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인구 구조와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소비 스타일이 대두하면서 상품만 구매하는 시대에서 가치를 함께 구입하는 시대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에서 차별화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05056
서울 :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실내환경디자인 , 2015. 2
2015
한국어
국내 프리미엄 슈퍼마켓 ; 고품질 식품관 ; 프로그램 ; 실내공간 특성
서울
82 ; 26 cm
지도교수: 김문덕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는 인구 구조와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소비 스타일이 대두하면서 상품만 구매하는 시대에서 가치를 함께 구입하는 시대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에서 차별화된 ...
현대사회는 인구 구조와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소비 스타일이 대두하면서 상품만 구매하는 시대에서 가치를 함께 구입하는 시대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에서 차별화된 프로그램에 의한 실내공간을 갖춘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출현을 촉진시켜 소비자에게 특별한 체험과 함께 안전하면서 희소성 있는 제품을 판매하는 공간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램에 의해 차별화된 국내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실내공간 특성을 분석, 파악하는 데에 있다.
프리미엄 슈퍼마켓은 상품, 기능, 디자인이라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지니고 있기에 해외사례를 통해 확인한 프로그램 요소를 바탕으로 기능 복합성, 상징성, 접근성, 체험성, 차별성의 실내공간 특성을 도출, 분석틀로 삼아 2009년도 이후의 국내 프리미엄 슈퍼마켓 사례를 5곳을 대상으로 분석, 종합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의한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실내공간 특성인 기능 복합성은 프로그램의 복합화에 따른 특성으로 휴식을 위한 공간과 세미나, 이벤트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다양한 식음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식음 공간을 통해 기능 복합성을 표현하고 있었다.
상징성은 브랜드의 이미지를 스토리화하여 공간 구성, 마감재, 색상 등의 공간 전체 분위기를 표현하는 것으로 콘셉트에 맞는 이미지나 마감재를 통해 실내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거나 브랜드의 로고나 패키지 디자인, 유니폼과 쇼핑백 등 통일된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접근성은 출입과 동선, 다양한 기능, 서비스, 이벤트 등에 의한 즐거움과 편리함으로 소비자의 접근을 유도하여 표현하였다.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체험성은 공간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더해 요리 강연 및 푸드 쇼 등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얻어 구매로 이어지는 체험의 특성이 나타난다.
이외에도, 차별성은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적인 우위점을 만들기 위해 프로그램 요소가 특화되어 나타난다. 또한 새로운 프로그램 요소를 도입, 실내공간에 적용하여 단독 건물로 차별화를 나타내거나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의 개념을 공간화하고, 매장의 특화된 공간 구성이나 동선으로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차별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에 의한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실내공간 특성은 기능 복합성, 상징성, 접근성, 체험성, 차별성 등이 연관되어 나타나는 곳으로 프리미엄 슈퍼마켓 실내디자인에 적용,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various consumption styles rai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and contribution environment, the modern society is altered from the era which customers purchased only the product, to the era which customers purchases the product a...
As various consumption styles rai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and contribution environment, the modern society is altered from the era which customers purchased only the product, to the era which customers purchases the product along with its value. These change promoted an emerge of premium supermarket that has interior space based on differentiated program domestically. and it attracted public attention as a space where gives special experience to the customers and also a space where sells both scarcity and safe products. Accordingly,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both analyze and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ed domestic premium supermarket's interior space based on program.
As the premium supermarket has differentiated programs, such as product, function, and design. It drew a characteristic of function complexity, symbolism, accessibility, experienceability and differentiated interior space based on program element that is verified through foreign cases. Also made analysis frame by program element, then we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cases of 5 domestic premium supermarkets that are opened after 2009.
As a result, the function complexity,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of premium supermarket's interior space based on program. The function complexity provides a space for resting, seminar, and events according to the composite characteristic. And expresses the function complexity through food and drink space where people can learn about various cultures of food and drink.
The symbolism constitutes the space by storytelling the image of the brand. By expressing the mood of whole space with finishing material, color, and etc. It expressed the interior mood symbolically through image or finishing material that fits to the concept or expressed by unified designs in brand logo or package designs, uniforms and shopping bag, and etc.
Accessibility is expressed by inducing the access of customer through pleasure and convenience due to enter and moving line, various functions, services, events and etc.
The experienceability of premium supermarket 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experience, which lead customers to purchase products by get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programs, such as cooking lecture and food show and etc.
Above this, the differentiation is presented by specializing the program element to create differentiated superiority among other brands. In addition, introduced new program element, and by applying to interior space, it presents differentiation by constructing isolate building or spaces the concept of fashion and lifestyle. With store's composition of specialized space or moving line, the premium supermarket shows the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above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premium supermarket's interior space based on program can be applied to the place where associated with function complexity, symbolism, accessibility, experienceability, and differentiation, such as premium supermarket's interior space. And we hope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applicable sourc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