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제 무왕대의 건축물 조영과 정국변화 = Architecture and Change of Political Situation of King Mu’s kingdom in Baekj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75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무왕대 조영된 것으로 비정되는 주요 건축물의 현황과 관련기록, 당시의 정국변화 등을 통해 대규모 건축물의 조영과 정치적 변동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무왕대 조영된 것으로 확인되는 중요 건축물로는 익산지역에 왕궁성, 제석사, 미륵사, 그리고 부여지역에 중수된 궁궐, 왕흥사와 궁남지가 확인된다.
      왕궁성의 조영은 인장와, 출토유물, 〈觀世音應驗記〉의 내용 등으로 볼 때 무왕대 이루어졌으며, 그 조영 시점은 무왕 3년 신라와의 전쟁에서 대패한 이후로 추정된다. 제석사도 왕궁성이 조영되는 시점에서 함께 조영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조영 주체는 무왕이었다. 미륵사는 『三國遺事』의 미륵사 창건내용과 〈舍利奉安記〉, 그리고 유적의 조성과정과 출토유물을 통해 조영 시기를 두 단계로 이해할 수 있었다. 무왕 31년 사비 환궁이후에 조영된 왕흥사는 위덕왕대 초창되고 법왕에 의해 중영되었지만 무왕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바로 이어서 궁남지가 조영되었다.
      이들 건축물의 조영 주체는 왕궁리유적과 제석사, 사비 환궁 이후에 조영된 왕흥사와 궁남지의 경우 무왕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미륵사의 경우에는 조영 주체가 복수로 확인된다. 초창은 선화왕비의 발원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영과정에서 익산지역 불교세력과 재지세력의 지원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서원은〈舍利奉安記〉를 통해 사탁왕후가 조영 주체였음을 알 수 있으며, 사씨세력의 지원이 있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다음은 건축물의 조영과정을 통해 당시 정국의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무왕이 익산지역에 왕궁성과 제석사등을 건립한 것은 익산경영을 통해 정치적 안정과 왕권 강화를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익산지역이 그의지지기반이었기 때문이었다. 왕궁성은 무왕 사후 의자왕대 사찰로 전용되었는데, 익산 재지세력의 약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동안 무왕말기 사비지역에서의 대규모 토목사업은 무왕의 왕권강화라는 측면에서 이해되었다. 그렇지만 왕흥사는 위덕왕이 ‘亡王子’를 위해 창건한 원찰로 법왕을 거쳐 무왕에 의해 완성되었는데, 그 배경은 무왕이 ‘亡王子’의 적통이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정된다. 즉 ‘亡王子’에 대한 추모적 성격이 강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궁남지의 조성도 당시 무왕의 행위를 고려할 때 무왕의 왕권강화라는 정치적 목적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오히려 무왕 말기에 왕권강화가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현실정치에서 소외되었던 정국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무왕대 조영된 건축물 가운데 정치세력의 변동양상을 잘 보여주는 것은 미륵사이다. 미륵사의 초창을 담당했던 것은 선화공주로 상징되는 왕비를 중심으로 한 익산지역의 세력이었으며, 서원은 무왕 40년에 사탁왕후에 의해 중창되었다. 이는 미륵사의 조영 주체에 변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무왕 후반기 정치세력의 변동과 관련이 있다. 즉, 중앙 정치권력이 익산세력에서 사씨세력으로 옮겨간 정국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번역하기

      본 글은 무왕대 조영된 것으로 비정되는 주요 건축물의 현황과 관련기록, 당시의 정국변화 등을 통해 대규모 건축물의 조영과 정치적 변동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무왕대 조영된 것으로 확...

