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의 변화 과정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Adult Clie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0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ing process of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of Savickas(2011) and to present a substantive theor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p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ing process of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of Savickas(2011) and to present a substantive theor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participa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 theory method. As a result, 169 concepts, 56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open cod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axis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experienced by adult clients participating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desperation for solving career problems’. The causal conditions that affected the phenomenon were ‘confusion of one's career’, ‘ambivalent feeling about career counseling’, and ‘awareness of importance of career design’.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interest in self-growth’ and ‘attitude of acquaintance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facilitation and assistance for story construction’, ‘dynamics in storytelling’, and ‘support of counselor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at adult clients use to solve the ‘desperation for career problem solving’ in the course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dubiousness’, ‘being at a loss’, ‘novelty’, ‘proudness’, ‘struggling to write’, ‘breaking through difficulties’, ‘establishing a new career execution plan’, ‘activating senses-making’, ‘increasing of reflection and reflexivity’. Also, as a result of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being expanded of self-understanding ’, ‘increased of self–esteem’, ‘clarity of career goal’ and ‘inclining to live life based on life portraits’ were derived. This process can be summarized in five stages: ‘ignition phase’, ‘shaping phase’, ‘specification phase’, ‘behavioralization phase’, and ‘expansion phase’. The core category of how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going through was ‘regeneration as the protagonist of life through story co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proces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discussed and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the changing process experienced by adult clie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concretely identifi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concrete information for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rescriptions in the field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Savickas(2011)의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여 실체 이론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진로 구성 상담 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

      본 연구의 목적은 Savickas(2011)의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여 실체 이론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진로 구성 상담 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169개 개념, 56개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진로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진로 문제 해결에 대한 절실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조건은 ‘진로 혼란에 빠짐’, ‘진로 상담에 대한 양가감정’, ‘진로 설계의 중요성 인식’이었으며, 맥락적 조건은 ‘자기 성장에 대한 관심’, ‘지인들의 태도’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스토리 구성을 위한 촉진과 조력’, ‘스토리텔링의 역동성’, ‘상담자의 지지’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의아함’, ‘난감함’, ‘신기함’, ‘뿌듯함’, ‘글쓰기에 힘을 쏟음’, ‘어려움을 타개해 나감’, ‘새로운 진로 실행 계획을 수립함’, ‘감각 만들기가 활발해 짐’, ‘반성과 성찰이 늘어남’ 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는 ‘자기 이해가 확장되어 감’, ‘자긍심이 높아짐’, ‘진로 목표가 명료해 짐’, ‘생애초상화에 따른 삶을 지향해 나감’이 도출되었다. 본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여 보면 ‘점화 단계’, ‘형상화 단계’, ‘구체화 단계’, ‘행동화 단계’, ‘확장 단계’의 5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이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에 대한 핵심범주는 ‘스토리를 구성하며 삶의 주인공으로 거듭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 구성 상담 과정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 내담자들이 진로 구성 상담에서 경험하는 변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진로 구성 상담을 실행하는 현장에서 보다 실효성 있는 개입과 처방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연, "한 중년여성의 진로구성 과정"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65-282, 2015

      2 김소연, "한 중년남성의 진로구성 과정" 교육연구소 36 (36): 43-65, 2015

      3 김봉환, "커리어카운슬링" 박영스토리 2016

      4 정문희, "커리어 스토리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진로상담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6

      5 공윤정,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정서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연구소 15 (15): 27-43, 2014

      6 이지은, "진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한국상담학회 16 (16): 171-192, 2015

      7 최윤정, "진로 개입 성과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한국상담학회 15 (15): 321-341, 2014

      8 김나형, "중장년층 경력전환에서의 경력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8 (8): 27-52, 2013

      9 박한샘, "이혼가족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접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0 김번영, "이야기 치료와 상담" 솔로몬 2007

      1 김소연, "한 중년여성의 진로구성 과정"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65-282, 2015

      2 김소연, "한 중년남성의 진로구성 과정" 교육연구소 36 (36): 43-65, 2015

      3 김봉환, "커리어카운슬링" 박영스토리 2016

      4 정문희, "커리어 스토리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진로상담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6

      5 공윤정,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정서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연구소 15 (15): 27-43, 2014

      6 이지은, "진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한국상담학회 16 (16): 171-192, 2015

      7 최윤정, "진로 개입 성과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한국상담학회 15 (15): 321-341, 2014

      8 김나형, "중장년층 경력전환에서의 경력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8 (8): 27-52, 2013

