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19535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2010. 8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72.21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viii, 215 p. : 삽도,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홍혜경
        참고문헌 : p. 163-17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activities associated with daily life refers to a program that has preschoolers engage in measurement activities by utilizing various situations that they are likely to face in daily life.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in an effort to help preschoolers to learn and understand how to measure things in daily routine life. It's specifically meant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by focusing on length, volume, weight, area and time, and to examine its effect on the measurement abilitie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preschooler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Question 1] What should make up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1-1. What are the goal and objective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1-2. What is the content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1-3. What is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1-4. How should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be evaluated?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2-1.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have on the measurement abilities of preschoolers?
      2-2.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have on the mathematical process of preschoolers?
      2-3.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have on the mathematical attitude of preschoolers?
      The procedur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1, the state of measurement activities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checked, and teacher's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measurement activities and their needs were investigated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literature were analyzed to set up the goal and objective of the program, and what should make up the program was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by consulting with experts. After 37 kinds of activities were developed, the selected activities were modified, and then a program that consisted of 20 activities was finally developed.
      As for Research Question 2, how much the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was effective at boosting the measurement abilitie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preschoolers was analyz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 five-year-old children in Y daycare center in the city of Y, South Jeolla Province.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were organized with 23 preschoolers each,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uring an 11-week period from October 26, 2009, to January 8, 2010, twice a week.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typical measurement activitie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easurement segment of Hong HaeKyung, Lee Jeong-Wook, Jeong Jeong-Hee(2006)’s mathematical ability test and Kim So-hyang (2004)’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inventor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14.0 program,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arried out on each group’s pre- and post- average of children’s measurement abilitie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e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was to teach the preschoolers to learn and understand how to measure things in everyday life, and the objective of it was to improve their measurement abilitie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The program was composed of exploring the attributes of length, volume, weight, area and time, comparing their attributes, determining the order of things, measuring by using a nonstandardized tool and unit, measuring by using a standardized thing, and measuring by using a standardized tool and unit.
      Concern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there were four different stages that respectively dealt with problem awareness, sharing opinions on what they explored, problem solving through inquiry, reflection and evaluation: introduction, composition, development and wrapping-up. Teachers' roles were more focused on the distinctive ones such as a planner, questioner, facilitator, encourager, interaction mediator, task performance supervisor, verbal interaction facilitator and evaluator. And the kind of evaluation that could rate the measurement activities associated with daily life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centered, process-centered and affective educational objectives was prepared to review the process of instruction, to figure out the abilities of the preschoolers and to grasp what improvements should be don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urpassed the comparative group in overall measurement abilities and measurement of length, weight, area, volume and time,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measurement abilities. It showed that the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was effective at boosting the measurement abilities of the preschoolers and their measurement abilities of length, weight, area, volume and time,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measurement abilities. As to mathematical process,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excelled the comparative group in overall mathematical process and its subfactors involving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In terms of mathematical attitude,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ahead of the comparative group in overall mathematical attitude and its subfactors including mathematical curiosity, attention, openness, activeness and continuity.