      본 글은 무왕대 조영된 것으로 비정되는 주요 건축물의 현황과 관련기록, 당시의 정국변화 등을 통해 대규모 건축물의 조영과 정치적 변동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무왕대 조영된 것으로 확인되는 중요 건축물로는 익산지역에 왕궁성, 제석사, 미륵사, 그리고 부여지역에 중수된 궁궐, 왕흥사와 궁남지가 확인된다.
      왕궁성의 조영은 인장와, 출토유물, 〈觀世音應驗記〉의 내용 등으로 볼 때 무왕대 이루어졌으며, 그 조영 시점은 무왕 3년 신라와의 전쟁에서 대패한 이후로 추정된다. 제석사도 왕궁성이 조영되는 시점에서 함께 조영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조영 주체는 무왕이었다. 미륵사는 『三國遺事』의 미륵사 창건내용과 〈舍利奉安記〉, 그리고 유적의 조성과정과 출토유물을 통해 조영 시기를 두 단계로 이해할 수 있었다. 무왕 31년 사비 환궁이후에 조영된 왕흥사는 위덕왕대 초창되고 법왕에 의해 중영되었지만 무왕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바로 이어서 궁남지가 조영되었다.
      이들 건축물의 조영 주체는 왕궁리유적과 제석사, 사비 환궁 이후에 조영된 왕흥사와 궁남지의 경우 무왕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미륵사의 경우에는 조영 주체가 복수로 확인된다. 초창은 선화왕비의 발원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영과정에서 익산지역 불교세력과 재지세력의 지원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서원은〈舍利奉安記〉를 통해 사탁왕후가 조영 주체였음을 알 수 있으며, 사씨세력의 지원이 있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다음은 건축물의 조영과정을 통해 당시 정국의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무왕이 익산지역에 왕궁성과 제석사등을 건립한 것은 익산경영을 통해 정치적 안정과 왕권 강화를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익산지역이 그의지지기반이었기 때문이었다. 왕궁성은 무왕 사후 의자왕대 사찰로 전용되었는데, 익산 재지세력의 약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동안 무왕말기 사비지역에서의 대규모 토목사업은 무왕의 왕권강화라는 측면에서 이해되었다. 그렇지만 왕흥사는 위덕왕이 ‘亡王子’를 위해 창건한 원찰로 법왕을 거쳐 무왕에 의해 완성되었는데, 그 배경은 무왕이 ‘亡王子’의 적통이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정된다. 즉 ‘亡王子’에 대한 추모적 성격이 강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궁남지의 조성도 당시 무왕의 행위를 고려할 때 무왕의 왕권강화라는 정치적 목적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오히려 무왕 말기에 왕권강화가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현실정치에서 소외되었던 정국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무왕대 조영된 건축물 가운데 정치세력의 변동양상을 잘 보여주는 것은 미륵사이다. 미륵사의 초창을 담당했던 것은 선화공주로 상징되는 왕비를 중심으로 한 익산지역의 세력이었으며, 서원은 무왕 40년에 사탁왕후에 의해 중창되었다. 이는 미륵사의 조영 주체에 변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무왕 후반기 정치세력의 변동과 관련이 있다. 즉, 중앙 정치권력이 익산세력에서 사씨세력으로 옮겨간 정국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rge-scale architecture and political situation through present condition and related document of the main buildings and the change of current political state of affairs in King Mu’s kingdom.
      The important buildings constructed during are identified as Wanggungseong, Jeseoksa and Mireuksa in Iksan, and the palace which was repaired, Wangheungsa and Gungnamji in Baekje area.
      It is presumed that the buildings in were constructed during King Mu’s kingdom according to the excavated seal and artifacts, and the contents of 〈Gwanseumeungheomgi〉. It was constructed after a huge defeat in war with Shilla in the 3rd year of King Mu’s ruling. It is assumed that Jeseoksa was built along with Wanggungseong by King Mu. The time of constructing Mireuksa could be understood by two stages through the story of building this temple in 『Samgukyusa』, 〈Saribongsangi〉, and the procedure of building and the excavated artifacts. Wangheungsa which had been constructed since the return to the palace in Sabi in the 31st year of King Mu’s ruling, was completed by King Mu, while it was started to be built by King Wideok and renovated by King Beop. Immediately after this construction, Gungnamji was built.
      Wanggungri ruins, Jeseoksa and Wangheungsa and Gungnamji which were built after the return to Sabi seem to be constructed by King Mu. By the way, Mireuksa is confirmed to be built by numbers of constructors.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struction was supported by Buddhist power group and native force in Iksan area though having been started by Queen Seonwha’s wish. Also, Seowon is identified to be built by Queen Satak through 〈Saribongsangi〉 and to be supported by power group of family Sa.
      The change of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could be understood by the procedure of the construction. King Mu who had a base of support in Iksan area aimed at going ahead with political stability and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through management of Iksan by building and Jeseoksa in Iksan. By the way, the fact that Wanggungseong was used by King Uija is understood that the native force of Iksan has been weakened since the death of King Mu.
      Also, a grand-scale civil engineering project in Sabi area in the late period of King Mu’s ruling is understood as an aspect of strengthening his royal authority. However, it is presumed that background of Wangheungsa which was started to be built by King Wideok and King Beop for ‘the dead prince’, and was completed by King Mu shows the latter is the legal descent of royal family. It is assumed that his memorial personality for the late father is strong. It is not proper to judge that Gungnamji has not built for the purpose of the political intention of strengthening his royal authority considering King Mu’s behavior at that time.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struction reflected the change of political state of affairs which was alienated from reality of politics all the more rather than the consolidation of his political capacity in the late period of King Mu’s kingdom.
