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의 전통미술 단원 내용 분석 :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중심으로 = Content Analysis of Traditional Korean Art Unit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 With the Focus on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23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 이후 국내사회의 변화와 다문화교육의 유입은 전통미술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새로이 주목받은 전통미술교육은 우리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정체성의 함양과 다양한 문화의 이해라는 목적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꾸준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통미술교육은 동화주의적 접근과 피상적인 다문화교육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본 연구자의 학습 경험에서도 기존의 전통미술교육은 다문화교육으로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거나 문화적 정체성을 함양하는 수업으로 전개되지 못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미술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통미술교육의 내용과 접근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준거로는 오늘날 전통미술교육의 배경을 제공해 주었던 다문화 미술교육을 제시해 앞선 연구목적을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의 내용분석’으로 구체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에 앞서, 이론적 배경으로 다문화교육으로서 전통미술교육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통미술교육은 다문화교육으로서의 가치와 가능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으나 접근 방향과 내용 전개에 혼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미술과에 한정해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접근유형을 살펴보았다. 문헌고찰을 통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핵심 방향이 미술을 사회·문화적 결과물로 바라보고 그 과정에서 여러 하위문화와 사회구조적 차별을 가시화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추가로 에플랜드, 프리드먼, 스터의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유형과 안혜리의 국내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 대안을 통해, 주류를 중심으로 하는 ‘모더니즘’과 ’동화주의’ 접근부터 다양한 타자와 민주주의사회 실현을 중시하는 ‘사회재건주의’ 접근까지 다양한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 유형과 방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향과 접근 유형을 토대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접근과 사회구조의 가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가?’와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유형을 기준으로 어떠한 접근 양상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를 본 연구의 분석기준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한 전통미술 단원의 내용 분석 연구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미술 단원은 우리만의 고유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전통미술을 바라보고 해석할 것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미술 속 다양한 하위문화나 사회구조의 가시화는 부족했다. 교과서라는 형식이 지닌 분량의 제한과 국가단위 교육과정의 반영이라는 제도적 한계 속에서 전통미술은 ‘전통’과 ‘우리’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하위문화와 사회구조를 가시화하지 못 하고 있다.
       둘째, 전통미술 단원의 활동은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모더니즘’ 접근과 ‘동화주의’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사회재건주의’ 또는 ‘다문화적·사회재건주의 접근’ 유형의 활동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현행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은 다양한 타자와의 교류와 사회정의의 실천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미술교육으로서 앞으로의 전통미술교육이 전통미술 속에 숨은 다양한 하위문화와 사회적 구조를 가시화하고 비판적 사고와 사회정의를 실천하는 방향으로 후속 연구가 진행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 미술 교과서에 반영된 전통미술교육의 현황과 방향을 고찰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밝히지 못했던 전통미술교육의 문제를 발견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1990년대 이후 국내사회의 변화와 다문화교육의 유입은 전통미술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새로이 주목받은 전통미술교육은 우리 문화를 바탕으로 하�...