      In conclusion, the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have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measurement abilitie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the preschoolers. The finding lends credibility to the applicability of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s associated with daily lif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번역하기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activities associated with daily life refers to a program that has preschoolers engage in measurement activities by utilizing various situations that they are likely to face in daily life.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activities associated with daily life refers to a program that has preschoolers engage in measurement activities by utilizing various situations that they are likely to face in daily life.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in an effort to help preschoolers to learn and understand how to measure things in daily routine life. It's specifically meant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by focusing on length, volume, weight, area and time, and to examine its effect on the measurement abilitie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preschooler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Question 1] What should make up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1-1. What are the goal and objective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1-2. What is the content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1-3. What is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1-4. How should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be evaluated?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2-1.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have on the measurement abilities of preschoolers?
      2-2.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have on the mathematical process of preschoolers?
      2-3. What effect does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have on the mathematical attitude of preschoolers?
      The procedur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1, the state of measurement activities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checked, and teacher's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measurement activities and their needs were investigated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literature were analyzed to set up the goal and objective of the program, and what should make up the program was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by consulting with experts. After 37 kinds of activities were developed, the selected activities were modified, and then a program that consisted of 20 activities was finally developed.
      As for Research Question 2, how much the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was effective at boosting the measurement abilitie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preschoolers was analyz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 five-year-old children in Y daycare center in the city of Y, South Jeolla Province.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were organized with 23 preschoolers each, 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uring an 11-week period from October 26, 2009, to January 8, 2010, twice a week.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typical measurement activitie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easurement segment of Hong HaeKyung, Lee Jeong-Wook, Jeong Jeong-Hee(2006)’s mathematical ability test and Kim So-hyang (2004)’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inventor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14.0 program,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arried out on each group’s pre- and post- average of children’s measurement abilitie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e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was to teach the preschoolers to learn and understand how to measure things in everyday life, and the objective of it was to improve their measurement abilitie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The program was composed of exploring the attributes of length, volume, weight, area and time, comparing their attributes, determining the order of things, measuring by using a nonstandardized tool and unit, measuring by using a standardized thing, and measuring by using a standardized tool and unit.
      Concern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there were four different stages that respectively dealt with problem awareness, sharing opinions on what they explored, problem solving through inquiry, reflection and evaluation: introduction, composition, development and wrapping-up. Teachers' roles were more focused on the distinctive ones such as a planner, questioner, facilitator, encourager, interaction mediator, task performance supervisor, verbal interaction facilitator and evaluator. And the kind of evaluation that could rate the measurement activities associated with daily life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centered, process-centered and affective educational objectives was prepared to review the process of instruction, to figure out the abilities of the preschoolers and to grasp what improvements should be don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urpassed the comparative group in overall measurement abilities and measurement of length, weight, area, volume and time,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measurement abilities. It showed that the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was effective at boosting the measurement abilities of the preschoolers and their measurement abilities of length, weight, area, volume and time,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measurement abilities. As to mathematical process,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excelled the comparative group in overall mathematical process and its subfactors involving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In terms of mathematical attitude,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ahead of the comparative group in overall mathematical attitude and its subfactors including mathematical curiosity, attention, openness, activeness and continuity.
      In conclusion, the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 associated with daily life,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have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measurement abilities, mathematical process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the preschoolers. The finding lends credibility to the applicability of early childhood measurement programs associated with daily lif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이란 유아가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상황을 활용하도록 측정활동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를 실제에 적용해 봄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측정의 활용을 이해하고 측정에 대한 소양을 키우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길이, 부피, 무게, 면적, 시간을 중심으로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유아의 측정 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2-1.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측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과정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측정활동 실시 실태와 유아 측정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국내•외 관련 연구 및 문헌들을 토대로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다. 