      It is Mireuksa that seemed to show the aspect of changing political influence among the buildings in King Mu’s ruling period. The regional influence in Iksan focusing on Queen symbolized by Princess Seonwha played a role in starting to construct Mireuksa. Seowon was repaired by Queen Satak in the 40th year of King Mu’s ruling. This shows that there was a change of sponsor for building Mireuksa which related to a change of the political influence in the late period of King Mu’s kingdom. In other words, it seems to reflect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which was moved from the influence in Iksan to that of family Sa.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rge-scale architecture and political situation through present condition and related document of the main buildings and the change of current political state of affairs in King Mu’s kingdom. Th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rge-scale architecture and political situation through present condition and related document of the main buildings and the change of current political state of affairs in King Mu’s kingdom.
      The important buildings constructed during are identified as Wanggungseong, Jeseoksa and Mireuksa in Iksan, and the palace which was repaired, Wangheungsa and Gungnamji in Baekje area.
      It is presumed that the buildings in were constructed during King Mu’s kingdom according to the excavated seal and artifacts, and the contents of 〈Gwanseumeungheomgi〉. It was constructed after a huge defeat in war with Shilla in the 3rd year of King Mu’s ruling. It is assumed that Jeseoksa was built along with Wanggungseong by King Mu. The time of constructing Mireuksa could be understood by two stages through the story of building this temple in 『Samgukyusa』, 〈Saribongsangi〉, and the procedure of building and the excavated artifacts. Wangheungsa which had been constructed since the return to the palace in Sabi in the 31st year of King Mu’s ruling, was completed by King Mu, while it was started to be built by King Wideok and renovated by King Beop. Immediately after this construction, Gungnamji was built.
      Wanggungri ruins, Jeseoksa and Wangheungsa and Gungnamji which were built after the return to Sabi seem to be constructed by King Mu. By the way, Mireuksa is confirmed to be built by numbers of constructors.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struction was supported by Buddhist power group and native force in Iksan area though having been started by Queen Seonwha’s wish. Also, Seowon is identified to be built by Queen Satak through 〈Saribongsangi〉 and to be supported by power group of family Sa.
      The change of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could be understood by the procedure of the construction. King Mu who had a base of support in Iksan area aimed at going ahead with political stability and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through management of Iksan by building and Jeseoksa in Iksan. By the way, the fact that Wanggungseong was used by King Uija is understood that the native force of Iksan has been weakened since the death of King Mu.
      Also, a grand-scale civil engineering project in Sabi area in the late period of King Mu’s ruling is understood as an aspect of strengthening his royal authority. However, it is presumed that background of Wangheungsa which was started to be built by King Wideok and King Beop for ‘the dead prince’, and was completed by King Mu shows the latter is the legal descent of royal family. It is assumed that his memorial personality for the late father is strong. It is not proper to judge that Gungnamji has not built for the purpose of the political intention of strengthening his royal authority considering King Mu’s behavior at that time.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struction reflected the change of political state of affairs which was alienated from reality of politics all the more rather than the consolidation of his political capacity in the late period of King Mu’s kingdom.
      It is Mireuksa that seemed to show the aspect of changing political influence among the buildings in King Mu’s ruling period. The regional influence in Iksan focusing on Queen symbolized by Princess Seonwha played a role in starting to construct Mireuksa. Seowon was repaired by Queen Satak in the 40th year of King Mu’s ruling. This shows that there was a change of sponsor for building Mireuksa which related to a change of the political influence in the late period of King Mu’s kingdom. In other words, it seems to reflect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which was moved from the influence in Iksan to that of family S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병목, "한국 고대사에 있어서 왕궁리유적의 가치와 의의" 19 : 2010

