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현화, "한국어학습을 위한 프레지올러지 유형에 대한 연구(1)" 이중언어학회 (24) : 49-66, 2004
2 유승만, "한국어-러시아어 연어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노어노문학회 17 (17): 17-42, 2005
3 김원경(Kim,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방안" 29 : 211-231, 2010
4 신자영,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회 (28) : 185-203, 2005
5 조현용, "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423-458, 2007
6 전혜영,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181-199, 2001
7 조경태, "한 독 속담 비교연구 - 장르의 개념과 비교 자료의 등가성에 관하여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3 (33): 409-431, 2005
8 김동국,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교육 방안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20 (20): 19-34, 2013
9 황미연,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관용표현 대조연구" 10 (10): 171-192, 2006
10 박현정,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43 : 97-124, 2006
1 강현화, "한국어학습을 위한 프레지올러지 유형에 대한 연구(1)" 이중언어학회 (24) : 49-66, 2004
2 유승만, "한국어-러시아어 연어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노어노문학회 17 (17): 17-42, 2005
3 김원경(Kim,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방안" 29 : 211-231, 2010
4 신자영, "한국어 연어의 다국어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회 (28) : 185-203, 2005
5 조현용, "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423-458, 2007
6 전혜영,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181-199, 2001
7 조경태, "한 독 속담 비교연구 - 장르의 개념과 비교 자료의 등가성에 관하여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3 (33): 409-431, 2005
8 김동국,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교육 방안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20 (20): 19-34, 2013
9 황미연,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관용표현 대조연구" 10 (10): 171-192, 2006
10 박현정,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43 : 97-124, 2006
11 배규범,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의 실상과 방향 - 목록 선정과 단계별 배치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77-104, 2010
12 구명철, "자유결합, 연어 그리고 관용어"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7 (37): 117-142, 2006
13 김선효,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적 연어 학습 방안" 이중언어학회 (44) : 25-47, 2010
14 서상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신원프라임 2006
15 문금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 15 : 207-233, 1998
16 김진해, "연어(collocation)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4 : 239-279, 1999
17 박영준, "관용어 사전" 태학사 1995
18 В. В. Виноградов, "Русский Язык(Грамматическое учение слов) издание третье" Высшая Школа, стр. 27-33,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