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온라인 접속을 통한 생활방식이 익숙해진 현대의 문화에 따라 온라인화 된 효행의 모습 을 관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효행에는 어떠한 특성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온라인 접속을 통한 생활방식이 익숙해진 현대의 문화에 따라 온라인화 된 효행의 모습 을 관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효행에는 어떠한 특성들...
본 연구는 온라인 접속을 통한 생활방식이 익숙해진 현대의 문화에 따라 온라인화 된 효행의 모습 을 관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효행에는 어떠한 특성들이 있는지 를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둔다. 특히 본 연구는 단순히 온라인적인 효행들 의 모습을 나열하고 행동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오프라인의 효행들이 온라인화 되었을 때 발생하는 변화상을 장점과 단점을 중심으로 문화-철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것은 온라인 화 된 효행들의 목록 제시와 관찰이라기보다는 기존의 오프라인의 효행들이 온라인화 되었을 때 나타나는 사람들의 인식과 효행의 의미들을 면밀히 살펴보는 분석에 가깝다. 논의의 진행을 위하여 본 연구는 크게 세 단계를 구조로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는 온라인의 특성과 효의 현대적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에서 다루려는 내용들을 정리하고 개념화한다. 둘째는 온라 인과 효의 요소를 접목시켜 온라인화 된 효행의 모습을 나름대로 조작적 정의를 통하여 살펴보고 주요 특성을 간추려본다. 셋째는 연구를 통해 구성된 온라인화 된 효행의 특성들을 정보화 사회의 장단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특히 본 연구는 온라인화 된 효행의 모습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는데, 이는 현대의 온라인화 추세를 우리가 간과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한계 때문이다. 효행의 모습은 시대와 사회 문화에 따라 달라지는 것임으로 이제는 현 시대에 적합한 효행의 모습과 우리 가 나아가기 위한 방향을 검토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온라인화 된 효행의 모습 을 검토한 후 후속 응용 연구들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 정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havior of online filial piety. Because modern society is intended to find a suitable model. That is, for clarification of such characteristics in the behavior of online filial piety. In particular, the p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havior of online filial piety. Because modern society is intended to find a suitable model. That is, for clarification of such characteristics in the behavior of online filial piety. In particular, the present study is the behavior of online filial to deal wit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se studies are rather than a list of list, this is close to the meticulous analysis. In order to proceed, the study proceeds in three stages. First, take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examines the concept of filial piety. Second, combining online and the effect that 'behavior of online filial piety' to define and examine key factors. Third, filial piety to online information society focusing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re discussed. In particular, this study looks positive point of view the behavior of online filial piety. Because we can not ignore the reality that life of modern society. Finally,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 follow-up stud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철호, "효학의 이론과 실천" 한국학술정보 2010
2 김종두, "효의 패러다임과 현대적 개념" 명문당 2011
3 최성규, "효신학개론" 성산서원 2004
4 이성원, "한국 효 담론의 비판적 담론분석 ‘효자와 패륜을 중심으로’" 2013
5 이재진, "인터넷 언론 자유와 인격권" 한나래출판사 2009
6 이은주, "의무적인 비동시 온라인 상호작용의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125-153, 2009
7 추병완, "온라인에서의 도덕적 이탈과 인터넷 윤리교육의 과제" 한국윤리학회 1 (1): 119-141, 2012
8 전성률, "온라인에서 양면구전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27 (27): 45-66, 2012
9 이성일, "온라인교육에서 구조변수,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77-94, 2012
10 박영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숙의, 그리고 정치참여" 극동문제연구소 28 (28): 61-92, 2012
1 박철호, "효학의 이론과 실천" 한국학술정보 2010
2 김종두, "효의 패러다임과 현대적 개념" 명문당 2011
3 최성규, "효신학개론" 성산서원 2004
4 이성원, "한국 효 담론의 비판적 담론분석 ‘효자와 패륜을 중심으로’" 2013
5 이재진, "인터넷 언론 자유와 인격권" 한나래출판사 2009
6 이은주, "의무적인 비동시 온라인 상호작용의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125-153, 2009
7 추병완, "온라인에서의 도덕적 이탈과 인터넷 윤리교육의 과제" 한국윤리학회 1 (1): 119-141, 2012
8 전성률, "온라인에서 양면구전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27 (27): 45-66, 2012
9 이성일, "온라인교육에서 구조변수,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77-94, 2012
10 박영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숙의, 그리고 정치참여" 극동문제연구소 28 (28): 61-92, 2012
11 박성복, "온라인 공간에서의 자기노출, 친밀감, 공동 공간감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1 (51): 469-495, 2007
12 류한근, "시스템관점에서 본 효" 성산논총 2010
13 김시우, "성경적 효 입문" 도서출판다사랑 2008
14 김병석, "사회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이용한 온라인 공동체의 네트워크 구조 탐색" 엘지씨엔에스 11 (11): 59-72, 2012
15 장우영, "디지털 융합시대 온라인 사회운동 양식의 변화와 의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2009): 2009
16 김평일, "내리사랑 올리효도" 가나안문화사 2004
17 방대욱, "(U 시대의) 인터넷 윤리" 이한출판사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2 | 0.699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