., "Making Sense of the meaning literature : An integrative review of meaning making and its effects on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136 : 257-301, 2010

      42 Teigen, K. H., "Luck, envy, and gratitude : It could have been different" 38 : 235-248, 1997

      43 Einhorn, H. J., "Judging probable cause" 99 : 3-19, 1986

      44 Koo, M., "It's a wonderful life : Mentally subtracting positive events improves people's affective states, contrary to their forecasts" 95 : 1217-1224, 2008

      45 Markman, K. D., "Implications of counterfactual structure for creative generation and analytical problem solving" 33 : 312-324, 2007

      46 Shrira, A., "How subjective well-being and meaning in life interact in the hostile world?" 6 : 273-285, 2011

      47 Baumeister, R. F.,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608-618, 2002

      48 Kray, L. J., "From What might have been to what must have been : Counterfactual thinking creates meaning" 98 : 106-118, 2010

      49 Hasher, L., "Frequency and the conference of referential validity" 16 : 107-112, 1977

      50 Debats, D. L., "Experiences of meaning in life : A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86 : 359-374, 1995

      51 Giannopoulos, V. L., "Effects of positive interventions and orientations to happiness on subjective well-being" 6 (6): 95-105, 2011

      52 Watson,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 The PANAS Scales" 54 : 1063-1070, 1988

      53 Arkes, H. R., "Determinants of judged validity" 27 : 576-605, 1991

      54 Summerville, A., "Dare to compare : Fact-based versus simulation-based comparison in daily life" 44 : 664-671, 2008

      55 Emmons, R. A.,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 Experimental studies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84 : 377-389, 2003

      56 Heintzelman, S. J., "Counterfactual thinking about one's birth enhances well-being judgements" 8 (8): 44-49, 2013

      57 Kray, L. J., "Counterfactual structure and learning from experience in negotiations" 45 : 979-982, 2009

      58 Wilson, W., "Correlates of avowed happiness" 67 : 294-306, 1967

      59 Draucker, C. B., "Cognitive adaptation of female incest survivors" 57 : 668-670, 1989

      60 Roses, N. J., "Affective determinants of counterfactual thinking" 15 : 274-290, 1997

      61 McMullen, M. N., "Affective contrast and assimilation in counterfactual thinking" 33 : 77-100, 1997

      62 Anderson, M. R.,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elf-concept, locus of control, satisfaction with primary relationships, and work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1977)" 38 : 2638 9A-, 1977

      63 Markman, K. D., "A reflection and evaluation model of comparative thinking" 7 : 244-267,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2 2.3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58 3.68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