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강가정 보호의 법적 계보 = Legal Genealogy of the Protection of Healthy Homes: Genealog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Concept of ‘Healthy Homes’ as in the Framework Act on Healthy Ho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36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erms of state’s legal protection, most common case of such rhetoric being used would be correlated with socio-economical injustice, which is rooted in the political-economic structure of society. Meanwhile second dimension of state’s legal protection rhetoric is correlated with cultural-symbolic injustice. My critical questioning was, what if such petition for minority rights ― both at socio-economic level and at cultural-symbolic level ―of seeking to solicit state’s recognition, is but to add up to the genealogy of how the state tames minority subjects as docile citizens? Wouldn’t it serve as handy tool for the state to decide what forms of identity may be legitimated, thereby drawing yet another line between the ‘adoptable’ and the ‘non-adoptable’s? In this aspect, the very notion of legal protection may be interpreted as the orientation of discrimination. This would constitute the third dimension of state’s legal protection, the aporia of protection as a cause of discrimination.
      Among various laws involved with family ideology of protection, I chose to go in depth with the concept of ‘heathy homes’ as detected in the clauses of the Framework Act on Healthy Homes, how it reproduces and proliferates protection discourse in law. State’s protective intervention, entwined with the residues of colonial adoption of the Western modern law during and post colonial periods as well as cultural traces of traditional familism, appears not only in family law that resides in Civil Code but also in various family-related acts that are classified elsewhere. The ideology of family would remain compellingly strong despite, or perhaps because of, the virtual changes in forms of ‘family’, with the belief that keeping it strongly-tight would contribute to solve social problems.
      Ultimately, what I tried to illustrate was that, arguing in favor of expanding the definition of ‘healthy home’ through legal amendment in order to recognize various non-heterosexual relationships and partnerships into the concept of ‘healthy homes’ will 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deconstruct connotations between heteronormativity, gender, family and the nation-state, for it also is vulnerable to paradoxical consequences of normalization and exclusive inclusion.
      번역하기

      In terms of state’s legal protection, most common case of such rhetoric being used would be correlated with socio-economical injustice, which is rooted in the political-economic structure of society. Meanwhile second dimension of state’s legal pro...

      In terms of state’s legal protection, most common case of such rhetoric being used would be correlated with socio-economical injustice, which is rooted in the political-economic structure of society. Meanwhile second dimension of state’s legal protection rhetoric is correlated with cultural-symbolic injustice. My critical questioning was, what if such petition for minority rights ― both at socio-economic level and at cultural-symbolic level ―of seeking to solicit state’s recognition, is but to add up to the genealogy of how the state tames minority subjects as docile citizens? Wouldn’t it serve as handy tool for the state to decide what forms of identity may be legitimated, thereby drawing yet another line between the ‘adoptable’ and the ‘non-adoptable’s? In this aspect, the very notion of legal protection may be interpreted as the orientation of discrimination. This would constitute the third dimension of state’s legal protection, the aporia of protection as a cause of discrimination.
      Among various laws involved with family ideology of protection, I chose to go in depth with the concept of ‘heathy homes’ as detected in the clauses of the Framework Act on Healthy Homes, how it reproduces and proliferates protection discourse in law. State’s protective intervention, entwined with the residues of colonial adoption of the Western modern law during and post colonial periods as well as cultural traces of traditional familism, appears not only in family law that resides in Civil Code but also in various family-related acts that are classified elsewhere. The ideology of family would remain compellingly strong despite, or perhaps because of, the virtual changes in forms of ‘family’, with the belief that keeping it strongly-tight would contribute to solve social problems.
      Ultimately, what I tried to illustrate was that, arguing in favor of expanding the definition of ‘healthy home’ through legal amendment in order to recognize various non-heterosexual relationships and partnerships into the concept of ‘healthy homes’ will 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deconstruct connotations between heteronormativity, gender, family and the nation-state, for it also is vulnerable to paradoxical consequences of normalization and exclusive inclu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두
      • Ⅱ. 담론분석이란 무엇인가: 방법론적 이해
      • Ⅲ. 건강가정기본법에서‘건강가정’의 개념
      • Ⅳ.‘건강가정’개념의 계보: 전통-근대성의 이항대립과 억압가설 해체
      • Ⅴ. 법에서의 건강가정‘보호’담론 비판: 진보가설 해체
      • Ⅰ. 서두
      • Ⅱ. 담론분석이란 무엇인가: 방법론적 이해
      • Ⅲ. 건강가정기본법에서‘건강가정’의 개념
      • Ⅳ.‘건강가정’개념의 계보: 전통-근대성의 이항대립과 억압가설 해체
      • Ⅴ. 법에서의 건강가정‘보호’담론 비판: 진보가설 해체
      • Ⅵ. 결어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국, "형사법의 성편향" 박영사 2003

      2 다나지키 아쓰코, "현대 한국 중산층 부부역할 형성과정에 관한 분석: 6,70년대 여성잡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3 김정오, "현대 사회사상과 법" 나남 2007

