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술꽃 씨앗학교의 성과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참여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hievement and Improvement Plan of Art-Flower Seed School: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ng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2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as major stakeholders of Arts-Flower Seeds School, one of the school arts education supporting program perceiv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the supporting program. Additionally, it aimed to suggest ideas for improvement of school arts education as well as Arts-Flower Seeds School, based o n results. The s tudy categorized participants into two focus groups: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such as principal or supervisor. Collected data from focus group interview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using NVivo.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ubstantial grant for 4 years has guaranteed enough opportunity of experiencing arts, enhanced teachers’ ability of arts, reformed the entire school with arts education, spread positive awareness of school’s role, encouraged parents and local residents to experience arts, and partnered with the local community. Two focus groups perceived problems of the program as follows; threat to sustainability cased by the budget cutoff after 4 years, lack of compensation system for teachers,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between related agenc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d some suggestions about practice-oriented attitude rather than budget, and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on/off-line communication system encouraging teachers’ interac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as major stakeholders of Arts-Flower Seeds School, one of the school arts education supporting program perceiv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the supporting p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as major stakeholders of Arts-Flower Seeds School, one of the school arts education supporting program perceiv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the supporting program. Additionally, it aimed to suggest ideas for improvement of school arts education as well as Arts-Flower Seeds School, based o n results. The s tudy categorized participants into two focus groups: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such as principal or supervisor. Collected data from focus group interview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using NVivo.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ubstantial grant for 4 years has guaranteed enough opportunity of experiencing arts, enhanced teachers’ ability of arts, reformed the entire school with arts education, spread positive awareness of school’s role, encouraged parents and local residents to experience arts, and partnered with the local community. Two focus groups perceived problems of the program as follows; threat to sustainability cased by the budget cutoff after 4 years, lack of compensation system for teachers,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between related agenc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d some suggestions about practice-oriented attitude rather than budget, and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on/off-line communication system encouraging teachers’ intera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주요 이해관계자로서 여기에 참여한 교직 집단이 인식하는 예술꽃 씨앗학교의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예술꽃 씨앗학교를 비롯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직집단을 교육 행정가와 교사로 구분하여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자료 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코딩 틀을 개발하고 코딩 틀에 따라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술꽃 씨앗학교의의미와 성과와 관련하여 충분한 예산을 4년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문화예술 향유 기회의 충분한 제공, 학생의창의성·표현력·인성 함양, 교사의 문화예술역량 강화, 학교 전체를 변화시키는 문화예술교육의 잠재력,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증대, 학부모 및 지역주민의 문화예술 참여와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있었다. 그리고교직 집단이 인식하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문제점으로는 예산 단절에 따른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성 위협, 교사 보상체계 부족, 유관 기관 간 협력 및 정보공유 부족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산 중심에서 실천 중심으로의인식의 전환, 교사 인증제 등의 보상체계 마련, 학교문화예술교육 참여 교사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자율적인 현장연구로연결되는 온오프라인 시스템 구축 등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주요 이해관계자로서 여기에 참여한 교직 집단이 인식하는 예술꽃 씨앗학교의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예술꽃 씨앗학교를 비롯한 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꽃 씨앗학교의 주요 이해관계자로서 여기에 참여한 교직 집단이 인식하는 예술꽃 씨앗학교의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예술꽃 씨앗학교를 비롯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직집단을 교육 행정가와 교사로 구분하여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자료 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코딩 틀을 개발하고 코딩 틀에 따라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술꽃 씨앗학교의의미와 성과와 관련하여 충분한 예산을 4년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문화예술 향유 기회의 충분한 제공, 학생의창의성·표현력·인성 함양, 교사의 문화예술역량 강화, 학교 전체를 변화시키는 문화예술교육의 잠재력,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증대, 학부모 및 지역주민의 문화예술 참여와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있었다. 그리고교직 집단이 인식하는 예술꽃 씨앗학교의 문제점으로는 예산 단절에 따른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성 위협, 교사 보상체계 부족, 유관 기관 간 협력 및 정보공유 부족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산 중심에서 실천 중심으로의인식의 전환, 교사 인증제 등의 보상체계 마련, 학교문화예술교육 참여 교사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자율적인 현장연구로연결되는 온오프라인 시스템 구축 등예술꽃 씨앗학교의 운영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효, "학교예술교육지원 사업별 성과지표 개발 및 성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2 교육부, "학교예술교육 중장기 계획"

      3 정문성,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267-284, 2012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아카데미프레스 2012

      5 김병욱, "질적 연구의 실제" 학지사 2018

      6 곽덕주, "예술이 교육이다: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 서울문화재단 2015

      7 김대연, "예술꽃 씨앗학교의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동체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연극학회 10 (10): 25-42, 2018

      8 김민수,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을 통한 전통 문화에 대한 자긍심 기르기" 7 (7): 155-179, 2013

      9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2018∼2022)"

      10 정문성,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지속성 연구-초등학교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졸업 후 미친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431-447, 2014

      1 김정효, "학교예술교육지원 사업별 성과지표 개발 및 성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2 교육부, "학교예술교육 중장기 계획"

      3 정문성,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이 예술 및 인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267-284, 2012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아카데미프레스 2012

      5 김병욱, "질적 연구의 실제" 학지사 2018

      6 곽덕주, "예술이 교육이다: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 서울문화재단 2015

      7 김대연, "예술꽃 씨앗학교의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동체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연극학회 10 (10): 25-42, 2018

      8 김민수,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을 통한 전통 문화에 대한 자긍심 기르기" 7 (7): 155-179, 2013

      9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2018∼2022)"

      10 정문성,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지속성 연구-초등학교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졸업 후 미친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431-447, 2014

      11 정문성,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교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65-194, 2012

      12 Fullan, M.,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Teachers College Press 2016

      13 UNESCO, "Road Map for Arts Education in the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Building Creative Capacities for the 21st Century"

      14 Miles. B., "Qualitative Data Analysis" Sage Publications 1994

      15 Fitzpatrick, J. L.,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Pearson 2011

      16 Hargreaves, A, "Professional Capital: Transforming Teaching in Every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2012

      17 Stufflebeam, D. L., "Encyclopedia of Evaluation" Sage 60-65, 2005

      18 UNESCO, "Education 2030: Incheon Declaration and Framework for A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4"

      19 교육부, "2018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기본 계획"

      2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예술꽃 씨앗학교 컨설팅 평가단 운영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21 정민룡, "2014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