문헌분석 및 전문가와의 협의를 기초로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의 내용을 구성하여 37개 활동을 개발하고, 내용적합성에 대한 검토 및 예비연구를 통한 수정․보완 과정을 거친 후 최종 20개의 측정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 에서는 개발된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측정 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남 Y시에 위치한 Y어린이집 만 5세 유아 46명(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3명)이며,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09년 10월 26일부터 2010년 1월 8일까지 11주 동안 주 2회 총 20회 활동으로 실험집단에서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측정활동을 전개하였다. 연구도구는 홍혜경 ․ 이정욱 ․ 정정희(2006)의 수학적 능력 검사 중 측정 능력 검사, 김소향(2004)이 개발한 수학적 과정 검사, 수학적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유아의 측정 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를 각 집단별 사전, 사후 평균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목적은 일상생활에서 측정의 활용을 이해하고 측정에 대한 소양을 키우는 것이며 목표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을 통해 측정 능력 및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태도를 증진하는 것이다.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내용은 길이, 부피, 무게, 면적, 시간의 속성을 탐색하기, 직접 비교하기, 순서짓기, 임의의 도구와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하기, 표준화된 구체물로 측정하기, 표준화된 도구와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하기로 구성하였다.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전개과정은 도입, 구성, 전개, 마무리의 단계로 문제인식, 탐색에 대한 의사교환, 탐구에 의한 문제해결, 반성 및 평가 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교사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의 계획자, 질문자, 촉진자, 격려자, 상호작용의 중재자, 과제 수행의 진행관리자, 언어적 상호작용 촉진자 및 평가자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의 내용적인 측면, 과정적인 측면, 정의적인 측면의 교육목표를 반영하여 평가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수업과정을 검토하고 반성하며, 유아의 능력을 이해하고 활동에 대한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아의 측정 능력은 전체 측정 능력과 측정 능력의 하위영역인 길이, 무게, 면적, 부피, 시간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측정 능력과 그 하위영역인 길이, 무게, 면적, 부피, 시간에 대한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수학적 과정은 전체 수학적인 과정과 하위영역인 문제해결하기, 추론하기, 의사소통하기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서도 전체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수학에 대한 호기심, 주의집중, 개방성, 적극성, 지속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측정 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유아교육기관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이란 유아가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상황을 활용하도록 측정활동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을...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이란 유아가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상황을 활용하도록 측정활동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를 실제에 적용해 봄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측정의 활용을 이해하고 측정에 대한 소양을 키우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길이, 부피, 무게, 면적, 시간을 중심으로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유아의 측정 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2-1.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측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과정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측정활동 실시 실태와 유아 측정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국내•외 관련 연구 및 문헌들을 토대로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다. 문헌분석 및 전문가와의 협의를 기초로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의 내용을 구성하여 37개 활동을 개발하고, 내용적합성에 대한 검토 및 예비연구를 통한 수정․보완 과정을 거친 후 최종 20개의 측정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 에서는 개발된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측정 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남 Y시에 위치한 Y어린이집 만 5세 유아 46명(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3명)이며,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09년 10월 26일부터 2010년 1월 8일까지 11주 동안 주 2회 총 20회 활동으로 실험집단에서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측정활동을 전개하였다. 연구도구는 홍혜경 ․ 이정욱 ․ 정정희(2006)의 수학적 능력 검사 중 측정 능력 검사, 김소향(2004)이 개발한 수학적 과정 검사, 수학적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유아의 측정 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를 각 집단별 사전, 사후 평균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목적은 일상생활에서 측정의 활용을 이해하고 측정에 대한 소양을 키우는 것이며 목표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을 통해 측정 능력 및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태도를 증진하는 것이다.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내용은 길이, 부피, 무게, 면적, 시간의 속성을 탐색하기, 직접 비교하기, 순서짓기, 임의의 도구와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하기, 표준화된 구체물로 측정하기, 표준화된 도구와 단위를 사용하여 측정하기로 구성하였다.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전개과정은 도입, 구성, 전개, 마무리의 단계로 문제인식, 탐색에 대한 의사교환, 탐구에 의한 문제해결, 반성 및 평가 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교사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의 계획자, 질문자, 촉진자, 격려자, 상호작용의 중재자, 과제 수행의 진행관리자, 언어적 상호작용 촉진자 및 평가자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의 내용적인 측면, 과정적인 측면, 정의적인 측면의 교육목표를 반영하여 평가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수업과정을 검토하고 반성하며, 유아의 능력을 이해하고 활동에 대한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아의 측정 능력은 전체 측정 능력과 측정 능력의 하위영역인 길이, 무게, 면적, 부피, 시간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측정 능력과 그 하위영역인 길이, 무게, 면적, 부피, 시간에 대한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수학적 과정은 전체 수학적인 과정과 하위영역인 문제해결하기, 추론하기, 의사소통하기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서도 전체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수학에 대한 호기심, 주의집중, 개방성, 적극성, 지속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측정 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유아교육기관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3. 용어의 정의 8
      • Ⅱ. 이론적 배경 10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3. 용어의 정의 8
      • Ⅱ. 이론적 배경 10
      • 1. 유아의 측정 능력 10
      • 2. 유아의 측정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18
      • 3. 일상생활과 연계한 측정활동 27
      • 4. 유아 측정활동과 수학적 과정 31
      • 5. 유아 측정활동과 수학적 태도 38
      • Ⅲ.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개발 42
      • 1.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개발 개요 42
      • 2. 유아 측정활동의 실태와 인식 및 요구 조사 44
      • 가. 연구대상 44
      • 나. 연구도구 45
      • 다. 연구절차 46
      • 라. 자료처리 52
      • 마. 연구결과 52
      • 바. 실태와 인식 및 요구 조사 결과 반영 58
      • 3.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개발 60
      • 가. 교육목적 및 목표 60
      • 나. 교육내용 63
      • 다. 교수-학습 방법 74
      • 라. 평가 86
      • 마. 프로그램 시안 타당성 검토 88
      • 바. 개발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94
      • Ⅳ.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검증 102
      • 1. 연구방법 102
      • 가. 연구대상 102
      • 나. 연구도구 103
      • 다. 연구절차 106
      • 라. 자료분석 121
      • 2. 연구결과 122
      • 가.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측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122
      • 나.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수학적 과정에 미치는 효과 134
      • 다. 일상생활과 연계한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이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139
      • Ⅴ. 논의 및 제언 147
      • 1. 요약 및 논의 147
      • 2. 제언 162
      • 참고문헌 16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영선, 박미라, 김영옥, "수 ? 과학지도", 1997

