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당 이재복의 선사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937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는 대전-충남지역의 대표적인 교육자이자 시인으로 알려진 금당 이재복(1918~1991)의 선사상을 밝힌 글이다. 이재복은 일제강점기 석전 박한영의 영향 아래 불교 근대화의 길을 찾기 위해...

      본 고는 대전-충남지역의 대표적인 교육자이자 시인으로 알려진 금당 이재복(1918~1991)의 선사상을 밝힌 글이다. 이재복은 일제강점기 석전 박한영의 영향 아래 불교 근대화의 길을 찾기 위해 애국 애족의 마음을 가지고 교학과 역경 및 문예 분야에 큰 노력을 기울였다. 해방 이후 한국 불교태고종의 창종에 큰 역할을 하였던 이재복은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 로 교육자와 시인 그리고 불교 대중화에 크나큰 족적을 남겼다. 근현대 고승으로서 이재복의 위상이 확고하지 않은 현실에서 이재복의 선사상에 대한 연구는 미개척 분야이다. 이재복의 선사상을 밝히기 위하여 그의 생애 및 용봉 대종사 이재복 선생 전집 그리고 금당의 시집을 분 석하였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이재복의 삶과 사상 속에 드러난 선사 상의 내용과 특징을 규명하였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분단과 혼란의 시기를 살다 간 이재복의 삶은 승 속(僧俗)을 초탈한 보살승이자, 선교(禪敎)를 아우르면서도 선사(禪師)의 모습에 얽매이지 않은 선사였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재복의 선사상 을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는 근현대 한국불교의 질곡 속에서 타자화되고 우리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져가는 고승들의 삶을 복원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veals Seon thought of Geumdang Lee Jae-bok (1918~1991), known as a representative educator and poet in the Daejeon-Chungnam area. Under the influence of Seokjeon Park Han-young in Japanese colonial era, Lee Jae-bok made great efforts in...

      This article reveals Seon thought of Geumdang Lee Jae-bok (1918~1991), known as a representative educator and poet in the Daejeon-Chungnam area. Under the influence of Seokjeon Park Han-young in Japanese colonial era, Lee Jae-bok made great efforts in the fields of Buddhist studies, Buddhist scripture translation, and literature with the heart of patriotic love to find the way to modernize Buddhism. Lee Jae-bok,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unding of the Taego order of Korean Buddhism after liberation, left a great mark on educators, poets, and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 the Daejeon-Chungnam area. In the reality that Lee Jae-bok’s status as a modern high monk is not firm, research on Lee Jae-bok’s Seon thought is an unexplored field. In order to reveal Lee Jae-bok’s Seon thought, the writer analyzed his life, The Great Master Yongbong, Lee Jae-bok’s collection, and the poetry of Geumdang, and then identifie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eon thought revealed in Lee Jae-bok’s life and thoughts through this work. It can be said that Lee Jae-bok, who lived in a period of division and chaos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liberation, was a Bodhisattva who transcend the sangha and the vulgar and a Seon master who was not bound by the appearance of a Seon master while encompassing Seon school and doctrinal school. Therefore, attempts to identify Lee Jae-bok’s Seon thought can be said to be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lives of the ancient monks who are otherized in the fetter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disappearing from our memo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서언
      • Ⅱ. 용봉의 삶과 선(禪)
      • Ⅲ. 용봉대종사 전집에 나타난 용봉의 선사상
      • Ⅳ. 시를 통해 바라본 용봉의 선사상
      • 한글요약
      • Ⅰ. 서언
      • Ⅱ. 용봉의 삶과 선(禪)
      • Ⅲ. 용봉대종사 전집에 나타난 용봉의 선사상
      • Ⅳ. 시를 통해 바라본 용봉의 선사상
      • Ⅴ. 결어 : 용봉 선사상의 특징과 의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