      4 김혜경, "핵가족’논의와 ‘식민지적 근대성’: 식민지시기 새로운 가족개념의 도입과 변형" 35 (35): 2001

      5 김두헌,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9

      6 박병호, "한국가부장권의 사적 고찰" 2 : 1986

      7 유안진, "한국 전통사회와 유아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8 이재경, "한국 가족은 '위기'인가?: '건강가정' 담론에 대한 비판" 한국여성학회 20 (20): 229-244, 2004

      9 김정오, "푸꼬의 권력이해와 법" 3 : 1990

      10 Lyotard, J-F, "포스트모던적 조건(La Condition Postmoderne)" 서광사 1992

      1 조국, "형사법의 성편향" 박영사 2003

      2 다나지키 아쓰코, "현대 한국 중산층 부부역할 형성과정에 관한 분석: 6,70년대 여성잡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3 김정오, "현대 사회사상과 법" 나남 2007

      4 김혜경, "핵가족’논의와 ‘식민지적 근대성’: 식민지시기 새로운 가족개념의 도입과 변형" 35 (35): 2001

      5 김두헌,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9

      6 박병호, "한국가부장권의 사적 고찰" 2 : 1986

      7 유안진, "한국 전통사회와 유아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8 이재경, "한국 가족은 '위기'인가?: '건강가정' 담론에 대한 비판" 한국여성학회 20 (20): 229-244, 2004

      9 김정오, "푸꼬의 권력이해와 법" 3 : 1990

      10 Lyotard, J-F, "포스트모던적 조건(La Condition Postmoderne)" 서광사 1992

      11 이성화, "포스트모더니즘과 미시정치학" 28 (28): 1994

      12 Foucault, M, "지식의 고고학(L'archeologie du savoir)" 민음사 1992

      13 홍양희, "조선총독부의 가족정책 연구 : '가'제도와 가정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4

      14 이만규, "조선교육사 II" 거름출판사 1991

      15 임옥희, "젠더의 조롱과 우울의 철학, 주디스 버틀러 읽기" 여이연 2006

      16 이철우, "일제하의 법과 사회, In 한국 근현대의 법사와 법사상" 민속원 2008

      17 문소정, "일제하 한국농민가족에 관한 연구 : 1920-1930년대 빈농층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18 김혜경, "일제하 자녀양육과 어린이기의 형성, In 근대주체와 식민지규율권력" 문화과학사 1997

      19 이철우, "일제시대 법제의 구조와 법질서의 성격, In 한국정치와헌정사" 한울 2001

      20 홍양희, "일제시기 조선의 여성교육-현모양처교육을 중심으로" 35 : 2001

      21 이상돈,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22 서동진, "인권, 시민권, 그리고 섹슈얼리티한국의 성적 소수자 운동과 정치학" 비판사회학회 (67) : 66-87, 2005

      23 조은주, "인구와 통치 : 한국의 가족계획 사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24 조현순, "의미화하는 물질, 그래서 중요한 육체" (22) : 2004

      25 Butler, J, "안티고네의 주장(Antigone's Claim)" 동문선 2005

      26 노승희, "아버지의 이름을 넘어서-- 『진지함의 중요성』과 '퀴어 페미니즘'"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9 (9): 1-24, 2001

      27 문지영, "아동의 탄생" 새물결출판사 2003

      28 조은,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가족 정치의 지형: 계급과 젠더의 경합" 한국여성학회 24 (24): 5-37, 2008

      29 김혜경, "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창비 2006

      30 김진균, "식민지체제와 근대적 규율, In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사 1997

      31 이승일, "식민지 호적제도의 성립과 법률상의 ‘가(家)’,” 한국사회사 학회 여름 “한국 가족의 사회사적 연구" 2000

      32 권명아, "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 책세상 2009

      33 양현아, "식민지 시기의 한국 가족법의 관습문제 I: 시간의식의 실종을 중심으로" 58 : 2000

      34 홍양희, "식민지 사법관료의 가족 ‘관습’ 인식과 젠더 질서 - 관습조사보고서 의 호주권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79) : 161-195, 2008

      35 홍양희, "식민지 사법관료의 가족 ‘관습’ 인식과 젠더 질서 - 관습조사보고서 의 호주권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79 (79): 161-195, 2008

      36 홍성수, "성희롱에 대한 법적 규제와 여성주체의 문제: 하버마스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 한국법철학회 12 (12): 195-218, 2009

      37 한인섭, "성적 소수자의 인권" 사람생각 2002

      38 양현아, "성적 소수자가 겪는 차별과 법의 처우, In 사회적 차별과 법의 지배" 박영사 2004

      39 Foucault, M, "성의 역사 1: 앎의 의지(Histoire de la Sexualité: la volonté de savoir)" 나남출판 2004

      40 이상돈, "성매매의 범죄화와 인권침해" (131) : 2004

      41 김미연, "서평-불순한 복종, 난잡한 복종―『안티고네의주장』조현순옮김" 한국여성문학학회 (13) : 393-404, 2005

      42 정채연, "법인류학의 방법론과 실천적 과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43 이철우, "법에 있어서 ‘근대’개념 ―얼마나 유용한가" 16.17 (16.17): 1999