      2 김창복, "유아수학교육", 유아 수학교육, 2006

      3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 2005

      4 Wilson, Rowland, "Teaching measurement", 1993

      5 Vygotskii, L. S, "Thought and language", MIT Press, Thought and language, 1962

      6 Perner, Weinert, "Cognitive development", 1996

      7 Greenes, Balfanz, "Big math for little kids", 2004

      8 최혜진, "유아수학능력검사", 2003

      9 Blake, Shaw, "Assessment and evaluation", 1998

      10 Cobb, Spodek, Walberg, "Early childhood education", 1977

      1 김영선, 박미라, 김영옥, "수 ? 과학지도", 1997

      2 김창복, "유아수학교육", 유아 수학교육, 2006

      3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 2005

      4 Wilson, Rowland, "Teaching measurement", 1993

      5 Vygotskii, L. S, "Thought and language", MIT Press, Thought and language, 1962

      6 Perner, Weinert, "Cognitive development", 1996

      7 Greenes, Balfanz, "Big math for little kids", 2004

      8 최혜진, "유아수학능력검사", 2003

      9 Blake, Shaw, "Assessment and evaluation", 1998

      10 Cobb, Spodek, Walberg, "Early childhood education", 1977

      11 Nunes, Terezinha, "Children doing mathematics", Blackwell, Children doing mathematics, 1996

      12 Siegler, "Children'sthinking(3rded.)", Children's thinking. (3rd ed.), 1998

      13 이희경, "유아교수·학습방법", 동문사, 2002

      14 Clements, "Concrete manipulatives ideas", 1999

      15 Cliatt, Shaw, "Developing measurement sense", 1989

      16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9

      17 Flavell, Miller, "Cognitivedevelopment. (3ed ed.)", 1993

      18 Baroody,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1987

      19 방인옥, 황정숙, "유아기 측정활동의 양상", 1995

      20 Scultz, Colarasso, "Mathematics for every young child", 1989

      21 Piaget, Jean, "The child's conception of geometry", Routledge and Kegan Paul, 1970

      22 Geary, "Children's Mathematical development", 1994

      23 Gelman, Rochel, "The child's understanding of number", Harvard University Press, The child's understanding of number, 1986

      24 나귀옥, "유아 수학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4

      25 전희영, "유아 측정능력에 관한 연구", 2001

      26 Gelman, "What young children know about number", 1980

      27 Charlesworth, Lind, "MathandScienceforyoungchildren.(3rded)", Math and science for young children (3rd ed.), 1999

      28 Geary, "Sexual selection and human life history", 2002

      29 이경우, "유아 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유아 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2004