        1990년대 이후 국내사회의 변화와 다문화교육의 유입은 전통미술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새로이 주목받은 전통미술교육은 우리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정체성의 함양과 다양한 문화의 이해라는 목적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꾸준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통미술교육은 동화주의적 접근과 피상적인 다문화교육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본 연구자의 학습 경험에서도 기존의 전통미술교육은 다문화교육으로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거나 문화적 정체성을 함양하는 수업으로 전개되지 못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미술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통미술교육의 내용과 접근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준거로는 오늘날 전통미술교육의 배경을 제공해 주었던 다문화 미술교육을 제시해 앞선 연구목적을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의 내용분석’으로 구체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에 앞서, 이론적 배경으로 다문화교육으로서 전통미술교육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통미술교육은 다문화교육으로서의 가치와 가능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으나 접근 방향과 내용 전개에 혼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미술과에 한정해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접근유형을 살펴보았다. 문헌고찰을 통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핵심 방향이 미술을 사회·문화적 결과물로 바라보고 그 과정에서 여러 하위문화와 사회구조적 차별을 가시화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추가로 에플랜드, 프리드먼, 스터의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유형과 안혜리의 국내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 대안을 통해, 주류를 중심으로 하는 ‘모더니즘’과 ’동화주의’ 접근부터 다양한 타자와 민주주의사회 실현을 중시하는 ‘사회재건주의’ 접근까지 다양한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 유형과 방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향과 접근 유형을 토대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접근과 사회구조의 가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가?’와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유형을 기준으로 어떠한 접근 양상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를 본 연구의 분석기준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한 전통미술 단원의 내용 분석 연구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미술 단원은 우리만의 고유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전통미술을 바라보고 해석할 것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미술 속 다양한 하위문화나 사회구조의 가시화는 부족했다. 교과서라는 형식이 지닌 분량의 제한과 국가단위 교육과정의 반영이라는 제도적 한계 속에서 전통미술은 ‘전통’과 ‘우리’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하위문화와 사회구조를 가시화하지 못 하고 있다.
       둘째, 전통미술 단원의 활동은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모더니즘’ 접근과 ‘동화주의’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사회재건주의’ 또는 ‘다문화적·사회재건주의 접근’ 유형의 활동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현행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은 다양한 타자와의 교류와 사회정의의 실천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미술교육으로서 앞으로의 전통미술교육이 전통미술 속에 숨은 다양한 하위문화와 사회적 구조를 가시화하고 비판적 사고와 사회정의를 실천하는 방향으로 후속 연구가 진행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 미술 교과서에 반영된 전통미술교육의 현황과 방향을 고찰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밝히지 못했던 전통미술교육의 문제를 발견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1990s, changes in Korea domestic society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nflux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given a new way to the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which has received new attention as part of multiculural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with the purpose of cultivated cultural identity based on korean culture and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ociety. Despite steady development,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has the problem of its superfici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ssimilation approach. Also, in the experience of researcher, the existing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could not be developed as a class to understand own cultural identity or the diversity in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and approaches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and find a new way for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raditional korean art unit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text book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s the basis of analysi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hich provided the background of today’s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was presentend. So the purpose of study was embodied as ‘Content Analysis of Traditional Korean Art Unit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ithe the Focus on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Prior to content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uion as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irst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has sufficient value and potential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re is confusion in the approach direction and content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examined the direction an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limited to the art department. Through advanced research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co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to view art as a social and cultural outcome, and to visualiz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al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rough Efland, Freedman, and Stuhr's approach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Ahn Hye-ri's alternative approach to the korea'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and methods of approach from the mainstream-centered 'modernism' and 'assimilation' approaches to the realization of a democratic society 'social reconstruction' approach.
      Based on the direction and approach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esent the analysis criterion for this study that was 'how the textbook's content was represented in approaches to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visualization of social structures?', ' what is the popular approach as multicultural art eduacti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 applying these criteria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s content places importance on viewing and interpreting based on our uniqu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However, the visualization of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in traditional art was insufficient. Within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the format in textbooks and the reflection of national curriculum, Traditional korea art could not visualize th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that exist and hide in 'tradition' and 'us'
      Second, the aspects of the traditional art unit are mainly 'modernism' and 'assimilation approaches’ and aspects of 'social reconstructionism' or 'multicultural·social reconstructionist approach' are not suggested. In the en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s in the 2015 revised textbooks do not sufficiently present the practice of social justice and exchanges with oth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uture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as a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ill visualize th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hidden in traditional korea art, and follow-up studies on the direction of practicing critical thinking and social justic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has meaningful in that it discovered the problem of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that had not been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a direction.
      번역하기

      Since the 1990s, changes in Korea domestic society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nflux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given a new way to the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which has received new attention as ...

      Since the 1990s, changes in Korea domestic society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nflux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given a new way to the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which has received new attention as part of multiculural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with the purpose of cultivated cultural identity based on korean culture and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ociety. Despite steady development,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has the problem of its superfici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ssimilation approach. Also, in the experience of researcher, the existing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could not be developed as a class to understand own cultural identity or the diversity in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and approaches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and find a new way for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raditional korean art unit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text book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s the basis of analysi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hich provided the background of today’s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was presentend. So the purpose of study was embodied as ‘Content Analysis of Traditional Korean Art Unit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ithe the Focus on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Prior to content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uion as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irst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has sufficient value and potential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re is confusion in the approach direction and content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examined the direction an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limited to the art department. Through advanced research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co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to view art as a social and cultural outcome, and to visualiz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al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rough Efland, Freedman, and Stuhr's approach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Ahn Hye-ri's alternative approach to the korea'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and methods of approach from the mainstream-centered 'modernism' and 'assimilation' approaches to the realization of a democratic society 'social reconstruction' approach.
      Based on the direction and approach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esent the analysis criterion for this study that was 'how the textbook's content was represented in approaches to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visualization of social structures?', ' what is the popular approach as multicultural art eduacti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 applying these criteria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s content places importance on viewing and interpreting based on our uniqu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However, the visualization of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in traditional art was insufficient. Within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the format in textbooks and the reflection of national curriculum, Traditional korea art could not visualize th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that exist and hide in 'tradition' and 'us'
      Second, the aspects of the traditional art unit are mainly 'modernism' and 'assimilation approaches’ and aspects of 'social reconstructionism' or 'multicultural·social reconstructionist approach' are not suggested. In the en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s in the 2015 revised textbooks do not sufficiently present the practice of social justice and exchanges with oth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uture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as a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ill visualize th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hidden in traditional korea art, and follow-up studies on the direction of practicing critical thinking and social justic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has meaningful in that it discovered the problem of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that had not been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a dire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선행연구 및 연구문제 4
      • 3. 연구방법 8
      • 4. 제한점 10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선행연구 및 연구문제 4
      • 3. 연구방법 8
      • 4. 제한점 10
      • Ⅱ. 이론적 배경 11
      • 1. 다문화교육으로서 전통미술교육 11
      • 2. 다문화 미술교육의 이해 24
      • Ⅲ. 연구방법 51
      • 1. 연구대상 51
      • 2. 분석기준 55
      • Ⅳ.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의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전통미술 단원 내용분석 59
      • 1. 전통회화와 서예 59
      • 2. 전통공예 79
      • 3. 한국미술사 89
      • 4. 우리 미술 문화의 이해 102
      • Ⅴ. 결론 및 제언 112
      • 참고문헌 116
      • 영문초록 및 주제어(키워드, 핵심어) 12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