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Exploring How to Improve the 2015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rough an Analysis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ng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2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ngland and explores how to improve Korea’s 2015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recently revised curriculum in England promotes a core knowledge-based curriculum in place...

      This study analyzes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ngland and explores how to improve Korea’s 2015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recently revised curriculum in England promotes a core knowledge-based curriculum in place of a competency-based one. Accordingly, geography, history, and civic subjects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 content that focuses on essential knowledge students must learn. The revised curriculum in England is characterized by fully reflecting the differences of each area regarding goals, achievement standards, and composition of content since it is divided into geography, history, and civic subjects. Furthermore, it sequentially ranks the content or functional elements by key stage and marks the area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learned as “non-statutory” elements, thereby reflecting differences from Korea’s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be derived as follows: First, a systematic direction for the integration and division for each area of social studies is necessary. Second, the issue of excessive duplication of social studies content needs to be addressed Third, the hierarchy for skills needs to be considered, and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urriculum guide should be review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distinguish between essential elements and those that are not in the curriculum. Based on these issues, we hope that follow-up research to improve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be carried ou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을목적으로 한다. 최근 개정된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

      본 연구는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을목적으로 한다. 최근 개정된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으로 핵심 지식 중심 교육과정을지향한다. 이에 따라 영국 사회과의 지리, 역사, 시민성 과목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반드시 배워야 하는 필수 지식, 즉 내용 요소를 강조한다. 한편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지리, 역사, 시민성 과목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목표및 성취기준, 내용 구성 등에 있어 각 영역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Key Stage별로 내용이나기능 요소 등을 위계화하고 있으며, 필수적으로 학습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비법령적(non-statutory)’ 요소로표기하는 등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통합형, 분과형 등 사회과 교육과정의구성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의 분석을 통하여 내용체계에 대한 점검이필요하다. 셋째, 사회과 기능 요소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기능에 대한 위계의 고려와 교육과정의필수 요소에 대한 안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과정 상에 필수적 요소와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표시하는방안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쟁점을 중심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후속 연구가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가은아,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사례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75-100, 2017

      2 한규선, "영국의 정치교육; 시티즌십 교육의 국가교육과정 필수교과 제정을 중심으로" 12 (12): 45-76, 2013

      3 강선주, "영국의 역사 교육과정의 쟁점 -2014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65) : 123-163, 2017

      4 조철기,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정치학과 지리교육진흥운동"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63-82, 2012

      5 소경희, "영국의 ‘2013 개정 교육과정’에서 의도한 것과 구현한 것: 의의와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9-220, 2015

      6 심승희, "영국의 2014 개정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시사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7-31, 2013

      7 조철기, "영국 국가지리교육과정 개정과 지식 논쟁" 대한지리학회 49 (49): 456-471, 2014

      8 조철기,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 새로운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232-251, 2012

      9 "영국 교육부 국가 교육과정 사이트"

      10 김천홍, "영국 2013 국가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05-233, 2017

      1 가은아, "호주와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적용 지원 사례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75-100, 2017

      2 한규선, "영국의 정치교육; 시티즌십 교육의 국가교육과정 필수교과 제정을 중심으로" 12 (12): 45-76, 2013

      3 강선주, "영국의 역사 교육과정의 쟁점 -2014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65) : 123-163, 2017

      4 조철기,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정치학과 지리교육진흥운동"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63-82, 2012

      5 소경희, "영국의 ‘2013 개정 교육과정’에서 의도한 것과 구현한 것: 의의와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9-220, 2015

      6 심승희, "영국의 2014 개정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시사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7-31, 2013

      7 조철기, "영국 국가지리교육과정 개정과 지식 논쟁" 대한지리학회 49 (49): 456-471, 2014

      8 조철기,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 새로운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232-251, 2012

      9 "영국 교육부 국가 교육과정 사이트"

      10 김천홍, "영국 2013 국가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05-233, 2017

      11 권진욱, "시민사회의 시민교육 체계 구축 과정 연구-독일, 프랑스, 스웨덴,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2016

      12 강선주, "세계는 역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 한울 아카데미 16-51, 2018

      13 김종윤, "성취기준 질 제고를 위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4 차경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7

      15 배화순,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법교육" 한국법교육학회 12 (12): 49-82, 2017

      16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17 구정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과목 개발에 대한 성찰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29, 2015

      18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19 권점례, "교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수학, 과학,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20 Department for Education, England,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Key stages 3 and 4 framework document"

      21 Department for Education, England,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Key stages 1 and 2 framework document"

      22 김현미, "21세기 핵심역량과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 (21): 1-16, 2013

      23 모경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30, 2016

      24 이광우,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국가교육과정 각론 조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