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암환자 대상 온라인 예술치유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암병원의 온라인 연극예술치유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751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cancer patients at
      Kyung Hee University Humantas Cancer Hospital since September
      2020,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times brought by the COVID-19
      Pandemics. Based on these research purposes, the research
      methodology derived the effectiveness of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on relevant
      materials, program observation surveys, surveys, in-depth interviews
      of artists and participating cancer patients.
      To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art and
      health, the effectiveness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 heali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viewed the case studies of online
      and offline cultural arts healing and ar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to derive current status and issues. Based on
      these studies,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art healing program was
      examined through the example of the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 which describes and reads one’s writings and combines them
      with literary works. In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evaluation of art
      healing was based on social impact evaluation, where outcome
      measurement is important, and a mixed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as adopted. As a result
      of applying evaluation indicators on the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 for cancer patients,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in
      positive self-enhancing, recovery, and community building, which was
      also verified i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On the other
      hand, the online service experience was the lowest among the
      categories of experience at the social level, indicating the problem of
      reverse discrimination due to differences in the presence and capacity
      of those who experience digital alienation due to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to non-face services.
      Demand for non-face-to-face services and digital platforms due to the
      situation characteristic of the COVID-19 Pandemic is expected to
      remain high even after the end of the COVID-19, and the technology
      and strategy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are required.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online art healing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I think continuous research will be needed for the scalability
      of online culture and arts healing programs by participant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cancer patients at Kyung Hee University Humantas Cancer Hospital since September 2020,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times brough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cancer patients at
      Kyung Hee University Humantas Cancer Hospital since September
      2020,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times brought by the COVID-19
      Pandemics. Based on these research purposes, the research
      methodology derived the effectiveness of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on relevant
      materials, program observation surveys, surveys, in-depth interviews
      of artists and participating cancer patients.
      To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art and
      health, the effectiveness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 heali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viewed the case studies of online
      and offline cultural arts healing and ar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to derive current status and issues. Based on
      these studies,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art healing program was
      examined through the example of the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 which describes and reads one’s writings and combines them
      with literary works. In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evaluation of art
      healing was based on social impact evaluation, where outcome
      measurement is important, and a mixed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as adopted. As a result
      of applying evaluation indicators on the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 for cancer patients,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in
      positive self-enhancing, recovery, and community building, which was
      also verified i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On the other
      hand, the online service experience was the lowest among the
      categories of experience at the social level, indicating the problem of
      reverse discrimination due to differences in the presence and capacity
      of those who experience digital alienation due to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to non-face services.
      Demand for non-face-to-face services and digital platforms due to the
      situation characteristic of the COVID-19 Pandemic is expected to
      remain high even after the end of the COVID-19, and the technology
      and strategy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are required.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online art healing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I think continuous research will be needed for the scalability
      of online culture and arts healing programs by participant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져온 시대적 변화에 따라 2020년 9월부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암병원 암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는 데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기반으로 수립된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자료에 대한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 프로그램 관찰조사, 설문조사, 예술가 및 참여 암환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한 예술과 건강의 상관성, 예술치유의 효과성과 이론적 배경에 대해 조사하였고, 선행연구 및 국내·외 진행 된 온·오프라인 문화예술치유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를 검토하여 현황과 쟁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들 연구를 기반으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평가체계를 자신의 글을 기술하고 이를 낭독하고 문학작품과 접목시키는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론에 있어 예술치유에 대한 평가는 성과(Outcome) 측정이 중요시 되는 사회적 영향평가에 기준을 두고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병행하는 혼합 연구방법을 채택했다. 암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지표를 적용한 결과 긍정적 자아강화(Empowerment)와 회복(Recovery), 공동체 인식형성(Community Building)에서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관찰조사 및 심층 인터뷰 조사에서도 평가지표의 검증이 확인되었다. 반면, 사회적 차원의 범주에 속한 체험의 평가 항목 중 온라인 서비스경험의 경우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대면 서비스에서 비대면 서비스로의 전환에 따른 디지털 소외를 겪는 계층의 존재와 활용 역량 차이에 따른 역차별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상황적 특성에 따른 비대면 서비스와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수요는 코로나 종식 후에도 높은 수준으로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기술과 전략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가 암환자 대상 온라인 예술치유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향후 참여자별 온라인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확장성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져온 시대적 변화에 따라 2020년 9월부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암병원 암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는 ...

