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불교 근대화 관점에서 본 금당 이재복의 불교대중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93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는 만해와 석전의 한국불교 근대화와 대중화의 시도가 그 후대를 통 해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만해와 석전의 뜻을 충실하게 계승하...

      본 고는 만해와 석전의 한국불교 근대화와 대중화의 시도가 그 후대를 통 해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만해와 석전의 뜻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 현실 속에서 구현해 가고자 했던 금당 이재복 대종사의 불교 근대화 혹은 대중화의 의미에 대해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근대 이후 한국불교의 근대화와 대중화 양상에 대 해 그 일단의 흐름을 이해해 보고자 했다. 근대 ‘종교’ 개념의 형성은 한국과 일본의 불교계에 ‘종교로서의 불교’라는 과제를 안겼고, 이는 불교의 근대화와 연동되었다. 따라서 불교계 인사들은 과거의 불교와 차별화되는 근대적 종교로서의 불교를 지향해야 했고, 그 방 향은 출가에서 재가로, 의례에서 교학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정하고 교학의 학습을 통한 개개인의 깨달음을 추구했다. 이러한 가운데 불교의 대중화는 시대적 과제가 되었고, 불교계 지도자들은 재가신자들을 깨달음으로 이끌기 위한 교학적 체계를 수립 하는데 노력하게 된다. 한국불교에서 이러한 노력은 만해 한용운이나 석전 박한영 등을 통해 잘 드러나는데, 특히 이들은 조선불교계의 상황에 맞는 불교의 혁신을 주장했 다. 본 고에서는 해방 이후 이들의 정신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 불교대중화 또는 재가를 중심으로 하는 근대불교의 방향을 충실하게 모색한 것이 바로 금당 이재복이었으며, 그는 만해의 불교 ‘대중화’를 위한 방법과 석전의 ‘불 교 혁신’의 근대화 정신을 충실히 계승하면서 한국불교계, 특히 재가들의 삶 에 불교를 깊이 천착해 가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대장경 강해와 불교 포교의 길을 개척했다는 것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how Manhae(萬海) and Seokjeon(石顚)’s attempt to modernize and popularize Korean Buddhism has been being passed down by their subsequent genera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places the emphasis...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how Manhae(萬海) and Seokjeon(石顚)’s attempt to modernize and popularize Korean Buddhism has been being passed down by their subsequent genera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places the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Great Master Geumdang Lee Jae-bok’s modernization or popularization of Buddhism, who pursued the success of Manhae and Seokjeon’s will whilst attempting to implement it in reality. Through such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 aspect of the modern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Buddhism after modern times. The creation of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presented a task of ‘Buddhism as religion’ to the Korean and Japanese Buddhist community, which was eventually linked to 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Thus, Buddhist figures were pressured into the pursuit Buddhism as a modern religion, and from Renunciant Practitioners to Lay Practitioners, Funeral retes to Buddhist Thoughts, the direction was set; the enlightenment of each individual was pursued through the learning of Buddhist Thoughts.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became a generational task, and the leaders of Buddhism strived to establish a Buddhist Thoughts system to lead Lay Practitioners to enlightenment. Such efforts in Korean Buddhism are well represented through the modern Manhae Han Yong-un or Seokjeon Park Han-young; in particular, they insisted on the innovation of Buddhism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Joseon Buddhism. This paper states that Geumdang Lee Jae-bok was the one to seek directions of modern Buddhism centered on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whilst strictly inheriting their spirit post liberation, and that he inherited Manhae’s ways of Buddhist popularization and Seokjeon’s modernization spirit of Buddhist innovation, and especially focused on studying Buddhism in the lives of the Lay Practitioners when he pioneered the path of Buddhist missionary work and Tripitaka’s Exposi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근대 ‘종교’ 개념과 ‘근대불교’의 형성
      • Ⅲ. 근대 한국불교의 정체성과 방향
      • Ⅳ. 금당 이재복의 ‘대중불교’ 지향
      • 한글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근대 ‘종교’ 개념과 ‘근대불교’의 형성
      • Ⅲ. 근대 한국불교의 정체성과 방향
      • Ⅳ. 금당 이재복의 ‘대중불교’ 지향
      • Ⅴ.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