      30 이정욱, 홍혜경, 정정희,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2006

      31 최효은, "3, 4, 5세 유아의 부피 측정 전략", "3, 2010

      32 Reyes, "Affectivevariablesandmathematicseducation", Affective variables and mathematics education, 1984

      33 Clements, Stephan, "Measurementin Pre-K to Grade 2mathematics", Measurement in pre-K to grade 2 mathematics, 2004

      34 Dacey, Linda Schulman, "Growing mathematical ideas in kindergarten", Math Solutions Publications, Growing mathematical ideas in kindergarten, 1999

      35 Kathleen, "Which comes first-length, area, or volume?", "Which comes first-length, 1984

      36 교육인적자원부,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활동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5

      37 Tipps, Kenny, "Guiding children's learning of mathe- matics", 2000

      38 Althouse, "Investigation Mathematics with YoungChildren", Investigation mathematics with young children, 1994

      39 Kamii, "Young children reinvent arithmetic (2nd ed.)", 2000

      40 Charlesworth, "Experiences in math for young children(4nd ed.)", Experiences in math for young children (4nd ed.), 2000

      4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2000

      42 Brahier, Daniel J, "Teaching second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Allyn and Bacon, 2000

      43 배지미,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분석",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2003

      44 Barron, "Mathemaics experience for the early childen years", 1979

      45 Schunk, "Self-Efficacy Perspective on Achievement Behavior", 1984

      46 Sheffield, Cruikshank, "Teaching mathematics to elementary shool children", 1998

      47 홍혜경, "한국유아의 수단어 획득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1990

      48 Worth,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attitudes", 1990

      49 NCTM, "1991-1992 Handbook: NCTM goals, leader and position", "1991-1992 Handbook: NCTM goals, 1991

      50 이정욱, 오애순, "3, 4, 5세 유아의 크기비교 능력 및 전략", 한국아동학회, "3, 2002

      51 이정욱, 홍혜경, 정정희, "유아수학능력 및 수학교육의 연구동향", 2004

      52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보도자료", 2007

      53 Hiebert, Lindquist, "Developing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young child", 1990

      54 정재은, "4, 5세 유아의 어림하기 능력에 관한 연구", "4, 1996

      55 Bransford, John, "How people learn :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National Academy Press, "How people learn: Brain, 2000

      56 Carpenter, "Measurement concept of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Measurement concept of first-and second-grade students, 1975

      57 황정숙, "유아기 수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2002

      58 배지미, 서현아, "유치원 교사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04

      59 황정숙, "측정과정에서의 유아의 양적 불변성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1994

      60 이정욱, 이혜원, "아동의 사각형 면적 측정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004

      61 최형숙, "유아 측정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2007

      62 Clements, "Geometric and spatial thinking in early childhoodeducation", Geometric and spatial thin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3

      63 Jones, Copley, Dighe, "Mathematics : The creative curriculum approach. Washington", 2007

      64 장미라, "측정 감각 발달을 위한 학습 자료 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65 NCTM,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1989

      66 McAfee, Oralie,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Allyn and Bacon, 1994

      67 Hiebert, "Why do some children have thouble learning measurement concepts", 1984

      68 김정주, "유아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 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 형성에 관한 연구, 2003

      69 김수정,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수표상 발달에 관한 연구",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수 표상 발달에 관한 연구, 2003

      70 윤소영, "유아의 수세기 능력에 따른 수표상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71 man, "The mathematics attitude inventory: Instrument and user's manual", 1974

      72 Inous, Seo, Ginsburg, "Young childern doing mathematic: Observation of every activities", 1999

      73 유덕향, "유아 측정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조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4 황해수, "유아교육기관 수학교육의 운영 실태 및 요구조사", 2005

      75 김경희, 나귀옥, "유아수학교육에 있어서 수학적 과정에 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유아 수학교육에 있어서 수학적 과정에 대한 연구, 2004

      76 Vygotskii, L. S,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1978

      77 Yakel, Cobb, "Sociomathematical norms, argumentation, and autonomy in mathematics", "Sociomathematical norms argumentation, 1996