      2 김선기, "지지명인각와를 통해 본 미륵사 창건과 몇 가지 문제" 2012

      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제석사지 발굴조사보고서Ⅰ" 2011

      4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제석사지 발굴조사보고서 Ⅱ" 2013

      5 조원창, "익산지역 백제 건축유적에서 보이는 새로운 토목·건축 기술"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8 : 153-179, 2016

      6 최맹식, "익산의 선사와 고대문화" 2003

      7 홍윤식, "익산의 선사와 고대" 2003

      8 최완규, "익산왕궁리유적-발굴 20년 성과와 의의" 2009

      9 김용민, "익산 왕궁성 발굴성과와 그 성격" 17 : 2007

      10 지병목, "익산 왕궁리유적의 성격에 대한 시론" 58·59 : 1999

      1 지병목, "한국 고대사에 있어서 왕궁리유적의 가치와 의의" 19 : 2010

      2 김선기, "지지명인각와를 통해 본 미륵사 창건과 몇 가지 문제" 2012

      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제석사지 발굴조사보고서Ⅰ" 2011

      4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제석사지 발굴조사보고서 Ⅱ" 2013

      5 조원창, "익산지역 백제 건축유적에서 보이는 새로운 토목·건축 기술"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8 : 153-179, 2016

      6 최맹식, "익산의 선사와 고대문화" 2003

      7 홍윤식, "익산의 선사와 고대" 2003

      8 최완규, "익산왕궁리유적-발굴 20년 성과와 의의" 2009

      9 김용민, "익산 왕궁성 발굴성과와 그 성격" 17 : 2007

      10 지병목, "익산 왕궁리유적의 성격에 대한 시론" 58·59 : 1999

      1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익산 미륵사지 평기와 연구" 2016

      12 조유전, "익산 미륵사에 관한 연구" 2 : 1990

      13 홍윤식, "익산 미륵사 창건 배경을 통해 본 백제문화의 성격" 6 : 1981

      14 김선기, "익산 금마저의 백제문화" 서경문화사 2012

      15 장미애, "위덕왕대 혜왕계 정치세력의 성장과 성격에 대하여" 한국역사연구회 (80) : 51-91, 2011

      1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흥사지 Ⅶ" 2016

      1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흥사지 Ⅲ" 2009

      18 전용호, "왕궁리유적의 최근 발굴성과, In 익산 왕궁리유적의 조사성과와 의의" 2009

      19 이신효, "왕궁리유적을 통해 본 백제말기 익산경영" 22 : 2013

      2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궁리 발굴중간보고 Ⅹ" 2015

      2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궁리 발굴중간보고 Ⅷ" 2012

      2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궁리 발굴중간보고 Ⅵ" 2008

      23 박순발, "사비도성과 익산 왕궁성" 17 : 2007

      24 남정호, "사비 후기 백제의 정치세력과 정국운영의 변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25 송호정, "사료와 고고학 자료로 본 백제 왕도 익산" 20 : 2012

      26 김수태, "백제의 천도" 한국고대사학회 36 : 19-64, 2004

      27 노중국,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2010

      28 노중국, "백제 정치사연구" 일조각 1988

      29 심상육, "백제 인각와에 대하여" 5 : 2010

      30 박방룡, "백제 익산 왕도의 성립과 위상" 19 : 2010

      31 조경철,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역사연구소 (70) : 1-28, 2010