      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져온 시대적 변화에 따라 2020년 9월부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암병원 암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는 데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기반으로 수립된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자료에 대한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 프로그램 관찰조사, 설문조사, 예술가 및 참여 암환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한 예술과 건강의 상관성, 예술치유의 효과성과 이론적 배경에 대해 조사하였고, 선행연구 및 국내·외 진행 된 온·오프라인 문화예술치유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를 검토하여 현황과 쟁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들 연구를 기반으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평가체계를 자신의 글을 기술하고 이를 낭독하고 문학작품과 접목시키는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론에 있어 예술치유에 대한 평가는 성과(Outcome) 측정이 중요시 되는 사회적 영향평가에 기준을 두고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병행하는 혼합 연구방법을 채택했다. 암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지표를 적용한 결과 긍정적 자아강화(Empowerment)와 회복(Recovery), 공동체 인식형성(Community Building)에서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관찰조사 및 심층 인터뷰 조사에서도 평가지표의 검증이 확인되었다. 반면, 사회적 차원의 범주에 속한 체험의 평가 항목 중 온라인 서비스경험의 경우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대면 서비스에서 비대면 서비스로의 전환에 따른 디지털 소외를 겪는 계층의 존재와 활용 역량 차이에 따른 역차별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상황적 특성에 따른 비대면 서비스와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수요는 코로나 종식 후에도 높은 수준으로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기술과 전략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가 암환자 대상 온라인 예술치유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향후 참여자별 온라인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확장성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2
      • Ⅱ. 이론적 배경 4
      • 1. 예술과 건강의 상관성 및 이론적 흐름 4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2
      • Ⅱ. 이론적 배경 4
      • 1. 예술과 건강의 상관성 및 이론적 흐름 4
      • 1) 예술과 건강의 상관성 4
      • 2) 예술치료의 배경과 흐름 5
      • 2. 예술치유의 개념과 효과 연구의 구도 6
      • 1) 예술치유의 개념 6
      • 2) 예술의 교육적 효과와 치유적 효과 7
      • 3) 예술치료와의 변별점 11
      • 3. 선행연구 고찰 14
      • Ⅲ. 국내외 온・오프라인 예술치유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16
      • 1. 경희 후마니타스암병원 프로그램 16
      • 1) 암환자 대상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특성 16
      • 2) 암환자 효과에 대한 조사 현황 18
      • 3)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현재 20
      • 2. 서울예술치유허브 22
      • 1) 기관 개요 및 예술치유 프로그램 현황 22
      • 2) 암 환자 예술치유 프로그램 사례 24
      • 3. 국내외 온라인 예술교육 사례 26
      • 1) 에릭 휘태커의 가상합창단 26
      • 2) 유네스코 2020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 29
      • 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교육 33
      • 4. 온・오프라인 프로그램 효과와 특성 36
      • 1) 공간적 차이에 따른 비교 36
      • 2) 프로그램 참여자의 대응에 따른 비교 37
      • 5. 사례분석을 통한 쟁점 38
      • Ⅳ. 암환자 대상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 효과연구 40
      • 1.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암병원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 개요 40
      • 2. 연구방법론 43
      • 1) 이론적 배경 및 지표 개발 43
      • 2) 조사 단계별 방법 46
      • 3. 결과 및 해석 50
      • 1) 관찰조사 결과 50
      • 2) 설문조사 결과 55
      • 3) 심층인터뷰 결과 58
      • 4) 종합 60
      • Ⅴ. 결론 61
      • 1. 결론 및 제언 61
      • 참고문헌 64
      • ABSTRACT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