      44 이소영, "법문학" 新英社 2005

      45 김혜경, "박정희 체제하 “핵가족” 담론의 변화과정과 이원구조 연구: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2) : 169-212, 2009

      46 이훈상, "미시사와 다성성의 글쓰기: 조선후기 향리집단과 이들을 둘러싼 시선들" 167 : 2000

      47 심세광, "미셸 푸코에 있어서 역사 · 진실 · 픽션" 한국불어불문학회 50 (50): 345-370, 2002

      48 Drefus, H, "미셸 푸코: 구조주의와 해석학을 넘어서(Michel Foucault: Un parcours philosophique)" 나남 1989

      49 Foucault, M, "말과 사물(Les mot et les choses)" 민음사 1997

      50 Badinter, E, "만들어진 모성(L'amour en plus)" 동녘 2009

      51 이소영, "동성애혼인에 대한 법적 개입의 딜레마와 가족이데올로기 해체"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52 Foucault, M, "담론의 질서(L'Ordre du discours)" 새길 1993

      53 민윤영, "니체의 법이론: 법에서의 모더니즘의 해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54 박규현, "니체와 해석의 문제" 푸른숲 1997

      55 고병권, "니체, 천개의 눈 천개의 길" 소명출판사 2002

      56 이진우, "니체, 실험적 사유와 극단의 사상" 책세상 2009

      57 신동룡, "근대형법이론의 담론분석: 시론적 접근 ― ‘신체중심 형법이론’과 ‘법률중심 형법이론’의 차이점 연구 ―" 한국법철학회 5 (5): 141-172, 2002

      58 정선태, "근대계몽기 민족 국민 서사의 정치적 시학" 인문과학연구소 50 (50): 147-172, 2006

      59 전미경, "근대계몽기 가족론과 국민 생산 프로젝트" 소명출판 2005

      60 이진경, "근대 계몽기 『대한매일신보』에서 근대적 역사 개념의 탄생" 한국사회사학회 72 (72): 107-140, 2007

      61 임옥희, "국가 페미니즘화와 개혁의 딜레마" (27) : 2003

      62 김혜경, "건강가정기본법’의 제․개정을 둘러싼 담론에 관한 연구" 16 : 2005

      63 이정옥, "가족의 사회적 의미와 가족주의, In 형성과 창조 2~3: 가정의 정신문화적 의미와 가족주의 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64 윤홍식, "가족의 변화와 건강가정기본법의 대응: 한국가족정책의 원칙과 방향 정립을 위한 고찰"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4) : 263-293, 2004

      65 조윤아, "가족계획 담론의 잡지 『가정의 벗』 연구 - 60, 70년대 수록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441-465, 2008

      66 홍양희, "植民地時期 親族, 相續 慣習法 政策: 朝鮮民事令 제11조 '慣習'의 植民地 政治性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285-313, 2006

      67 소현숙, "‘근대’에의 열망과 일상생활의 식민화: 일제시기 생활개선운동과 젠더정치를 중심으로, In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책과 함께 2006

      68 박태호, "‘가족계획사업’과 가족주의 담론 ―‘가족계획’담론의 생체정치학, In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함께 읽는 책 2003

      69 Donzelot, J, "The Policing of Families" Random House 1979

      70 Chakrabarty, D, "Postcoloniality and the Artifice of History: Who Speaks for 'Indian Past?, In The New Historian Reader" Routledge 1994

      71 신동룡, "Michel Foucault의 권력-지식론과 그 법이론적 함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72 Butler, J, "Merely Cultural" 52/53 (52/53): 1997

      73 Gavigan, S, "Law, Gender, Ideology, In Legal Theory Meets Legal Practice" Academic Printing and Publishing 1988

      74 Lee, C, "Law, Culture and Conflict in a Colonial Society: Rural Korea under Japanese Rule" LSE 1996

      75 Butler, J, "Is Kinship Always Already Heterosexual?, In Left Legalism/Left Critique" Duke University Press 2002

      76 Dean, M, "Governmentality ―Power and Rule in Modern Society" Sage Publications 1999

      77 Butler, J,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1999

      78 Boyd, S, "Family, Law and Sexuality: Feminist Engagement" 8 (8): 1990

      79 Cossman, B, "Families Inside/out" 44 : 1994

      80 Minson, J, "Familiar Terms, In Genealogy of Morals: Nietzsche, Foucault, Donzelot, and the Eccentricity of Ethics" St Martin's Press 1985

      81 Tadros, V, "Between Governance and Discipline, The Law and Michel Foucault" 18 (18): 1998

      82 이철우, "1920~30년대 전라남도 순천 지방의 사법 기구와 분쟁" 한국사회사학회 62 (62): 4-140,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Korean Law -> Korean Journal of Family Law KCI등재
      2005-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Korean Law -> Korean Journal of Family Law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7 0.758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