      32 노중국, "백제 왕흥사" 2017

      33 노중국, "백제 왕실의 남천과 지배세력의 변천" 4 : 1978

      34 노중국, "백제 역사와 문화"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8

      35 강종원, "백제 사비기의 사찰 조영과 정치적 함의" 호서사학회 (75) : 1-44, 2015

      36 이병호, "백제 사비기 익산 개발 시기와 그 배경" 백제연구소 (61) : 69-105, 2015

      37 박원지, "백제 사비기 기와 연구 Ⅳ" 2012

      38 김주성, "백제 무왕의 즉위과정과 익산" 17 : 2007

      39 김주성, "백제 무왕의 정국운영" 신라사학회 (16) : 261-286, 2009

      40 김주성, "백제 무왕의 정국운영" 2012

      41 김주성, "백제 무왕의 사찰건립과 권력강화" 6 : 1993

      42 노중국, "백제 무왕의 出系와 천하관" 백제학회 (25) : 5-29, 2018

      43 강종원, "백제 무왕대의 정국변화와 미륵사 조영" 백제문화연구소 1 (1): 285-310, 2016

      44 김수태, "백제 무왕대의 미륵사 서탑 사리 봉안" 신라사학회 (16) : 5-44, 2009

      45 김수태, "백제 무왕대의 대신라 관계" 백제문화연구소 1 (1): 61-93, 2010

      46 이도학, "백제 무왕대 익산 천도설의 재검토" 22 : 2003

      47 김상현, "백제 무왕대 불교계의 동향과 미륵사" 고려사학회 (37) : 7-31, 2009

      48 강종원, "백제 말기 정치상황과 익산 왕궁성" 17 : 2007

      49 최완규, "백제 말기 무왕대 익산천도의 재해석" 20 : 2012

      50 홍사준, "미륵사지고" (창간) : 1975

      51 주보돈, "미륵사지(彌勒寺址) 출토 사리봉안기(舍利奉安記)와 백제의 왕비(王妃)" 백제학회 (7) : 31-55, 2012

      5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 서탑-주변발굴조사 보고서-" 2001

      53 김주성, "미륵사지 서탑 사리봉안기 출토에 따른 제설의 검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7) : 27-54, 2009

      54 김상현, "미륵사서탑사리봉안기의 기초적 검토" 2012

      5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미륵사" 1996

      56 김영심, "문헌자료로 본 사비시기의 익산" 한국고대사학회 (78) : 57-95, 2015

      5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궁남지 Ⅲ" 2007

      58 이도학, "고도 익산의 진정성에 관한 다각적 분석" 19 : 2010

      59 김용민, "고대도시와 왕권" 2005

      60 장인성, "고대 동아시아 역사상의 백제 원지" 백제문화연구소 56 (56): 367-388, 2017

      61 배병선, "고대 동아세아 도성과 익산 왕궁성(상)" 2014

      62 山本孝文, "고고학으로 본 백제왕권의 사비 경영과 익산자료" 20 : 2012

      63 김영심, "舍利器 銘文을 통해 본 백제 사비시기 국왕과 귀족세력의 권력관계 - 沙氏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63) : 1-39, 2013

      64 金周成, "百濟 사비時代 政治史 硏究"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0

      65 양기석, "百濟 王興寺의 創建과 變遷" 백제문화연구소 2 (2): 35-61, 2009

      66 강종원, "百濟 熊津奠都와 貴族勢力의 動向" 한국고대사학회 (52) : 313-352, 2008

      67 강종원, "百濟 沙氏勢力의 中央貴族化와 在地基盤" 백제연구소 (45) : 19-36, 2007

      68 박현숙, "百濟 武王의 益山 경영과 彌勒寺" 고려사학회 (36) : 329-355, 2009

      69 강종원, "百濟 武王의 太子 冊封과 王權의 變動" 백제연구소 (54) : 145-169, 2011

      70 강종원, "百濟 武王의 出系와 王位繼承" 호서사학회 (56) : 3-37, 2010

      71 김낙중, "百濟 宮城의 苑池와 後苑" 백제연구소 (53) : 21-49, 2011

      72 "日本書紀"

      73 "新增東國輿地勝覽"

      74 이도학, "彌勒寺址 西塔 「舍利奉安記」의 分析" 백산학회 (83) : 237-267, 2009

      75 양정석, "彌勒寺址 塔址의 調査過程에 대한 檢討" 고려사학회 (36) : 357-395, 2009

      76 정재윤, "彌勒寺 舍利奉安記를 통해 본 武王・義慈王代의 政治的 動向" 고려사학회 (37) : 33-62, 2009

      77 최연식, "彌勒寺 創建의 歷史的 背景" 한국사연구회 (159) : 1-35, 2012

      78 吉基泰, "彌勒寺 創建의 信仰的 性格" 한국사상사학회 (30) : 1-33, 2008

      79 길기태, "帝釋寺 創建의 政治的 背景과 金剛經" 호서사학회 (56) : 39-69, 2010

      80 이다운, "印刻瓦를 통해 본 益山의 기와에 대한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0) : 89-108, 2007

      81 "三國遺事"

      82 "三國史記"

      83 이도학, "<王興寺址 舍利器 銘文> 分析을 통해 본 百濟 威德王代의 政治와 佛敎" 한국사연구회 (142) : 1-31,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34 0.72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