      9 박한샘, "이혼가족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접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0 김번영, "이야기 치료와 상담" 솔로몬 2007

      11 황윤주, "두 50대 여성의 전환적 생애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웃음강사로 제2의 인생 살기" 원격교육연구소 11 (11): 215-243, 2015

      12 전현영, "두 50대 남성 직장인의 진로전환의 삶에 관한 질적 연구: 생계와 자아실현 사이" 한국상담학회 15 (15): 675-694, 2014

      13 박세환, "대졸 취업률 분석; 어렵게 취업해도 1년 뒤엔 10명중 3명 퇴사"

      14 김영실, "남성중심적 직업을 희망하는 여대생들의 직업결정과정 : 근거이론 접근"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15 박승민,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학지사 2016

      16 조항, "국내 진로 및 직업상담 연구 동향 분석: 국내 상담학회 및 상담심리학회 발간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0 (10): 2099-2113, 2009

      17 Angus, L. E., "Working with narrative in emotion-focused therapy: Changing stories, healing liv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

      18 Metz, A. J., "Vocational psychology and new challenges" 57 (57): 310-331, 2009

      19 Heinz, W. R., "Transition discontinuities and the biographical shaping of early work careers" 60 (60): 220-240, 2002

      20 Del Corso, J., "The role of narrative in career construction theory" 79 (79): 334-339, 2011

      21 Arthur, M., "The new careers: Enacting the global economy" Sage 1999

      22 Jennings, M. E., "The house that race built" 15-32, 2005

      23 Hall, D. T., "The career is dead: Long live the career" Jossey-Bass 1996

      24 Rehfuss, M. C., "Teaching career construction and the career style interview" 25 (25): 58-71, 2009

      25 Del Corso, J., "Striving to adapt : Addressing Adler's work task in the 21st century" 67 (67): 88-106, 2011

      26 Derrida, J., "Speech and Phenomena"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73

      27 Reid, H., "Prompting reflection and learning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97 : 51-59, 2016

      28 LaPointe, K., "Narrating career, positioning identity : Career identity as a narrative practice" 77 (77): 1-9, 2010

      29 Bauman, Z., "Liquid times: Living in an age of uncertainty" Polity Press 2007

      30 Savickas, M. L., "Life-design counseling manuel" 2015

      31 Savickas, M. L., "Life design : A paradigm for career intervention in the 21st century" 90 (90): 13-19, 2012

      32 Young, R., "Introduction : Constructivism and social constructionism in the career field" 64 (64): 373-388, 2004

      33 안후남, "IMF경제위기 직후 노동시장에 진입한직장 남성의 진로구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8 (18): 187-216, 2015

      34 Maree, J. G., "How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promotes reflection and reflexivity : Two case studies" 97 : 22-30, 2016

      35 Kolb, D. A.,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Vol. 1)" Prentice-Hall 1984

      36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1981

      37 Hartung, P. J., "Critical mome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97 : 31-39, 2016

      38 Rehfuss, M. C., "Counselors' perspectives on using the career style interview with clients" 59 (59): 208-218, 2011

      39 Maree, J. G., "Counselling for career construction: connecting life themes to construct life portraits: turning pain into hope" Sense Publishers 2013

      40 Pazaratz, D., "Counseling employees: A multi-faceted approach"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51-61, 2002

      41 Anderson, H., "Conversation, language, and possibilities: A postmodern approach to therapy" BasicBooks 1997

      42 Popcorn, F., "Clicking: 16 trends to future fit your life, your work, and your business" HarperCollins 1996

      43 Mullins, J., "Career planning the second time around" 12-15, 2009

      44 Watts, A. G., "Career guidance policy : An international review" 54 (54): 66-76, 2005

      45 Savickas, M. L.,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John Wiley & Sons, Inc 147-183, 2013

      46 Busacca, L., "Career counstruction theory : A practitioner's primer" 23 : 57-67, 2007

      47 Savickas, M. L., "Career counsel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

      48 Maree, J. G.,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ith a mid-career black man" 64 (64): 20-34, 2016

      49 Maree, J. G.,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 A thematic analysis of outcomes for four clients" 86 : 1-9, 2015

      50 Corbin, J. M.,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2008

      51 Strauss, A.,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1990

      52 Strauss, A.,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1998

      53 Rehfuss, M. C., "Applying the theory of career construction to Frank" 23 (23): 68-76, 2007

      54 전현영, "8人8色 진로전환 이야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55 통계청, "2016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