      78 김현정, "수학 활동중심의 유아 수학능력 진단검사 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수학 활동 중심의 유아수학능력 진단 검사 도구 개발, 2006

      79 이기현, "위상적 공간에서 유아의 길이측정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1991

      80 홍혜경, "유아의 기하학적 구성물의 그리기 작업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001

      81 황해익, 고은미, "유아의 측정 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 개발 연구", 2008

      82 Ginsburg, "Children's arithmetic: How they learn it and how you teach it (2nd ed.)", 1989

      83 김갑순, "일상적 경험에 기초한 유아 수 교육 활동의 적용 효과", 2009

      84 한종화,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85 NCTM, NAEYC,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moting good beginning. Position statemen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moting good beginning. Position Statement, 2002

      86 R.W, Copel, "How children learn mathematics: Implication for Piaget's research(4th ed.)", How children learn mathematics: Implication for Piaget's research (4th ed.), 1984

      87 Baroody, "Theroleofpsychologicalinthedevelopmentofearlychildhoodmathematicsstandards", The role of psychological i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standards, 2000

      88 김재현, "어림 측정에 활용될 수 있는 벤치마크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89 Gallenstein, "Creative construc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concepts in earlychildhood", Creative construc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concepts in early childhood, 2003

      90 NRC, "Mathematics learning in early childhood: Paths toward excellence and equity", 2009

      91 Norwood,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approach onmathematics anxiety and achievement",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approach on mathematics anxiety and achievement, 1994

      92 윤정빈, "유아의 평형과제 해결 상황에서의 또래협동에 대한 연구", 1996

      93 Charlesworth, "Research Based Mathematics forPreschool Children: Applying the NCTM Standards", Research based mathematics for preschool children: Applying the NCTM standards, 2004

      94 박경난, "협동에 의한 측정 활동이 유아의 측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유아교육학회, 협동에 의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측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5

      95 손은경, "취학전 아동의 수평저울 문제해결에서의 부호화 훈련 효과", 東義女子專門大學, 1990

      96 변경애, "미술과 수학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표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술과 수학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 표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7

      97 정정희 ( Chung Hee Chung ) , 권미정 ( Mi Jung Kwon ), 최효정 ( Hyo Jung Choi ) , "어림하기 활동이 유아의 수 연산과 측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어림하기 활동이 유아의 수 연산과 측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2009

      98 김세루,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2010

      99 Czernick, Chiarelott,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science instruc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1990

      100 Cobb, "The tention between theorie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1988

      101 한종화, "유아를 위한 탐구중심 측정활동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효과", 2006

      102 Mutch, Boulton-Lewis, "An analysis of young childrens strategies and use of devices of length-measurement", 1996

      103 이상원, "수학과 학습부진아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 방법:고등학교 중심", 수학과 학습부진아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고등학교 중심, 2000

      104 Mills, "Teachingmathconcepts,InaK-1classdoesn'thavetobelikepullingteeth-butmaybeitshouldbe!", Teaching math concepts: In a K-1 class doesn't have to be like pulling teeth-but maybe it should be!, 1993

      105 조정수, 김사환, "일반계 고등학생의 수학 교과에 대한 기본 학습 부진 요인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일반계 고등학생의 수학교과에 대한 기본학습부진 요인분석, 2002

      106 김지영,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근거한 유아수학능력 평가도구 개발",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07 Geist, Eugene, "Children are born mathematicians : supporting mathematical development, birth to age 8", Merrill/Pearson, 2009

      108 Ginsburg, Seo, "Everydaymathematicalknowledge:Asking young children whatto developmentally appropriate", 2001

      109 김하나, "소집단 협동 학습이 수학적 성취도와 수학적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10 서동미, "유치원 생활에서 발생하는 유아의 수학적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11 양승희, 조인숙, "유아기 측정 능력과 수학 개념 및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2001

      112 이대균, "국민학교 1학년 아동에 대한 소집단 활동중심 교수방법의 적용과 효과", 中央大學校,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113 NAECS/SDE, "Unacceptable trends in kindergarten entry and placement: A position statement of the NAECS/SDE", 1987

