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9957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언론정보학과 , 2018. 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07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innovation resistance of smart TV video application in China

      • 형태사항

        [vi], 76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상원
        참고문헌: p. 55-59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104722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에서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휴대용 스마트기기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사용자 수가 많이 적으며 시장 활성화가 다소 지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적 확산 및 활성화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TV 애플리케이션이 확산되는 과정 중 사용자의 혁신저항으로 인해 확산이 지연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혁신확산보다 혁신저항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들이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혁신저항요인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적 특성, 개인적 특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 요인들이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 연구대상을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사용자와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 비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용자 집단에 따라 혁신저항에 미치는 요인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먼저 지각된 혁신특성요인 중 상대적 이점, 적합성, 관찰가능성은 혁신저항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복잡성과 지각된 위험은 혁신저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특성요인 중 시험가능성은 혁신저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적 특성요인 혁신성향은 혁신저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사회적 영향요인 주관적 규범은 혁신저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수용과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선하거나 보완하여 혁신저항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적합성과 복잡성, 관찰가능성 변인들도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합성과 관찰가능성은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복잡성은 사용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혁신 사용자와 비사용자 집단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혁신특성 요인 중 상대적 이점과 적합성, 복잡성, 지각된 위험은 사용자 집단에 상관없이 모두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시험가능성은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사용자의 경우 관찰가능성, 혁신성향, 주관적 규범은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비사용자의 경우 이들이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저항 모형을 기반으로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수용과 확산을 지연하게 하는 저항요인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혁신확산을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들과 차별화되는 학술적 의의가 있다. 혁신저항에 미치는 요인을 검증했다는 점은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수용과 확산과정 중 저항 요인을 완화하는데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와 비사용자 집단별로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와 비사용자 타켓별 전략을 세워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시장 활성화에 실무적 함의도 제공한다.
      번역하기

      중국에서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휴대용 스마트기기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사용자 ...

      중국에서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휴대용 스마트기기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사용자 수가 많이 적으며 시장 활성화가 다소 지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적 확산 및 활성화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TV 애플리케이션이 확산되는 과정 중 사용자의 혁신저항으로 인해 확산이 지연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혁신확산보다 혁신저항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들이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혁신저항요인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적 특성, 개인적 특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 요인들이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 연구대상을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사용자와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 비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용자 집단에 따라 혁신저항에 미치는 요인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먼저 지각된 혁신특성요인 중 상대적 이점, 적합성, 관찰가능성은 혁신저항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복잡성과 지각된 위험은 혁신저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특성요인 중 시험가능성은 혁신저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적 특성요인 혁신성향은 혁신저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사회적 영향요인 주관적 규범은 혁신저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수용과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선하거나 보완하여 혁신저항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적합성과 복잡성, 관찰가능성 변인들도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합성과 관찰가능성은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복잡성은 사용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혁신 사용자와 비사용자 집단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혁신특성 요인 중 상대적 이점과 적합성, 복잡성, 지각된 위험은 사용자 집단에 상관없이 모두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시험가능성은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사용자의 경우 관찰가능성, 혁신성향, 주관적 규범은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비사용자의 경우 이들이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저항 모형을 기반으로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수용과 확산을 지연하게 하는 저항요인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혁신확산을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들과 차별화되는 학술적 의의가 있다. 혁신저항에 미치는 요인을 검증했다는 점은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수용과 확산과정 중 저항 요인을 완화하는데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와 비사용자 집단별로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와 비사용자 타켓별 전략을 세워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시장 활성화에 실무적 함의도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was used for smart TV video application and examine the factors of innovation resistance of consumers on smart TV video application. Innovation resistance factors is divided into three major dimensions: perceived innovation characteristics,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e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observability, trialability and perceived risk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were used in this study. Consumer characteristic consisted of one factor: innovation personality. Social characteristic consisted of one factor: subjective norm. The results, consumer perceived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observability and subjective norm have negative impact on innovation resistance. Complexity and perceived risk have positive impact on innovation resistance. In addition, compatibility and observability have positive affect on smart TV video application use intentions. Furtherm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novation resistance of smart TV video application were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the innovative user and the non-user group.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was used for smart TV video application and examine the factors of innovation resistance of consumers on smart TV video application. Innovation resistance factors is divided into three major dimensions: p...

      In this study,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was used for smart TV video application and examine the factors of innovation resistance of consumers on smart TV video application. Innovation resistance factors is divided into three major dimensions: perceived innovation characteristics,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e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observability, trialability and perceived risk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were used in this study. Consumer characteristic consisted of one factor: innovation personality. Social characteristic consisted of one factor: subjective norm. The results, consumer perceived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observability and subjective norm have negative impact on innovation resistance. Complexity and perceived risk have positive impact on innovation resistance. In addition, compatibility and observability have positive affect on smart TV video application use intentions. Furtherm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novation resistance of smart TV video application were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the innovative user and the non-user grou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목적 3
      • 제2장 이론적 배경 4
      • 제1절 스마트TV 동영상 서비스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목적 3
      • 제2장 이론적 배경 4
      • 제1절 스마트TV 동영상 서비스 4
      • 1. 스마트TV의 개념 4
      • 2.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의 개념 및 현황 5
      • 제2절 혁신확산이론 9
      • 1. 혁신의 정의 9
      • 2. 혁신 수용 및 혁신 확산 9
      • 3. 혁신확산 관련 기존 연구 13
      • 제3절 혁신저항모델 15
      • 1. 혁신저항의 정의 15
      • 2. 혁신저항모델 관련 기존 연구 15
      • 3.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8
      • 제4절 주관적 규범 20
      • 제3장 연구방법 21
      •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1
      • 1.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혁신저항 21
      • 2.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 24
      • 3. 사용자와 비사용자 집단별 혁신저항 요인의 차이 25
      • 제2절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28
      • 1. 변인의 조작적 정의 28
      • 2. 변인의 측정항목 30
      • 제3절 자료수집 35
      • 제4장 연구결과 37
      • 제1절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37
      • 1. 기술통계 결과 37
      • 2. 상관관계 분석 38
      • 제2절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분석 결과 40
      • 1.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혁신저항에 미치는 요인 40
      • 2. 스마트TV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사용의도에 미치는 요인 44
      • 3. 사용자 집단별 혁신저항 요인 비교 분석 47
      • 제5장 결론 및 논의 50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50
      • 제2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53
      • <국내 참고문헌> 55
      • <국외 참고문헌> 58
      • <한국어 설문지> 60
      • <중국어 설문지> 68
      • <ABSTRACT>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