      114 김선월, "자연산책을 통한 미술요소 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자연산책을 통한 미술요소 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에 미치는 영향, 2002

      115 이혜경, "또래 상호작용에 따른 무게. 거리 측정 및 언어유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6

      116 Singer, Dorothy G, "Play=learning : how play motivates and enhances children's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grow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17 문혜옥, "비디오를 통한 경험의 재방문이 유아의 수평잡기 과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2003

      118 구혜현,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 능력과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 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7

      119 정재숙, "임의의 표준물에 의한 길이측정활동이 유아의 길이예측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120 고혁민, "초·중학생들을 위한 과학 탐구 능력 측정 도구의 개발 과정 및 타당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 중학생들을 위한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과정 및 타당성분석, 1995

      121 Taylor, Francis, "Mathematical thinking intervention programmes for preschool children with normal and low number sense", 2005

      122 Yuzawa, Bart, Sukemune, Kinne, Kataoka, "The effect of Origami practice on size comparison strategy among young japanese and American children", "The effect of ""origami"" practice on size comparison strategy among young Japanese and American children", 1999

      123 이지나, "상황학습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 수학개념 및 수학접근태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24 김유정, "생활 문제 중심의 소집단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수연산 발달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25 Bryant, "The role of conflict and agreement between intellectual strategies in children's idea about measurement", 1982

      126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Guidelines for appropriate curriculum content and assessment in programs serving children ages 3 through 8", Guidelines for appropriate curriculum content and assessment in programs serving children ages 3 through 8, 1992

      127 김보연, "버들 유치원 만 5세 유아가 역할놀이 영역에서 경험 하는 수학 활동에 관한 연구", 버들 유치원 만 5세 유아가 역할놀이 영역에서 경험하는 수학 활동에 관한 연구, 2006

      128 박수경,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수학적 기초 능력 기르기와 관련한 활동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129 Greenberg, "How and why to teach all aspects of preschool and kindergarten math naturally, democratically, and effectively", "How and why to teach all aspects of preschool and kindergarten math naturally, 1994

      130 황정숙, "수학교수방법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 문제해결 능력, 수학 접근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유아교육학회, "수학 교수방법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 1997

      131 Copley, "The early childhood collaborative: A progressional development model to communicate and implement the standards", 2004

      132 박충일, "영역특성 및 영역일반 전략 훈련이 아동의 수평저울 과제해결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1994

      133 Ward, "Development versus academics education: Effects on problesolving performance and toward mathematics in kindergarten", 1993

      134 김경희, 나귀옥,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 수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수학적 과정 활용의 변화", 2007

      135 Moser, Heibert, Carpenter, "The effect of problem structure on first graders initial solution processes for simple addition and subtration problem", 1979

      136 최미희, "수업유형, 집단구성 및 성별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 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수업유형, 2003

      137 염연희, "비표준 단위를 이용한 측정활동이 유아의 길이 측정 능력과 수학접근 태도에 미치는 영향", 2005

      138 Miller, "Measurement as a tool for Thought: The Role of Measuring Procedures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Quantitative Invariance", Measurement as a tool for thought: The role of measuring procedures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quantitative invariance, 1989

      139 김소향, "수학 게임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대한 평가 도구 개발 연구",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수학게임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지식, 2004

      140 홍용희, Winsler, Berk,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들의 학습에 비계설정: 비고스키와 유아교육", 1995

      141 황정숙, "유아 수학교육의 효과적 지도: 구체적 조작에 의한 활동중심과 학습지에 의한 교사중심교수방법의 비교연구", 유아 수학교육의 효과적 지도: 구체적 조작에 의한 활동 중심과 학습지에 의한 교사중심 교수방법의 비교연구, 1996

      142 Levi, Carpenter, "Developing conceptions of algebraic reasoning in the primary grad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999

      143 D'Emidio, "Simulation and meta processing: Affective component of math procedur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l Association of Colleges for Teacher Education",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